분류 전체보기 1364

–4편- 사여의족_사마타 수행과 위빳사나 수행에서 삼매의 개발 부분. (2022년 07월 23일)

https://youtu.be/XpbQp0su9bA –4편- 사여의족 (2022년 07월 23일) 이번 시간에는 사신족, 사여의족이라고 하는 부분에 관계된 것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여의족이 뭐죠? 어떤 겁니까? 네 가지 신통 부분이죠! 네 가지 신통 부분은 경전 담마빠다 같은 경우에 보면 참 많이 나옵니다. 대표적인 게 「지혜가 충만했을 때」에 대한 것은 법구경116번에 보면 상낏짜 장로에 대한 예로서 설명을 해놓았습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삼매에 들었는데 죽은 줄 알고 장작더미 위에서 몸을 태웠는데 몸이 하나도 안 타고 나중에 삼매에서 깨어났다 하는 그런 겁니다. 지혜가 충만했을 때 그렇게 되는 부분이고. 그다음에 「삼매」 부분은 꼰단냐 장로 이게 법구경111번에 있고, 사마와띠 같은 경우에는 21..

–3편- 다섯 가지 장애, 오근과 오력 (2022년 06월 25일)

https://youtu.be/6QybGDU_j-Q –3편- 다섯 가지 장애, 오근과 오력 (2022년 06월 25일) 수행을 하다가 보면 여러 가지 장애들이 사실은 일어납니다. 대표적인 것이 많이 졸리죠? 많이 졸립니다. 또 뭐가 나타나죠? 막 망상하고 하는 것들이 나타나고, 또 몸이 쑤시고 하는 그런 것들도 나타나죠. 하기 싫은 마음도 일어나고. 보통 여러 가지들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보통 사념처 수행을 설명을 하고 나면 그다음에 대부분 설명을 하는 것이 그런 장애들이 일어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가 하는 것들을 보통 가르쳐줍니다. 그렇게 하다가 보니까 37보리분법의 순서, 순서대로 되어지지를 않습니다. 사념처 다음에는 뭐가 나와요? 사정진이 나오죠. 그다음에 사여의족이 나오고, 그다음에 오근 오..

–2편- 실참수행의 핵심, 37보리분법 중 사념처 수행

https://youtu.be/n9IXwgwwTWM –2편- 실참수행의 핵심, 37보리분법 중 사념처 수행 수행법 설명하는 게 어려운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여러분들 같은 경우에는 그런 기본적인 부분들이 이해가 안 되어있기 때문에 더더구나 힘듭니다. 그냥 교리적으로 설명을 하면 수행하고 관계없이 여러분들이 듣기는 편하긴 한데, 이걸 수행적으로 풀어낼려고 하면 37보리분법을 전부 다 재조합해야 됩니다. 실제로는. 프린트물 보면 「37보리분법 정리」라고 되어있죠! 그거는 37보리분법의 개략적인 설명입니다. 보통 일곱 개 항목으로 되어있죠? 일곱 개 항목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오늘은 그 첫 번째 시간 사념처 부분에 대한 설명을 들어가집니다.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걸 일곱 가지 부분을 다 할 수는..

실참수행의 핵심, '37보리분법'에 대해서 -1편- [2022년 (사)21세기불교포럼 정기법회 법문]

https://youtu.be/tiWCJ4xLhag –1편- 실참수행의 핵심, 37보리분법 ... 그래서 37조도품도 그와 같다고 생각을 하면 됩니다. 똑같은 내용들이 들어있기는 한데 이름을 달리 한 것은 그 각각이 각각의 카테고리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중요하다는 의미로서 얘기를 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꼭 굳이 37보리분법 아니면 조도품에 대한 걸 다 알려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37보리분법에서 꼭 필요한 부분들은 당연히 있습니다. 맨 처음에 사념처 나오죠! 하나로 줄이면 뭐가 돼요? 사띠죠! 염처입니다. sati! 그다음에 오력이나 이런 것에서는 뭐가 주가 됩니까? 위리야죠! 아까도 얘기했죠. 대반열반경에 그런 얘기를 했죠. "노력이 열반으로 이끈다" 하는데, 해탈로 나아가게 한다는 ..

수행을 무르익게 하는 의도를 알아차리기 가장 좋은 수단_사여의족 (20230415)

https://youtu.be/I73yN7g6-j8 * 수행을 무르익게 하는 의도를 알아차리기 가장 좋은 수단_사여의족 (20230415) 손 한번 들어봐봐요. 한번 내려봐봐요. 눈 한번 감았다가 눈을 살포시 한번 떠봐봐요. 그런데 오늘은 모르는 분들이 많아 가지고 이 법문이 맞을지는 모르겠네. 손을 들었을 때 들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죠? 손을 내릴 때 내리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을 겁니다. 눈을 감고 뜰 때도 마찬가지고. 그런데 그 의도는 다 다르죠! 들 때의 의도는 들 때 일어난 것뿐인 것이고 그것은 끝나버렸고, 내릴 때는 내릴 때의 의도가 일어나서 손을 내리게 되는 거고. 살아있으면 의도는 항상 있습니까? 왜 있게 되죠? 의도는 왜 있게 되요? (수행자 대답 : 팟사가 일어나면 웨다나가 일어나고 거기..

불기 2566년 4월 9일 담마와나선원 탁발법회 법문 – 유신견

https://youtu.be/xvCfRz4OWDc * 불기 2566년 4월 9일 담마와나선원 탁발법회 법문 – 유신견 (법문은 17:20초부터 시작됩니다.) 오랜만이죠? 오늘은 유신견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본인이 유신견이 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는 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유신견이 사라졌다는 것은 예류과에 들었다는 건데, 예류과에 들었다는 걸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것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왜 이 얘기를 하는가 하면 한국에서는 수행설명을 하면서 “스님, 제가 이러이러한데 수다원에 이르른 것 같습니다. 맞습니까?” 하고 물어보는 경우들이 많아요.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한 얘기를 좀 할려고 그럽니다.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수다원에 이르렀으면 본인이 수다원인지 압니다. 남한테 물어볼 필요도..

번뇌의 메카니즘 (20230401)

https://youtu.be/R_YrkCIIGZ4 * 번뇌의 메카니즘 (20230401) 원래 꽃나무들은 자기 때가 있어요. 자기 때가 있으니까 보기 싫다고 생각하지 말고 그것도 관념이야. 좋고 싫은 것들로부터 떠나야 되니까 되도록이면 꽃나무들은 자르지 마요. 오늘은 번뇌의 메카니즘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수행 잘하고 있죠? 사띠가 잘 될 때는 참 재미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망상이 툭 떠오른다든지 아니면 화가 확 치밀어오른다든지 이러면 그냥 사띠는 어디 갔는지 모르고 그냥 거기에 빠져버리기도 하고 그러면 또 ‘앗차’ 해가지고 사띠를 잡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러면서 “망상하는 거나 감정들이 일어나는 것들이 혹시 업(業)이 되지 않는가 해가지고 그게 좀 두렵습니다.” 하는 얘기를 하는 수행자가 ..

우안거(vassavaso, 雨安居)

* 우안거(vassavaso, 雨安居) 달이 가득 차오른 보름날은 테라와다 전통을 따르는 불교도들에겐 특별한 날입니다. 고따마 부처님의 커다란 족적은 모두 달이 휘황 찬 보름날 이루어졌습니다. 탄생, 성도, 열반이 모두 위사카 달(visākha, 음력 4월)의 보름날입니다. 또한 부처님이 중생들에게 최초로 담마(법)를 전하기 시작한 초전법륜일도 아살라하 달(āsāḷha, 음력 6월)의 보름날입니다. 4월 초파일을 부처님의 탄생일, 성도재일은 음력 12월 8일, 열반재일은 음력 2월 보름날로 알고 있는 대승불교에서는 초전법륜일에 대해선 생소한 얘기일 것입니다. 어쨌든 초전법륜일 다음날부터 테라와다 스님들은 왓사(vassa)라고 불리우는 우안거에 들어갑니다. 안거 날에는 탁발 조차 나가서는 안되니 재가 신자..

우뽀사타(Uposatha, 포살)에 대해 (20100701. 법문교재)

* 우뽀사타(Uposatha, 포살)에 대해 (20100701. 법문교재) Uposatha는 우리말로 「布薩」이라고 합니다. 우뽀사타라는 단어를 經典에서 찾아보면 5가지 의미로 사용되어져 있습니다. ① 특별히 戒律을 지키고 修行하는 날. ② 비구·비구니 스님들이 pāṭimokkha(布薩)을 행하는 날. ③ 만월의 날(보름)에 지키는 8제계. ④ 단식 등의 고행. ⑤ 코끼리 여러 종류 중 하나의 이름. 첫 번째는 불교도가 지켜야 할 불제일의 날로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비구·비구니 스님들이 布薩을 행하는 날로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보름날에 지키는 戒律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네 번째는 불교 이외의 수행자들이 하고 있는 斷食등의 고행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코끼리 ..

테라와다의 사원(vihāra) (20090905. 법문교재)/사원의 보시

5. 테라와다의 사원(vihāra) (20090905. 법문교재) 먼저 붓다가 이 세상에 출현하고 출가 제자들도 출현했습니다. 그래서 붓다와 출가자들이 있는 곳에 사람들도 모이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장소의 필요성이 생겨났고, 재가 신자들은 먼저 출가자가 살 수 있을 곳, 묵을 수 있는 곳을 제공(보시)했습니다. 그곳에 재가자도 모여 설법을 듣거나 수행하거나 했습니다. 그것이 시대와 함께 서서히 발전해서 건물수가 증가하거나 특별한 목적을 위한 곳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인도의 날란다 사원은 국제적인 맘모스 대학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학교이면서 절이기도 했습니다. 현재의 테라와다 사원들도 불교 문화 센터, 불교도의 교류장소, 학교, 출가자와 재가자의 수행장소,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담당하는 관공서 등의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