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84

담마와나선원 _ 붓다의날 오후 질의응답 (20240519)

* 담마와나선원 _ 붓다의날 오후 질의응답 (20240519)https://youtu.be/2ARvA-58llM?si=D6DyWReg-AP67St_ 23:30부터 기록하였습니다. Q. 수행자 질문 : 안녕하세요? 스님. 제가 만약에 직장 다니면서 일이 바쁘고 하다 보면 하루에 한 30분에서 1시간이 남아있다 치면은 저 같은 경우에는 집중수행처를 갈 수 있는 환경이 잘 안 되고 선원도 좀 시간이 없어요. 그러다 보니까 자꾸 위빳사나 사마타를 하는 것보다는 자애수행 위주로 자애경을 읽거나 아니면 자애의 책을 읽고 그리고 자꾸 자애를 빌어서 나중에 천신이나 이런 식으로 나중에 다시 윤회를 하게 되든지 해서 그때 수행을 한다거나 아니면 좋은 조건으로 태어나서 그런 쪽으로 바라게 되는데, 제가 만약에 아까처럼 3..

2024년 담마와나선원 붓다의날 법회_부처님의 4가지 위력 (20240519)

https://youtu.be/hPUDfhhCt7E?si=U4gaeO2-VpJ0d3JM * 2024년 담마와나선원 붓다의날 법회_부처님의 4가지 위력 (20240519) 오늘은 붓다의 날이죠!위사카 뿌자(visākha pūjā)라고 하는 날입니다. 부처님 태어나시고 성도하시고 열반하신 삼대 길일을 한 날에 치르는 날입니다. 부처님 대단하죠? 이렇게 사람을 모이게 하니까. 오늘은 「부처님의 4가지 위력」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한국 같은 경우에는 4월초파일 이래서 절에서 굉장히 바쁘고, 일반 재가자들도 등공양 올리기 위해서 많이 힘을 씁니다. 한국에 처음 들어와서 느낀 게 너무 틀리다(다르다). 밖에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들을 어떤 것을 하는 것이 맞을까 해서 갖가지 것들을 생각해냅니다. ..

불멸을 목표로 한다면 불방일이야말로 불도의 실천입니다.(2024년 붓다의날)

불멸을 목표로 한다면 불방일이야말로 불도의 실천입니다.(2024년 붓다의날) Appamādavaggo 불방일 Appamādo amatapadaṁPamādo maccuno padaṁAppamattā na mīyantiYe pamattā yathā matā부지런히 노력하는 것(不放逸)은 불멸의 경지이다.게으름을 피우는 것(放逸)은 죽음의 경지이다.부지런히 노력하는(불방일하는) 사람은 죽지 않는다.게으름 피우는(방일하는) 사람들은 죽은 자와 같다. Etaṁ visesato ñatvāAppamādamhi paṇḍitāAppamāde pamodantiAriyānaṁ gocare ratā이 사실을 분명히 알아서,불방일(不放逸)을 능숙하게 아는 사람들은,불방일(不放逸)을 기뻐하며,성자들의 경지를 즐긴다.  Te jh..

2024년 붓다의날 법문_Aappamādavaggo 불방일(20240518)

* 2024년 붓다의날 법문_Aappamādavaggo 불방일(20240518)「불멸을 목표로 한다면 불방일이야 말로 불도의 실천입니다.」 프린트물 다 받았죠?오늘은 위사카 뿌자(visākha pūjā) 붓다의 날입니다. 태국에 있을 때 많이 기억에 남는 행사 중에 하나가 이 붓다의 날이라. 다른 거는 잘 기억이 안 나는데, 꼭 그날 하루만큼은 스님들이 이렇게 쭉 앉아 있으면 신도들이 전부 돌아가면서 손하고 발을 씻겨줍니다. '세족식'이라고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손하고 발을 씻겨주는데 남자들만 씻길 수 있으니까 여자들은 남자들 뒤에 손을 이렇게 딱 대고 있으면서 모든 대중들이 전부 스님들 손과 발을 다 씻겨줍니다. 그게 그래도 붓다의 날 때 최고 마음에 남아있는 현상입니다.오늘은 손발을 씻겨주는 것이 ..

자비희사 사무량심을 다 통괄하고 통제하고 콘트롤하는 것!

* 멧따, 까루나, 무디따, 우뻭카 - 사무량심을 다 통괄하고 통제하고 콘트롤하는 것! 자애는 연민하고 밀접하게 연관이 돼있습니다. 자애(멧따)는 자칫 잘못하면 한정된 대상에, 그것이 행복인양 빠질 수가 있습니다.한정된 행복을 즐길려고 하는 마음이 강해집니다. 어떤 면에서는 집착인 거죠. 그런 집착심을 여의게끔 해주는 것이 바로 이 연민입니다 연민(까루나)은 자칫 잘못하면 감정의 흐름으로 치우치기가 쉽습니다. 자애로 인해가지고 이 연민을 방어하고 한쪽으로 흘러갈 수 있는 것들을 막아야 됩니다.  연민은 자칫 잘못하면 같이 우울에 빠져버립니다.함께 기뻐한다(무디따)고 하는 것이 같이 우울에 빠지는 것들을 막아주는 역할들을 해나갑니다. 왜 그렇겠어요? 함께 기뻐할 때는 항상 에너지가 넘칩니다. 노력할려는 마..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20240504)

https://youtu.be/C_if0C6guM8?si=mBd5VXGT8TrosPPj  *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20240504) 요즘 덥죠? 날씨가 더울 때도 있고, 또 추울 때도 있고, 눈이나 비가 올 때도 있고 그렇습니다.오늘은 덥다가 내일 추우면 어떻게 해야 돼요? (수행자 대답 : 옷 입어야 됩니다.)옷 입으면 되죠!그런데 여러분들도 여러분들 몸도 늙고 병들고 죽음을 맞잖아. 병들면 어떻게 해야 돼요? 또 누군가 죽으면 어떻게 해요? 똑같은 물질적인 현상인데 왜 여러분들 몸은 그렇게 못 가게 막 잡고 그러지? 요즘은 모르는 사람들이 문답을 하는 게 좀 많아졌어요. 어떻게 된 건지는 모르겠는데, 그런데 어떨 때는 그냥 ‘질문을 안 하고 혼자 해결할 수 있는 걸 내한테 왜 질..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20240504.법문교재)

*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20240504. 프린트물 법문교재) 인간은 항상 '나는 완벽하다'는 자세로 살아갑니다.상대나 아이가 제멋대로라든지, 직장동료가 친절하지 않아서 불행하다든지, 잘못은 주위의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나는 언제나 완벽하다고 생각하면서 매일을 힘들게 합니다. '나는 왜 불행한가?' 하고 물어보고 그 이유를 적어보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불행의 원인은 주위 사람이나 환경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내 불행을 만든 건 나야"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아요. 우리는 항상 불행의 원인을 우리 자신 밖에서 찾습니다. 사실 행복과 평화는 매우 단순합니다.불행의 원인을 밖에서 찾지 마십시요. 그게 전부..

자애수행할 때 주의깊게 봐야되는 부분_자애수행으로 선정에 들도록(20240420)

https://youtu.be/ZZwyDXtbiDU?si=mrdERvxTpFvsMgb1 * 자애수행할 때 주의깊게 봐야되는 부분_자애수행으로 선정에 들도록(20240420) 오늘은 「자애수행 할 때 좀 주의 깊게 봐야 되는 부분」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자애수행은 왜 하죠? 왜 하는 거라? 왜 여기 다 벙어리들만 있어? 말을 안 해. (수행자 대답 : 그중에 한 가지는 예비수행으로 하기도 하고...) (수행자 대답 : 바른 마음가짐을 가지기 위해서 합니다.) 음. 보통 자애수행을 요런 식으로 하니까 자애수행이 안 느는 거라. 대부분 문답하는 사람들이 “스님, 자애수행이 참 잘 안됩니다. 오래 못합니다” 대부분 다 잘 깨진다는 얘기죠, 자애가. 그런 얘기들을 많이 합니다. 왜 깨질까? 자애수행의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