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84

나태와 게으름(thīna-middha) (2002 1215)

https://youtu.be/8grLyMDizu0?si=pspoc6zOtxRkR0Jm * 나태와 게으름(thīna-middha) (2002 1215)우리 와 동갑이 친구는 안 왔나? 왜? 나태와 게으름 들을 거라고 해서 안 왔나? 잘 들으라고 그래.  그래 이번 시간에는 나태와 게으름 부분입니다. 여기서 자기가 살아오는 게 ‘게으르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손 한번 들어봐요. 그래 그거는 뭐 그렇다 치자. 보통 평균적으로 ‘이 정도 하면 잘 살아왔다’ 하는 생각들이 많이 들 겁니다. ‘잘 못살아 왔다’고 생각하는 사람 손 들어봐. 그러면 이 세상 살아왔는데 만날 불행해가지고 마 ‘고통스러웠다’ 하는 사람 손들어 봐요. 그러면 뭐 ‘어느 정도 마 그냥 행복하게 살아왔다’ 하는 사람 손 들어봐요. 그럼 ..

처음 수행하는 자들은 반드시 이 6가지를 지켜나가야 된다. (2002 1019)

https://youtu.be/Sodd2AKQZk8?si=gVqISQQVuLghxb9d * 처음 수행하는 자들은 반드시 이 6가지를 지켜나가야 된다. (2002 1019) "사념처에 마음집중하는 것이 육근을 수호하는 것이다" 오늘 그 서울 쪽에서는 홍원사라고 하는 절이 있는데, 홍원사에서 사단법인을 만들어가지고 오늘 큰 법회를 하고 있습니다. 이틀 정도 한다고 그럽디다. 버마의 우 빤디따 스님하고 스리랑카 소비따 스님하고 두 분 스님 초청해서 법문 듣고 또 버마 수행법이나 고엔까 수행법에 대한 얘기들도 하고 토론도 하고 그렇게 한다고 합디다. 연락이 와가지고 올라갈려고 했는데 법회도 걸리고 내일 또 절 일도 있고 해서 우리 스님만 올라가셨습니다.  사단법인 만든 게 「근본불교수행도량 홍원사」 이렇게 사단..

수행은 하고 있어요? 수행에서 여러 장애현상들과 대처방법 20240907

https://youtu.be/6WgANPQAurE?si=xei4WSMoSCxtE0QT * 수행은 하고 있어요? 수행에서 여러 장애현상들과 대처방법 20240907추석 전이라고 이렇게 많이 왔나?  수행은 하고 있어요? 잘 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고 그렇죠. 근데 너무 거기에 일희일비하지 마요. 매일 먹는 밥이 똑같이 맛있어서 먹잖아. 어떨 때는 맛있게 느껴지고 어떨 때는 맛없게 느껴지기도 하고 그럽니다. 근데 이게 음식 탓은 아니잖아. 물론 음식이 맛이 없어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보면 마음이 문제가 된다는 거라. 마음이 맛있게 먹기도 하고 맛없게 먹기도 하고 그럽니다.  명상이 잘될 때는 탐·진·치 없이 그냥 대상이 금방금방 알아차려졌는데 명상이 안 될 때는 보면 틀림없이 거기에는 탐진..

따타가따(Tathāgata 如來)의 4가지 정의_담마와나선원 붓다의날 (20190519)

https://youtu.be/zrbyi-OkSbc?si=3Pv1rMszulNeNPXo * 따타가따(Tathāgata 如來)의 4가지 정의_담마와나선원 붓다의날 (20190519)자, 편하게 앉으십시오. 오늘 붓다의 날이죠. 여기에 맨 처음 식순할 때 "요소 따타가또 아라항 삼마 삼붓도" 그렇게 적혀져 있습니다. 이 문장은 틀렸습니다. 여기서는 ‘따타가따(Tathāgata)’라고 쓸 수가 없습니다. 바가와(Bhagava) 라고 써야 됩니다. 따타가따(Tathāgata)는 뭔 뜻입니까? 부처님이 자기 자신을 지칭할 때 쓰는 단어입니다. 경전에서 "나 여래(如來)는 이러 이런 분이다"하고 얘기할 때 쓰는 거고, 여기는 '요소'라고 이미 1인칭으로 단수 복수로 쓰여지는 단어이기 때문에 여기에 부처님이 부처님 ..

다섯 가지의 얻기 어려운 일 - 담마와나선원 포살법회 240901

https://youtu.be/or2wQGFp27I?si=KhGct13jHk1qS8FI * 다섯 가지의 얻기 어려운 일 - 담마와나선원 포살법회 240901(16:25초부터 법문이 시작됩니다.) 다 받았죠? 오늘은 「둘라바(dullabha) - (다섯 가지) 얻기 어려운 일」이라는 제목으로 얘기하겠습니다.스님이 2017년도 여름에 우안거 중에 이 둘라바에 대한 얘기를 부산에서 한번 했었어요. 그때는 프린트물 없이 그냥 해놓으니까 잘 못 알아듣는 사람도 있고 그렇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는 프린트물을 준비를 해왔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둘라바 다섯 가지를 다 하기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지 않으니까, 2017년도에 했던 것들은 빼고 오늘은 다른 부분으로 얘기를 하겠습니다.여러분은 지금 바른 부처님 가르침 만..

DULLABHA 다섯 가지의 얻기 어려운 일 [프린트물 법문]

(20240901 담마와나선원 포살일 탁발법회 아짠 빤냐와로 스님 법문 프린트물) DULLABHA 다섯 가지의 얻기 어려운 일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Saṁyuttanikāya sagāthāvagga aṭṭhakathā (상응부 경전 유게편 주석서)에는 부처님이 말씀하신 Ovāda 오와다(훈계)에 대해 쓰여 있습니다. 부처님은 탁발한 것으로 점심식사를 드신 후, 시중을 드는 비구들로부터 발을 잘 씻은 후 자신의 Kuṭi(거주지)로 돌아와서 비구들에게 Ovāda(훈계)를 하셨습니다. “Bhikkhave, appamādena sampādetha,dullabho budduppādo lokasmiṃ, dullabho manussattapaṭilāb..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 - 4대요소의 인식 (2002 0928)

https://youtu.be/et_XjeXfJk4?si=9eIOhNPAKVc6dGHu *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 - 4대요소의 인식 (2002 0928)지하철 2호선 타본 사람? (수행자 대답 : ...) 1차선 보다 빠르던가? 차량이 아무래도 3대니까 조금 빠르겠지 뭐. (수행자 : ...) 모르겠어요? 어쨌든 노선이 많아짐으로 해서 집에 가기가 좀 수월해지지. 어디 다른 데 이동하기도 좀 수월해지고, 그건 틀림없이 있을 거라. 물론 그것도 뭐 차량도 세월이 지나면 자꾸자꾸 인제 노후화되니까 뭐 이것도 느려지고 부서지고 하겠지. 그것도 부처님 진리대로 따라가는 거지 별 수 있나, 지가? 자, 그런데 꼭 시절(?)로 가는 것이 표는 낸단 말이라. ... 이번에는 여기서 만약에 서면을 간다 그럴 것 같으면..

선우 - 깔르야나 밋따(kalyāṇa mitta)의 자질 (20240817)

https://youtu.be/Hb0GrcwHv3M?si=14MZ0EwiA5fZvBFs * 선우 - 깔르야나 밋따(kalyāṇa mitta)의 자질 (20240817) 어제는 스님이 아는 스님하고 같이 통도사에 한번 갔다 왔어요. 가가지고 욕만 바가지로 먹고 왔어요. 그 통도사 그 사리 모신데로 올라가는 계단이 이렇게 있잖아요. 근데 자꾸 이 스님이 “스님! 가운데 길로 들어가십시오.” 이러는 거라. 그래서 생각 없이 그냥 가운데 길로 들어갔는데 통도사에 있는 스님이 난리가 났어요. 거 왜 조실 스님이나 큰 스님이 드나드는 그 가운데 길을 가느냐고 막 야단을 치는 거라. 그래서 내가 그냥 합장하고 “죄송합니다.”하고 인제 나는 여기 옆으로 빠져나왔는데, 같이 간 스님은 “이 스님이 누군지 알고 그러느냐?..

통나무의 비유_팔정성도, 오온 (2002 0907)

https://youtu.be/t3K1X-ODd3I?si=SeH1wNYjkiL6JoWf * 통나무의 비유_팔정성도, 오온 (2002 0907)자, 어쨌든 저번 시간에 통나무에 대한 비유를 했습니다. 대충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어떤 위험들에 처해서 살아가는가" 하는 걸 갖다 뗏목에, 통나무에 비유해서 예를 들어 설명을 해드렸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열반에 이르는 길도 이 통나무와 꼭 마찬가지다" 하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과정들을 겪고 또 이겨내야만이 깨달음을 성취한다" 하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그 깨달음을 성취하는 길들이 바로 다른 것이 아니라 이 통나무의 비유에 잘 부처님이 표현을 해놓은 것입니다. 어쨌든 숨을 쉬고 있을 것 같으면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이고. 숨을..

살아가면서 생겨나는 여섯 가지 잘못된 견해들_뗏목의 비유 (2002 0824)

https://youtu.be/mBCXuP_zaGk?si=6LMaY3DWuUhW8yPV * 살아가면서 생겨나는 여섯 가지 잘못된 견해들_뗏목의 비유 (2002 0824)... 법문하려 했는데 다음 주로 연기를 했습니다. 봉암사에서 한 철을 지내고 와가지고 좋은 법문을 설해주실 겁니다. 인연이 돼야 합니다. 법을 설하는 것은. ... ... ...자, 이제 스님 말을 잘 듣도록 하십시오. 전에 스님이 뗏목의 비유를 한번 한 적이 있습니다. 기억납니까? (수행자 ...) 뗏목이 강으로 흘러가려면 어떻게 흘러가야 된다는 것을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기억난다면서? (수행자 ...) 그때 분명히 8가지인가 얘기를 했죠. 이쪽 언덕에도 닿지 않고 저쪽 언덕에도 닿지 않고. (수행자 ...)그거 말고 뗏목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