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아비담마

♠ 아비담마 (Abhidhamma) 요약

담마마-마까 2020. 2. 10. 15:47


아비담마 (Abhidhamma)               

                              아비담마 요약.hwp

     

<아미담마 칠론>

담마상가니(dhammasaṅgaṇī, 법집론)

위방가(vibhaṅga, 분별론)

다뚜까타(dhātukathā, 계론)

뿍갈라빤냐띠(puggalapaññatti, 인시설론)

까타왓투(kathāvatthu, 논사)

야마까(yamaka, 쌍론)

빳타나(paṭṭhāna, 발취론)

 

[1] 궁극적 실재 (빠라맛타, paramattha)

 

1. 궁극적 실재 (빠라맛타, paramattha) 4가지

마음 마음부수 물질 닙바나(열반)

 

2. 마음 (찟따, citta) 89가지

욕계(까마와짜라, kāmavacara) 마음 54가지

색계(루빠와짜라, rūpavacara) 마음 15가지

무색계(아루빠와짜라, arūpavacara) 마음 12가지

출세간(로꿋따라, lokuttara) 마음 8가지

 

3. 마음부수 (쩨따시까, cetasik.) 52가지

다른 것과 같아지는(안냐사마나, aññasamāna) 마음부수 13가지

불선한(아꾸살라, akusala) 마음부수 14가지

아름다운(소바나, sobhana) 마음부수 25가지

 

4. 물질 (루빠, rūpa) 28가지

구체적인 물질(完色, 닙판나 루빠, nipphanna-rūpa) 18가지

추상적인 물질(非完色, 아닙판나 루빠, anipphanna-rūpa) 10가지

 

5. 닙바나 (nibbāna, 열반)

유여열반(사우빠디세사, sa-upadisesa)

무여열반(아누빠디세사, an-upadisesa)

 

 

[2] 욕계 마음 (까마와짜라, kāmavacara, 54가지)

 

? 불선한(아꾸살라, akusala) 마음 12가지

 

1. 탐욕에 뿌리박은(로바물라, lobhamula) 마음 8가지

기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된,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된, 자극 받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되지 않은,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되지 않은, 자극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된,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된,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되지 않은,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사견과 결합되지 않은, 자극받은 마음

 

2. 성냄에 뿌리박은(도사물라, dosamula) 마음 2가지

불만족이 함께 하고, 분노와 결합되고, 자극 없는 마음

불만족이 함께 하고, 분노와 결합되고, 자극 있는 마음

 

3. 어리석음에 뿌리박은(모하물라, mohamula) 마음 2가지

평온이 함께 하고, 의심과 결합된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들뜸과 결합된 마음

 

? 원인없는 (아헤뚜까, ahetuka) 마음 18가지

 

1. 불선한 과보의 (akusala-vipāka) 마음 7가지

평온이 함께 한 눈의 의식(안식)

평온이 함께 한 귀의 의식(이식)

평온이 함께 한 코의 의식(비식)

평온이 함께 한 혀의 의식(설식)

고통이 함께 한 몸의 의식(신식)

평온이 함께 한 받아들이는 마음

평온이 함께 한 조사하는 마음

 

2. 선한 과보의 (kusala-vipāka) 마음 8가지

평온이 함께 한 눈의 의식(안식)

평온이 함께 한 귀의 의식(이식)

평온이 함께 한 코의 의식(비식)

평온이 함께 한 혀의 의식(설식)

즐거움이 함께 한 몸의 의식(신식)

평온이 함께 한 받아들이는 마음

기쁨이 함께 한 조사하는 마음

평온이 함께 한 조사하는 마음

 

3. 단지 작용만 하는 (ahetuka-kiriya) 마음 3가지

평온이 함께 한 오문전향의 마음

의문전향의 마음

기쁨이 함께 한 미소 짓는 마음

 

? 욕계의 아름다운 (kāmavacara-sobhana) 마음 24가지

 

1. 욕계의 선한 (kāmavacara-kusala) 마음 8가지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고,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고, 자극 받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고,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고,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고,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고,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고,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고, 자극 받은 마음

 

2. 욕계 과보의 (kāmavacara-vipāka) 마음 8가지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은 마음

 

3. 욕계의 단지 작용만 하는 (kāmavacara-kriya) 마음 8가지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기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있으며, 자극 받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지 않은 마음

평온이 함께 하고, 지혜가 없으며, 자극 받은 마음

 

 

[3] 색계 마음 (루빠와짜라, rūpavacara, 15가지)

 

1. 색계 선한 (rūpavacara-kusala) 마음 5가지

초선의 선한 마음 : 일으킨 마음 지속적 마음 희열 행복 집중

이선의 선한 마음 : 지속적 마음 희열 행복 집중

삼선의 선한 마음 : 희열 행복 집중

사선의 선한 마음 : 행복 집중

오선의 선한 마음 : 평온 집중

우측은 구성요소

 

2. 색계 과보의(rūpavacara-vipāka) 마음 5가지

초선의 과보의 마음 (pathamajjhana-vipākacitta)

이선의 과보의 마음 (dutiyajjhana-vipākacitta)

삼선의 과보의 마음 (tatiyajjhana-vipākacitta)

사선의 과보의 마음 (catutthajjhana-vipākacitta)

오선의 과보의 마음 (pancamajjhana-vipākacitta)

 

3. 색계 단지 작용만 하는 (rūpavacara-kiriya) 마음 5가지

초선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pathamajjhana-kiriyacitta)

이선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dutiyajjhana-kiriyacitta)

삼선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tatiyajjhana-kiriyacitta)

사선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catutthajjhana-kiriyacitta)

오선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pancamajjhana-kiriyacitta)

 

 

[4] 무색계 마음 (아루빠와짜라, arūpavacara, 12가지)

 

1. 무색계 선한 (arūpavacara-kusala) 마음 4가지

공무변처 (akasanancayatana) 선한 마음

식무변처 (vinnanancayatana) 선한 마음

무소유처 (akincannayatana) 선한 마음

비상비비상처 (nevasannanasannayatana) 선한 마음

 

2. 무색계 과보의(arūpavacara-vipāka) 마음 4가지

공무변처 과보의 마음

식무변처 과보의 마음

무소유처 과보의 마음

비상비비상처 과보의 마음

 

3. 무색계 단지 작용만 하는(arūpavacara-kiriya) 마음 4가지

공무변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식무변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무소유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비상비비상처 단지 작용만 하는 마음

 

 

[5] 출세간 마음 (로꿋따라, lokuttara, 8가지)

 

1. 출세간의 선한(lokuttara-kusala) 마음 4가지

예류도의 마음 (소따빳띠 막가찟따, sotāpatti-maggacitta)

일래도의 마음 (사까다가미 막가찟따, sakadāgāmī-maggacitta)

불환도의 마음 (아나가미 막가찟따, anaāgāmī-maggacitta)

아라한도의 마음 (아라핫따 막가찟따, arahatta-maggacitta)

 

2. 출세간의 과보의(lokuttara-vipāka) 마음 4가지

예류과의 마음 (소따빳띠 팔라찟따, sotāpatti-phalacitta)

일래과의 마음 (사까다가미 팔라찟따, sakadāgāmī-phalacitta)

불환과의 마음 (아나가미 팔라찟따, anāgāmī-phalacitta)

아라한과의 마음 (아라핫따 팔라찟따, arahatta-phalacitta)

 

[6] 마음부수 (쩨따시까, cetasika, 54가지)

 

? 다른 것과 같아지는 (aññasamāna) 마음부수 13가지

 

1. 모든 마음에 공통되는 것 (sabba-citta-sādhāraṇa) 7가지

접촉 (팟사 phassa)

느낌 (웨다나, vedanā)

지각 (산냐, saññā 인식)

의도 (쩨따나, cetanā)

집중 (에깍가따, ekaggatā)

생명기능 (지위띤드리야, jīvitindriya)

주의력 (마나시까라, manasikāra)

 

2. 때때로 일어나는 것 (빠낀나까, pakiṇṇaka) 6가지

일으킨 마음 (위딱까, vitakka)

지속적 마음 (위짜라, vicāra)

결심 (아디목카, adhimokkha)

정진 (위리야, viriya)

희열 (삐띠, pīti)

열의 (찬다, chanda)

 

? 불선한 (아꾸살라, akusala) 마음부수 14가지

 

1. 불선한 (아꾸살라, akusala) 마음부수 14가지

어리석음 (모하, moha)

양심 없음 (아히리까, ahirika)

수치심 없음 (아놋땁빠, anottappa)

들뜸 (웃닷짜, uddhacca)

탐욕 (로바, lobha)

사견 (딧티, diṭṭhi)

자만 (마나, māna)

성냄 (도사, dosa)

질투 (잇사, issā)

인색 (맛차리야, macchariya)

후회 (꾹꿋짜, kukkucca)

해태 (티나, thīna)

혼침 (밋다, middha)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ā)

 

? 아름다운(소바나, sobhana) 마음부수 25가지

 

1. 아름다움에 공통되는(sobhana-sādhāraṇa) 마음부수 19가지

믿음 (삿다, saddhā)

알아차림 (사띠, sati)

양심 (부끄러움, 히리, hiri)

수치심 (창피함, 옷땁빠, ottappa)

탐욕없음 (알로바, alobha)

성냄없음 (아도사, adosa)

중립 (따뜨라맛잣따따, tatramajjhattatā)

몸의 경안 (까야 빳삿디, kāyapassaddhi)

마음의 경안 (찟따 빳삿디, cittapassaddhi)

몸의 가벼움 (까야 라후따, kāyalahutā)

마음의 가벼움 (찟따 라후따, cittalahutā

몸의 부드러움 (까야 무두따, kāyamudutā)

마음의 부드러움 (찟따 무두따, cittamudutā)

몸의 적합함 (까야 깜만냐따, kāyakammaññatā)

마음의 적합함 (찟따 깜만냐따, cittakammññatā)

몸의 능숙함 (까야 빠군냐따, kāyapaguññatā)

마음의 능숙함 (찟따 빠군냐따, cittapaguññatā)

몸의 올곧음 (까야 우주까따, kāya-ujjukatā)

마음의 올곧음 (찟따 우주까따, citta-ujjukatā)

 

2. 절제 (위라띠, virati) 3가지

바른 말 (삼마 와짜, sammā-vācā)

바른 행위 (삼마 깜만따, sammā-kammanta)

바른 생계 (삼마 아지와, sammā-ājīva)

 

3. 무량 (압빠만냐, appamanna) 2가지

연민(까루나, karunā)

함께 기뻐함(무디따, muditā)

 

4. 어리석음 없음 (아모하, amoha) 1가지 : paññā

 

[7] 인식과정 (위티찟따, vithicitta)

 

1. 여섯 토대 (왓투, vatthu)

(짝쿠, cakkhu, ) 토대

(소따, sota, ) 토대

(가나, ghana, ) 토대

(지와, jivha. ) 토대

(까야, kāya, ) 토대

심장 (하다야, hadaya, ) 토대

 

2. 여섯 문 (드와라, dvāra)

눈의 문 (짝쿠 드와라, cakkhudvāra, 안문)

귀의 문 (소따 드와라, sotadvāra, 이문)

코의 문 (가나 드와라, ghanadvāra, 비문)

혀의 문 (지와 드와라, jivhadvāra, 설문)

몸의 문 (까야 드와라, kayadvāra, 신문)

마음의 문 (마노 드와라, manodvāra, 의문)

 

3. 여섯 대상 (아람마나, ārammaa)

형상 (색깔, 루빠, rupa, )

소리 (삿다, sadda, )

냄새 (간다, gandha, )

(라사, rasa, )

접촉 (폿탑바, phoṭṭhabba, )

(담마, dhamma, )

 

4. 여섯 의식 (윈냐나, viññāṇa, , 알음알이)

눈의 의식 (짝쿠 윈냐나, cakkhu-viññāṇa, 안식)

귀의 의식 (소따 윈냐나, sota-viññāṇa, 이식)

코의 의식 (가나 윈냐나, ghana-viññāṇa, 비식)

혀의 의식 (지와 윈냐나, jivha-viññāṇa, 설식)

몸의 의식 (까야 윈냐나, kāya-viññāṇa, 신식)

마음의 의식 (마노 윈냐나, mano-viññāṇa, 의식)

 

5. 여섯 인식과정 (위티, vīthi)

눈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짝쿠드와라위티, cakkhudvāravīthi)

귀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소따드와라위티, sotadvāravīthi)

코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가나드와라위티, ghanadvāravīthi)

혀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지와드와라위티, jivhadvāravīthi)

몸의 문과 연결된 인식과정 (까야드와라위티, kāyadvāravīthi)

마음의 문과 연결된 과정 (마노드와라위티, mānodvāravīthi)

 

6. 여섯 대상의 나타남 (위사얍빠왓띠, visaya-ppavatti)

매우 큰 것

큰 것

작은 것

매우 작은 것

선명한 것

희미한 것 (오문 : -, 의문 : -)

 

7. 오문인식과정 (pañcadvāravīthi) : 매우 큰 대상의 경우

지나간 바왕가 (아띠따 바왕가, atita-bhavanga)

바왕가의 동요 (바왕가 짤라나, bhavanga-calana)

바왕가의 끊어짐 (바왕가 웃체다, bhavanga-uccheda)

오문전향 (빤짜드와라 아왓자나, pancadvara-avajjana)

오식 (빤짜윈냐나, panca-viññāṇa,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

받아들임 (삼빠띠차나, sampatichana)

조사 (산띠라나, santirana)

결정 (옷타빠나, votthapana)

-7번의 속행 (자와나, javana)

.-2번의 등록 (따다람마나, tadarammana)

 

8. 의문에서 본삼매 속행과정 (appanajavana-manodvāravithi)

의문전향 (마노드와라 왓자나, manodvāra-avajjana)

준비 (빠리깜마, parikamma)

근접 (우빠짜라, upacara)

수순 (아눌로마, anuloma)

종성 (고뜨라부, gotrabhu)

본삼매 (자나, jhāna)

 

[8] 과정을 벗어난 마음 (위티뭇따, vīthimutta)

 

1. 네 세상 (부미, bhūmi) (31 세상)

악처세상 (아빠야 부미, apāya-bhūmi) (4)

욕계선처세상 (까마 수가띠 부미, kāma-sugati-bhūmi) (7)

색계세상 (루빠 와짜라 부미, rūpa-vacara-bhūmi) (16)

무색계세상 (아루빠 와짜라 부미, arūpa.-vacara-bhūmi) (4)

 

2. 악처세상 (아빠야 부미, apaya-bhūmi) (4)

지옥 (니라야, niraya)

축생계 (띠랏차나 요니, tiracchāna-yoni)

아귀계 (뻿띠 위사야, petti-visaya) (peta)

아수라 무리 (아수라 까야, asura-kaya)

 

3. 욕계 선처세상 (까마 수가띠 부미, kāma-sugati-bhūmi) (7)

인간 (마눗사, manussa)

사대왕천 (짜뚜 마하라지까, catu-mahārājikā)

삼십삼천 (제석천, 따와띵사, tāvatiṁsā)

야마천 (야마, yāmā)

도솔천 (뚜시따, tusitā)

화락천 (님마나라띠, nimmānaratī)

타화자재천 (빠라님미따와사왓띠, para-nimmita-vasavattī)

 

4. 색계세상 (루빠와짜라 부미, rūpavacarabhūmi)

초선의 세상 (빠타맛자나 부미, pathamajjhana-bhūmi)

이선의 세상 (두띠야자나 부미, dutiyajjhana-bhūmi)

삼선의 세상 (따띠얏자나 부미, tatiyajjhana-bhūmi)

사선의 세상 (짜뚯타자나 부미, catutthajjhana-bhūmi)

 

5. 초선의 세상 (빠타맛자나 부미, pathamajjhana-bhūmi) (3)

범중천 (브라흐마 빠리삿자, brahma-pārisajjā)

범보천 (브라흐마, 뿌로히따, brahma-purohitā)

대범천 (마하 브라흐마, mahā-brahmā)

 

6. 이선의 세상 (두띠야자나 부미, dutiyajjhana-bhūmi) (3)

소광천 (빠릿따바, parittābhā)

무량광천 (압빠마나바, appamāṇābhā)

광음천 (아밧사라, ābhassarā)

 

7. 삼선의 세상 (따띠얏자나 부미, tatiyajjhana-bhūmi) (3)

소정천 (빠릿따수바, parittasubhā)

무량정천 (압빠마나수바, appamaṇasubhā)

변정천 (수바낀하까, subhakiṇhakā)

 

8. 사선의 세상 (짜뚯타자나 부미, catutthajjhana-bhūmi) (2)

광과천 (웨합팔라, veha-pphalā)

무상유정천 (아산냐삿따, asañña-sattā)

 

정거천 (숫다와사, suddhāvāsā)

 

9. 정거천의 세상 (숫다와사 부미, suddhavasa-bhūmi) (5)

무번천 (아위하, avihā)

무열천 (아땁빠, atappā)

선현천 (수닷사, sudassā)

선견천 (수닷시, sudassī)

색구경천 (아까닛타, akaniṭṭhā)

 

10. 무색계세상 (아루빠와짜라 부미, arūpavacarabhūmi) (4)

공무변처천 (아까사난짜야따나, ākāsānañcāyatana)

식무변처천 (윈냐난짜야따나, viññāṇañcāyatana)

무소유처천 (아낀짠냐야따나, ākiñcaññāyatana)

비상비비상처천 (네와산냐나산냐야따나, nevasañña- nāsaññāyatana)

 

11. 재생연결 (빠띠산디, paṭisandhi)

악처의 재생연결

욕계 선처의 재생연결

색계의 재생연결

무색계의 재생연결

 

 

[9] (깜마, kamma)

 

1. 기능에 따라 (kicca-vasena)

생산업 (자나까, janaka-kamma)

돕는업 (우빳탐바까, upatthambhaka)

방해업 (우빠삘라까, upapīỊaka)

파괴업 (우빠가따까, upaghātaka)

 

2. 과보를 생산하는 순서에 따라 (paka-dana-pariyayena)

무거운 업( 가루까, garuka-kamma)

임종직전의 업 (아산나, āsanna)

습관적인 업 (아찐나, āciṇṇa)

이미 지은 업 (까땃따, katṭattā)

 

3. 성숙하는 시간에 따라 ( paka-kala-vasena)

금생에 받는 업 (딧타담마웨다니야, diṭṭhadhammavedanīya-kamma)

다음 생에 받는 업 (우빠빳자웨다니야, upapajjavedanīya)

확정되지 않은 업 (아빠라빠리야웨다니야, aparāpariyavedanīya)

효력을 상실한 업 (아호시깜마, ahosikamma)

 

4. 과보를 생산할 장소에 따라 (paka-thana-vasena)

불선한 업 (아꾸살라, akusala)

욕계 선한 업 (꾸살라, kusala)

색계 선한 업 (루빠와자라 꾸살라, rūpavacara-kusala)

무색계 선한 업 (아루빠와자라 꾸살라, arūpavacara-kusala)

 

5. 불선한 업 (아꾸살라 깜마, akusala-kamma)

몸의 불선한 업 (kāya-kamma) - 殺生(살생), 不與取(불여취), 欲邪行(욕사행)

말의 불선한 업 (vacī-kamma) - (거짓말 妄語 망어 musāvāda), (소문 離間語 이간어 pisuṇā-vācā), (헐뜯는 말. 麁惡語 추악어 pharusā-vācā), (잡담 綺語 기어 samphappalāpo)

마음의 불선한 업 (mano-kamma) - 비정상적인 욕구(), 비정상적인 성냄, 邪見(사견)

 

*불선업의 뿌리() kamma-mūla

진근(瞋根)不善 (살생 pāṇātipāta, 비방하는 말 pharusā-vācā, 비정상적인 성냄(, 瞋恚) byāpāda)

탐근(貪根)不善 (欲邪行(욕사행), 비정상적인 (), 邪見(사견))

, (, ) 2不善 (不與取불여취, 妄語망어, 離間語이간어, 綺語기어)

 

6. 선한 업 (꾸살라 깜마, kusala-kamma)

몸의 선한 업

말의 선한 업

마음의 선한 업

 

[10] 죽음과 재생연결의 과정 (쭈띠 빠띠산디, cuti-paisandhi)

 

1. 네 죽음의 원인

수명이 다함 (āyu-kkhaya)

생산업이 다함 (kamma-kkhaya)

수명과 업 둘 모두 다함 (ubhaya-kkhaya)

파괴하는 업이 끼어 듦 (upacchedaka- kamma)

 

2. 죽을 때의 표상

(깜마, kamma)

업의 표상 (깜마 니밋따, kamma-nimitta)

태어날 곳의 표상 (가띠 니밋따, gati-nimitta)

 

 

[11] 물 질 (루빠, rūpa)

 

1. 물질 (루빠, rūpa) (28가지)

사대 근본물질(4大色, catu mahābhūta rūpa)(4)

사대 파생물질(4大依止色, catu mahābhūta-upadaya rūpa)(24)

 

물질은 구체적 물질(18)과 추상적 물질(10)로 구분

: 4, 5, 대색과 중복되는 ··의 촉감을 제외한 4, 2개의 , , , 을 합쳐 18종의 完色(nipphanna-rupa)이 있다.

分斷, 2개의 , 3개의 變化(, 어표 중복), 4개의 非完色 10개가 있어 전부 28종이 된다. 이것이 물질의 분석 중 물질의 列擧이다.

 

2. 물질이 일어나는 원인 4가지

업에서 생긴 물질 (깜마사뭇타나루빠, kamma-samutthana-rūpa)

마음에서 생긴 물질 (찟따사뭇타나루빠, citta-samutthana-rūpa)

온도에서 생긴 물질 (우뚜사뭇타나루빠, utu-samutthana-rūpa)

음식에서 생긴 물질 (아하라사뭇타나루빠, ahara-samutthana-rūpa)

 

? 구체적인 물질 (完色, 닙판나 루빠, nipphanna-rūpa) 18가지

 

1. 근본물질 (4大色, 짜뚜 마하부따 루빠, catu mahābhūta rūpa) 4가지

땅의 요소 (빠타위-다뚜, paṭhavīdhātu) : 단단함 거침 무거움 부드러움 매끄러움 가벼움

물의 요소 (아뽀-다뚜, āpodhātu) : 흐름 응집

불의 요소 (떼조-다뚜, tejodhātu) : 따뜻함 차가움

바람의 요소 (와요-다뚜, vāyodhātu) : 지탱 (움직임)

 

2. 감성 물질 (淨色, 빠사다 루빠, pasāda-rūpa) 5가지

눈의 감성 (짝쿠-빠사다, cakkhu-pasāda)

귀의 감성 (소따-빠사다, sota-pasāda)

코의 감성 (가나-빠사다, ghāna-pasāda)

혀의 감성 (지와-빠사다, jivhā-pasāda)

몸의 감성 (까야-빠사다, kāya-pasāda)

 

3. 대상의 물질 (境色, 고짜라 루빠, gocara rūpa) 4가지

(루빠, rūpa, )

소리 (삿다, sadda, )

냄새 (간다, gandha, )

(라사, rasa, )

접촉 (폿탑바, phoṭṭhabba, )은 땅, , 바람의 3대이다.

 

4. (性色, 바와 루빠, bhāva-rūpa) 2가지

여성 (잇티바와, itthibhāva 혹은 잇탓따, itthatta)

남성 (뿜바와, pumbhāva, 혹은 뿌리삿따, purisatta)

 

5. 심장의 물질 (心色, 하다야 루빠, hadaya-rūpa) 1가지

심장토대 (하다야 왓투, hadaya-vatthu)

 

6. 생명의 물질 (命色, 지위따 루빠, jīvita-rūpa) 1가지

생명기능 (命根, 지위띤드리야, jīvitindriya)

 

7. 음식의 물질 (食色, 아하라 루빠, āhāra-rūpa) 1가지

영양소 (오자, ojā)

 

? 추상적인 물질 (非完色, 아닙판나 루빠, anipphanna-rūpa) 10가지

 

1. 한정 (分斷色, 빠릿체다 루빠, pariccheda-rūpa) 1가지

공간의 요소 (아까사 다뚜, ākāsa-dhātu)

 

2. 암시 (表色, 윈냣띠 루빠, viññatti rūpa) 2가지

몸의 암시 (까야 윈냣띠, kāya-viññatti)

말의 암시 (와찌 윈냣띠, vacī-viññatti)

 

3. 변화 (變化色, 위까라 루빠, vikāra rūpa) 3가지

물질의 가벼움 (루빳사 라후따, rūpassa lahutā)

물질의 부드러움 (루빳사 무두따, rūpassa mudutā)

물질의 적합함 (루빳사 깜만냐따, rūpassa kammaññatā)

+ 身表(신표)語表(어표)

 

4. 특징 (相色, 락카나 루빠, lakkhaṇa-rūpa) 4가지

생성 (우빠짜야, upacaya)

상속 (산따띠, santati)

쇠퇴 (자라따, jaratā)

무상함 (아닛짜따, aniccatā)

 

? 깔라빠 (소립자, kalapa, 물질의 최소 구성단위) 21가지

 

* 팔원소 깔라빠 (깔라빠 최소단위, 앗타까깔라빠, atthaka-kalapa)

땅의 요소 (빠타위-다뚜, paṭhavīdhātu)

물의 요소 (아뽀-다뚜, āpodhātu)

불의 요소 (떼조-다뚜, tejodhātu)

바람의 요소 (와요-다뚜, vāyodhātu)

색깔 (완냐, vanna)

냄새 (간다, gandha)

(라사, rasa)

영양소 (오자, ojā)

 

1. 업에서 생긴 깔라빠 (깜맛자 깔라빠, kammaja-kalapa) 9가지

눈 십원소 (짝쿠, cakkhu-dasaka) : 팔원소+생명+눈의 감성

귀 십원소 (소따, sota-dasaka) : 팔원소+생명+귀의 감성

코 십원소 (가나, ghana-dasaka) : 팔원소+생명+코의 감성

혀 십원소 (지와, jivha-dasaka): 팔원소+생명+혀의 감성

몸 십원소 (까야, kāya-dasaka) : 팔원소+생명+몸의 감성

심장 십원소 (하다야, hadaya-dasaka) : 팔원소+생명+심장토대

여성 십원소 (잇티바와, itthibhava-dasaka) : 팔원소+생명+여성

남성 십원소 (뿜바와, pumbhava-dasaka) : 팔원소+생명+남성

생명 구원소 (지위따, jivita-navaka) : 팔원소+생명

 

2. 마음에서 생긴 깔라빠 (찟따자 깔라빠, cittaja-kal.pa) 6가지

마음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몸의 암시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말의 암시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몸의 암시·가벼움(3) 십이원소 (드와다사까, dvadasaka) : 팔원소+

말의 암시·소리·가벼움(3) 십삼원소 (떼라사까, terasaka) : 팔원소+

 

3. 온도에서 생긴 깔라빠 (웃뚜자 깔라빠, utuja-kalapa) 4가지

온도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소리 구원소 (나와까, navaka) : 팔원소+

가벼움(3)의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소리·가벼움(3) 십이원소 (드와다사까, dvadasaka) : 팔원소+

 

4. 음식에서 생긴 깔라빠 (아하라자 깔라빠, aharaja-kalapa) 2가지

음식 팔원소 (앗타까, atthaka) : 팔원소

가벼움·부드러움·적합함 십일원소 (에까다사까, ekadasaka) : 팔원소+

 

[12] 닙바나 (닙바나, nibbāna, 열반)

 

1. 원인 (까라나, karana)의 방편에 따라

유여열반 (사우빠디세사, sa-upadisesa)

무여열반 (아누빠디세사, an-upadisesa)

 

2. 형태에 따라

(순냐따, suññatā, )

표상 없음 (아니밋따, animitta, 무상)

원함 없음 (압빠니히따, appanihita, 무원)

 

 

[13] 불선한 범주 (아꾸살라, akusala)

 

1. 번뇌 (아사와, āsava)

감각적 욕망의 번뇌 (까마사와, kāmāsava)

존재의 번뇌 (바와사와, bhavāasava)

사견의 번뇌 (딧타사와, diṭṭhāsava)

무명의 번뇌 (아윗자사와, avijjāsava)

 

2. 폭류 (거센 물결, 오가, ogha)

감각적 욕망의 폭류 (까모가, kāmogha)

존재의 폭류 (바워가, bhavogha)

사견의 폭류 (딧토가, diṭṭhogha)

무명의 폭류 (아윗조가, avijjogha)

 

3. 속박 (요가, yoga)

감각적 욕망의 속박 (까마요가, kāmayoga)

존재의 속박 (바와요가, bhavayoga)

사견의 속박 (딧티요가, diṭṭhiyoga)

무명의 속박 (아윗자요가, avijjāyoga)

 

4. 몸의 매듭 (까야간타, kāyagantha)

간탐 (아빗자, abhijjhā)

악의 (브야빠다, byāpāda)

의식의 집착 (실랍바따빠라마사, sīlabbataparāmāsa)

독단적 신조 (이담삿짜비니웨사, idaṃsaccābhinivesa)

 

5. 취착 (우빠다나, upādāna)

감각적 욕망의 취착 (까무빠다나, kāmupādāna)

삿된 견해의 취착 (딧투빠다나, diṭṭhupādāna)

의식의 취착 (실라바뚜빠다나, sīlabbatupādāna)

자아의 교리의 취착 (아따와두빠다나, attavādupādāna)

 

6. 장애 (니와라나, nīvaraṇa)

감각적 욕망 (까맛찬다, kāmacchanda)

악의 (브야빠다, byāpāda)

해태와 혼침 (티나 밋다, thīna-middha)

들뜸과 후회 (웃닷짜 꾹꿋짜, uddhacca-kukkucca)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ā)

무명 (아윗자, avijjā)

 

7. 잠재성향 (아누사야, anusaya)

감각적 욕망 (까마라가, kāmarāga)

존재의 욕망 (바와라가, bhavarāga)

적의 (빠띠가, paṭigha)

자만 (마나, māna)

사견 (딧티, ditṭṭi)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ā)

무명 (아윗자, avijjā)

 

8. 족쇄 (삼요자나, saṃyojana)

사견 (사견, diṭṭhi) 혹은 유신견 (삭까야딧티, sakkaya-diṭṭhi)

의식의 집착 (실랍바따빠라마사, sīlabbata-parāmāsa)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ā)

감각적 욕망 (까마라가, kāmarāga)

적의 (빠띠가, paṭigha)

색계의 욕망 (루빠라가, rūparāga)

무색계의 욕망 (아루빠라가, arūparāga)

자만 (마나, māna)

들뜸( 웃닷짜, uddhacca)

무명 (아윗자, avijjā)

 

9. 오염원 (낄레사, kilesa)

탐욕 (로바, lobha)

성냄 (도사, dosa)

어리석음 (모하, moha)

자만 (마나, māna)

사견 (딧티, diṭṭhi)

의심 (위찌낏차, vicikicchā)

해태 (티나, thīna)

들뜸 (웃닷짜, uddhacca)

양심 없음 (아히리까, ahirika)

수치심 없음 (아놋땁빠, anottappa)

 

*** lobha(), dosa(), mōha()의 여러 종류

 

*lobha() 좀 더 강해지면 라가(, rāga)-욕심 부리는 기능, 매우 강력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 아빗자(탐욕, abhijjhā)

 

lobha의 종류 - chanda (의욕, 열의), rāga(탐욕,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 kāma(애욕, 감각적 쾌락), taṇhā(갈애, 강한 욕구), abhijjhā(탐애 간탐), upādāna(집착)

 

욕구(chanda)란 처음에 일어난(pubb-uppattikā) 약한 갈애(dubbala-taṇhā)이다. 이것은 마음을 물들일 수 없다.

탐욕(rāga)은 계속적으로(aparāparaṁ) 일어나는 강한 갈애(balava-taṇhā)이다. 이것은 마음을 물들일 수 있다.

 

*dosa() 좀 더 강해지면 빠띠까(瞋恚, paṭigha), 비정상적인 성냄이 되면 브야빠다(惡意, byāpāda),

도사(dus 오염되다)는 오염되어 마음이 어둡게 된 것, 상대에 부딪치려는 기능.

빠띠가(瞋恚)는 인식한 대상을 거부하는, 부정하는 의미로써의 성냄이다.

 

성냄(dosa)이란 때리는 행동 등을 실행할 수 없는 처음에 일어난 약한 분노(kodha)이다.

적의(paṭigha)란 때리는 행동 등을 실행할 수 있는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강한 분노이다.

 

*moha() : 물결을 만드는 걸 무명(아윗자 avijjā),

그 물결에 포함되는 것 중 하나가 무지(, 모하 moha)

 

어리석음(moha)'이란 미혹함(mohana-sammohana)을 통해서 일어나는 무지(aññāṇa)이다. 

 

 

[14] 혼합된 범주 (밋사까, missaka)

 

1. 원인 (헤뚜, hetu)

탐욕 (로바, lobha)

성냄 (도사, dosa)

어리석음 (모하, moha)

탐욕없음 (아모하, alobha)

성냄없음 (아도사, adosa)

어리석음없음 (아모하, amoha)

 

2. 선의 요소 (자낭가, jhānaṅga, 선각지)

일으킨 마음 (위딱까, vitakka)

지속적 마음 (위짜라, vicāra)

희열 (삐띠, pīti)

집중 (에깍가따, ekaggatā)

행복 (소마낫사, somanassa)

불만족 (도마낫사, domanassa)

평온 (우뻭카, upekkhā)

 

3. 도의 요소 (막강가, maggaṅga, 도각지)

바른 견해 (삼마 딧티, sammā diṭṭhi, 정견)

바른 사유 (삼마 상깝빠, sammā saṅkappa, 정사유)

바른 말 (삼마 와짜, sammā vācā, 정어)

바른 행위 (삼마 깜만따, sammā kammanta, 정업)

바른 생계 (삼마 아지와, sammā ājīva, 정명)

바른 정진 (삼마 와야마, sammā vāyāma, 정정진)

바른 알아차림 (삼마 사띠, sammā sati, 정념)

바른 삼매 (삼마 사마디, sammā samādhi, 정정)

삿된 견해 (밋차 딧티, micchadiṭṭhi, 사견)

삿된 사유 (밋차 상깝빠, micchasaṅkappa)

삿된 정진 (밋차 와야마, micchavāyāma)

삿된 삼매 (밋차 사마디, micchasamādhi)

 

4. 기능 (, 인드리야, indriya)

눈의 기능 (짝쿤드리야, cakkhundriya)

귀의 기능( 소띤드리야, sotindriya)

코의 기능 (가닌드리야, ghanindriya)

혀의 기능 (지윈드리야, jivhindriya)

몸의 기능 (까인드리야, kayindriya)

여자의 기능 (잇틴드리야, itthindriya)

남자의 기능 (뿌리신드리야, purisindriya)

생명기능 (지위띤드리야, jivitindriya)

마음의 기능 (마닌드리야, manindriya)

즐거움의 기능 (수킨드리야, sukhindriya)

괴로움의 기능 (둑킨드리야, dukkhindriya)

기쁨의 기능 (소마낫신드리야, somanassindriya)

불만족의 기능 (도마낫신드리야, domanassindriya)

평온의 기능 (우뻭킨드리야, upekkhindriya)

믿음의 기능 (삿딘드리야, saddhindriya)

정진의 기능 (위리인드리야, viriyindriya)

알아차림의 기능 (사띤드리야, satindriya)

삼매의 기능 (소마딘드리야, samādhindriya)

통찰지의 기능 (빤닌드리야, paññindriya)

구경의 지혜를 알고자하는 기능 (아난냐딴냣사미띤드리야, anaññātañ-ñassāmitindriya)

구경의 지혜의 기능 (안닌드리야, aññindriya)

구경의 지혜를 구족한 기능 (안냐따윈드리야, aññātāvindriya)

 

5. (, 발라, bala)

믿음의 힘 (삿다 발라, saddhābala)

정진의 힘 (위리야 발라, viriyabala)

알아차림의 힘 (사띠 발라, satibala)

삼매의 힘 (사마디 발라, samādhibala)

통찰지의 힘 (빤냐 발라, paññābala)

양심의 힘 (히리 발라, hiribala)

수치심의 힘 (옷땁빠 발라, ottappabala)

양심 없음의 힘 (아히리까 발라, ahirikabala)

수치심 없음의 힘 (아놋땁빠 발라, anottappabala)

 

6. 지배 (, 아디빠띠, adhipati)

열의의 지배 (찬다 디빠띠, chandadhipati)

정진의 지배 (위리야 디빠띠, viriyadhipati)

마음의 지배 (찟따 디빠띠, cittadhipati)

검증의 지배 (위맘사 디빠띠, vimaṃsadhipati)

 

7. 음식 (, 아하라, ahara)

덩어리로 된 음식 (까발리까로 아하라, kabalikaro ahara)

접촉의 음식 (팟소 아하라, phasso ahara)

의도의 음식 (마노산쩨따나 아하라, mānosancetana ahara)

의식의 음식 (윈냐낭 아하라, viññāṇaṃ ahara)

 

 

[15] 보 리 분 (보디빡키야, bodhipakkhiya, 37 보리분법)

 

1. 네 알아차림의 확립 (사띠빳타나, satipatṭṭhāna, 사념처)

몸수관(까야누빳사나, kāyānupassanā)의 알아차림 확립

느낌수관(웨다나누빳사나, vedanānupassanā)의 알아차림 확립

마음수관(찟따누빳사나, cittānupassanā)의 알아차림 확립

법수관(담마누빳사나, dhammānupassanā)의 알아차림 확립

 

2. 네 바른 정진 (삼맙빠다나, samma-ppadhāna, 사정근)

이미 일어난 불선한 법을 버리려는 노력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선한 법을 일어나지 않게 하는 노력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한 법을 일으키려는 노력

이미 일어난 선한 법을 증장시키려는 노력

 

3. 네 성취수단 (잇디빠다, iddhi-pāda, 사여의족, 사신족)

열의(찬다, chanda)

정진(위리야, viriya)

마음(찟따, citta)

검증(위맘사, vimaṃsa)

 

4. 다섯 기능 (, 인드리야, indriya, 오근)

믿음(삿다, saddhā)

정진(위리야, viriya)

알아차림(사띠, sati)

삼매(사마디, samādhi)

통찰지(빤냐, paññā)

 

5. 다섯 힘 (, 발라, bala, 오력)

믿음(삿다, saddhā)

정진(위리야, viriya)

알아차림(사띠, sati)

삼매(사마디, samādhi)

통찰지(빤냐, paññā)

 

6. 일곱 깨달음의 요소 (覺支, 봇장가, bojjhaṅgā, 칠각지)

알아차림(사띠, sati)의 깨달음의 요소

법의 변별(담마위짜야, dhammavicaya)의 깨달음의 요소

정진(위리야, viriya)의 깨달음의 요소

희열(삐띠, pīti)의 깨달음의 요소

경안(빳삿디, passaddhi)의 깨달음의 요소

삼매(사마디, samādhi)의 깨달음의 요소

평온(우뻭카, upekkhā)의 깨달음의 요소

 

7. 여덟 도의 요소 (막강가, maggaṅga, 팔각지)

바른 견해(삼마 딧티, sammādiṭṭhi, 정견)

바른 사유(삼마 상깝빠, sammāsaṅkappa, 정사유)

바른 말(삼마 와짜, sammāvācā, 정어)

바른 행위(삼마 깜만따, sammākammanta, 정업)

바른 생계(삼마 아지와, sammājīva, 정명)

바른 정진(삼마 와야마, sammāvāyāma, 정정진)

바른 알아차림(삼마 사띠, sammāsati, 정념)

바른 삼매(삼마 사마디, sammāsamādhi, 정정)

 

[16] 일 체 (삽바, sabba)

 

1. 다섯 무더기 (빤짝칸다, pañcakkhandhā, 오온)

물질의 무더기(루빠칸다, rūpakkhandha, 색온)

느낌의 무더기(웨다나칸다, vedanākkhandha, 수온)

지각의 무더기(산냑칸다, saññākkhandha, 상온)

상카라들의 무더기(상카락칸다, saṅkhārakkhandha, 행온)

의식의 무더기(윈냐낙칸다, viññāṇakkhandha, 식온)

 

2. 열두 감관 (, 아야따나, āyatana, 십이처)

눈의 감관(짝카야따나, cakkhayatana)

귀의 감관(소따야따나, sotayatana)

코의 감관(가나야따나, ghanayatana)

혀의 감관(지와야따나, jivhayatana)

몸의 감관(까야야따나, kayayatana)

마음의 감관(마나야따나, manayatana)

형상()의 감관(루빠야따나, rupayatana)

소리의 감관(삿다야따나, saddayatana)

냄새의 감관(간다야따나, gandhayatana)

맛의 감관(라사야따나, rasayatana)

접촉의 감관(폿탑바야따나, phoṭṭhabbayatana)

법의 감관(담마야따나, dhammayatana)

 

3. 열여덟 요소 (, 다뚜, dhātu, 십팔계)

눈의 요소(짝쿠다뚜, cakkhudhātu)

귀의 요소(소따다뚜, sotadhātu)

코의 요소(가나다뚜, ghanadhātu)

혀의 요소(지와다뚜, jivhadhātu)

몸의 요소(까야다뚜, kāyadhātu)

형상(색깔)의 요소(루짜다뚜, rupadhātu)

소리의 요소(삿다다뚜, saddadhātu)

냄새의 요소(간다다뚜, gandhadhātu)

맛의 요소(라사다뚜, rasadhātu)

접촉의 요소(폿탑바다뚜, phoṭṭhabbadhātu)

눈의 의식의 요소(짝쿠윈냐나다뚜, cakkhuviññāṇadhātu)

귀의 의식의 요소(소따윈냐나다뚜, sotaviññāṇadhātu)

코의 의식의 요소(가나윈냐나다뚜, ghanaviññāṇadhātu)

혀의 의식의 요소(지와윈냐나다뚜, jivhaviññāṇadhātu)

몸의 의식의 요소(까야윈냐나다뚜, kāyaviññāṇadhātu)

마음의 요소(마노다뚜, mānodhātu)

법의 요소(담마다뚜, dhammadhātu)

마음의 의식의 요소(마노윈냐나다뚜, mānoviññāṇadhātu)

 

4. 네 성스러운 진리 (아리야삿짜, ariyasacca, 사성제)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고성제)

괴로움의 원인의 성스러운 진리(집성제)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멸성제)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의 성스러운 진리(도성제)

 

 

[17] 조 건 (빳짜야, paccaya)

 

? 연기 (빠띳짜사뭅빠다, paṭiccasamuppāda)의 방법

 

1. 연기 (조건의 기원)의 열두 요소(12 각지)

무명(아윗자, avijjā)

상카라(상카라, saṅkhāra, )

의식(윈냐나, viññāṇa, , 알음알이)

정신·물질(나마루빠, nāmarūpa, 명색)

여섯 감관(살라야따나, saḷāyatana, 육입)

접촉(팟사, phassa, )

느낌(웨다나, vedanā, )

갈애(딴하, taṇhā, )

취착(우빠다나, upādāna, )

존재(바와, bhava, )

태어남(자띠, jāti, )

늙음-죽음(자라마라나, jarāmaraṇa, 노사)

 

2. 세 시기 (삼세) : 삼세

과거 : 무명 상카라() : 과거의 원인

현재 : 의식 명색 육입 접촉 느낌 : 현재의 결과

갈애 : 취착 존재 : 현재의 원인

미래 : 태어남 늙음과 죽음 : 미래의 결과

 

3. 세 연결 (띠산디, tisandhi)

과거의 원인과 현재의 결과

현재의 결과와 현재의 원인

현재의 원인과 미래의 결과

 

4. 네 포함 (상케빠, sankhepa) : 양중 인과

과거의 원인 : 무명 상카라() 갈애 취착 존재

현재의 결과 : 의식 명색 육입 접촉 느낌

현재의 원인 : 무명 상카라() 갈애 취착 존재

미래의 결과 : 의식 명색 육입 접촉 느낌

 

5. 세 회전 (왓따, vatta)

오염원의 회전 : 무명, 갈애, 취착

업의 회전 : 상카라(), 업의 존재(업유)

과보의 회전 : 의식, 명색, 육입 접촉, 느낌, 태어남, 늙음과 죽음

 

6. 두 원인 (물라, mūla)

무명(아윗자, avijjā)

갈애(딴하, taṇhā)

 

? 상호의존 (빳타나, paṭṭhāna)의 방법

 

1. 24가지 조건 (짜뚜위사띠 빳짜야, catuvisati paccaya)

원인의 조건(헤뚜 빳짜야, hetupaccaya)

대상의 조건(아람마나 빳짜야, arammanapaccaya)

지배의 조건(아디빠띠 빳짜야, adhipatipaccaya)

틈 없이 뒤따르는 조건(아난따라 빳짜야, anantarapaccaya)

더욱 틈 없이 뒤따르는 조건(사마난따라빳짜야, samanantarapaccaya)

함께 생긴 조건(사하자따 빳짜야, sahajatapaccaya)

서로 지탱하는 조건(안냐만냐 빳짜야, annamannapaccaya)

의지하는 조건(닛사야 빳짜야, nissayapaccaya)

강하게 의지하는 조건(우빠닛사야 빳짜야, upanissayapaccaya)

먼저 생긴 조건(뿌레자따 빳짜야, purejatapaccaya)

뒤에 생긴 조건(빳차자따 빳짜야, pacchajatapaccaya)

반복하는 조건(아세와나 빳짜야, asevanapaccaya)

업의 조건(깜마 빳짜야, kammapaccaya)

과보의 조건(위빠까 빳짜야, vipakapaccaya)

음식의 조건(아하라 빳짜야, aharapaccaya)

기능의 조건(인드리야 빳짜야, indriyapaccaya)

선의 조건(자나 빳짜야, jhanapaccaya)

도의 조건(막가 빳짜야, maggapaccaya)

서로 관련된 조건(삼빠윳따 빳짜야, sampayuttapaccaya)

서로 관련되지 않은 조건(윕빠윳따 빳짜야, vippayuttapaccaya)

존재하는 조건(앗티 빳짜야, atthipaccaya)

존재하지 않은 조건(낫티 빳짜야, natthipaccaya)

떠나가버린 조건(위가따 빳짜야, vigatapaccaya)

떠나가버리지 않은 조건(아위가따 빳짜야, avigatapaccaya)

 

[18] 사마타 수행 (사마타, samatha)

 

1. 명상주제 (깜맛타나, kammatthana) : 40가지

까시나(kasiṇa) 10가지

부정(아수바, asubha, 부정) 10가지

숙고(아눗사띠, anussati, 수념) 10가지

무량(압빠만냐, appamaññā) 4가지

지각(산냐, saññā, 인식) 1가지 : 음식의 혐오

분석(와왓타나, vavatthāna) 1가지 : 사대 분석

무색(아루빠, arūpa) 4가지

 

2. 기질의 분석 (짜리따 베다, carita-bheda) : 적합한 수행의 예

탐하는 기질 : 부정관

성내는 기질 : 4무량, 4가지 까시나 (, , , )

어리석은 기질 : 들숨날숨의 알아차림

믿는 기질 : 여섯 수념 (. . . 계율. 보시. 천신)

지적인 기질 : 고요함.죽음의 수념, 음식의 혐오, 4

사색하는 기질 : 들숨날숨의 알아차림

 

3. 수행 (바와나, bhāvana)

준비 (빠리깜마, parikamma) 수행

근접 (우빠짜라, upacara) 수행 : 8수념, 음식의 혐오, 4대 수행

(압빠나, appana) 수행 : 나머지 30가지 수행

 

4. 표상 (니밋따, nimitta)

준비 표상 (빠리깜마 니밋따, parikammanimitta)

익힌 표상 (욱가하 니밋따, uggahanimitta)

닮은 표상 (빠띠빠가 니밋따, patibhaganimitta)

 

 

[19] 사마타 명상주제

 

1. 까시나 (kasina) 10가지

(빠타위, paṭhavī) 까시나

(아뽀, āpo) 까시나

(떼조, tejo) 까시나

바람 (와요, vāyo) 까시나

검정색 (닐라, nila, 푸른색) 까시나

노란색 (삐따, pita) 까시나

붉은색 (로히따, lohita) 까시나

흰색 (오다따, odata) 까시나

공간 (아까사, ākāsa) 까시나

(알로까, aloka) 까시나

 

2. 부정 (아수바, asubha) 10가지

부푼 것 (웃두마따까, uddhumataka)

검푸른 것 (위닐라까, vinilaka)

문드러진 것 (위뿝바까, vipubbaka)

끊어진 것 (윗칫다까, vicchiddaka)

뜯어 먹힌 것 (윅카위따까, vikkhayitaka)

흩어진 것 (윅킷따까, vikkhittaka)

난도질당하여 뿔뿔이 흩어진 것 (하따윅킷따까, hatavikkhittaka)

피가 흐르는 것 (로히따까, lohitaka)

벌레가 버글거리는 것 (뿔라와까, pulavaka)

해골이 된 것 (앗티까, atthika)

 

3. 숙고 (아눗사띠, anussati, 수념) 10가지

붓다(부처님)의 숙고(붓다눗사띠, buddhanussati)

담마()의 숙고(담마눗사띠, dhammanussati)

상가(승가)의 숙고(상가눗사띠, samghanussati)

계의 숙고(실라눗사띠, silanussati)

보시의 숙고(짜가눗사띠, caganussati)

천신의 숙고(데와따눗사띠, devatanussati)

죽음의 숙고(마라나눗사띠, marananussati)

몸의 알아차림(까야가따사띠, kayagatasati)

들숨날숨의 알아차림(아나빠나사띠, anapanassati)

고요함의 숙고(우빠사마눗사띠, upasamanussati)

 

4. 무량 (압빠만냐, appamañña, 사무량) 4가지

자애(멧따, mettā)

연민(까루나, karuṇā)

함께 기뻐함(무디따, muditā)

평온(우뻭카, upekkhā)

 

5. 지각 (산냐, saññā, 인식) 1가지

음식염오의 지각(아하레 빠띠꿀라산냐, ahare patikulasanna)

 

6. 분석 (와왓타나, vavatthana) 1가지

사대 분석(짜뚜다뚜 와왓타나, catudhatu-vavatthana)

 

7. 무색 (아루빠, arupa) 4가지

공무변처(아까사난짜야따나, akasanancayatana)

식무변처(윈냐난짜야따나, vinnanancayatana)

무소유처(아낀짠냐야따나, akincannayatana)

비상비비상처(네와산냐나산냐야따나, nevasannanasannayatana)

 

8. 신통지 (아빈냐, abhinna) 5가지

신족통(잇디위다, iddhi-vidha)

천이통(딥바소따, dibba-sota)

타심통(빠라찟따 위자나나, paracitta-vij.nana)

숙명통(뿝베니와사 아눗사띠, pubbenivasa-anussati)

천안통(딥바짝쿠, dibbacakkhu)

 

 

[20] 위빳사나 (vipassanā)

 

1. 위빳사나의 경계 (vipassanā-upakkilesa) 10가지

광명(오바사, obhasa)

희열(삐띠, pīti)

경안(빳삿디, passaddhi)

결의(아디목카, adhimokkha)

분발(빡가하, paggaha)

행복(수카, sukha)

지혜(냐나, ñāṇa)

확립(우빳타나, upaṭṭhāna)

평온(우뻭카, upekkhā)

욕구(니깐띠, nikanti)

 

2. 삼특상 (띨락카나, tilakkhana)

무상의 특상 (아닛짜 락카나, aniccalakkhana)

고의 특상 (둑카 락카나, dukkhalakkhana)

무아의 특상 (아낫따 락카나, anattalakkhana)

 

3. 세 수관 ( 아누빳사나, anupassana)

무상의 수관(아닛짜누빳사나, aniccanupassana)

고의 수관(둑카누빳사나, dukkhanupassana)

무아의 수관(아낫따누빳사나, anattanupassana)

 

4. 위빳사나의 지혜 (위빳사나 냐나, vipassanā-·Ñāṇa) 10가지

관찰 중 물질과 정신을 나누어서 아는 것이

: 나마루빠빠릿체다냐나 nāmarūpaparicchedañāṇa

관찰 중 원인과 결과 두 가지를 나누어서 아는 것이

: 빳짜야빠리가하냐나 paccayapariggahañāṇa

이해의 지혜 (삼마사나 냐나, sammasana ñāṇa)

일어나고 사라짐의 지혜 (우다얍바야 냐나, udayabbaya ñāṇa)

무너짐(소멸)의 지혜 (방가 냐나 bhaga ñāṇa)

공포(두려움)의 지혜 (바야 냐나, bhaya ñāṇa)

위험(비참함)의 지혜 (아디나와 냐나, ādinava ñāṇa)

염오(지루하고 역겨움)의 지혜 (닙비다 냐나, nibbidā ñāṇa)

해탈을 원하는 지혜 (문찌뚜깜야따 냐나, muñcitukamyatā ñāṇa)

깊이 숙고하는 지혜 (빠띠상카냐나, paṭisaṅkhā ñāṇa)

상카라의 평온의 지혜 (상카루뻭카 냐나, saṅkhārupekkhā ñāṇa)

웃타나가미니위빳사나냐나 vuṭṭhānagāminīvipassanāñāṇa

수순의 지혜 (아눌로마 냐나, anuloma ñāṇa)

고뜨라부냐나 gotrabūñāṇa

막가팔라냐나 maggaphalañāṇa

빳짜웩카나냐나 paccavekkhaṇāñāṇa

팔라사마빳띠냐나 phalasamāpattiāñāṇa

 

* 청정의 단계 (위숫디 베다, visuddhi-bheda) : 칠청정

 

1. 계 청정 (실라 위숫디, sīlavisuddhi)

계목의 단속에 관한 계 (빠띠목카삼와라실라, patimokkhasamvarasila)

감관의 단속에 관한 계 (인드리야삼와라실라, indriyasamvarasila)

생계의 청정에 관한 계 (아지와빠리숫디실라, ajivaparisuddhisila)

필수품에 관한 계 (빳짜야산닛시따실라, paccayasannissitasila)

 

2. 마음 청정 (심청정, 찟따 위숫디, cittavisuddhi)

근접삼매 ( 우빠짜라 사마디, upacarasamādhi)

본삼매 (압빠나 사마디, appanasamādhi)

 

3. 견해 청정 (견청정, 딧티 위숫디, diṭṭhivisuddhi)

정신·물질을 분석하는 지혜 (나마루빠 빠릿체다 냐나, nāmarūpa pariccheda ñāṇa) : 특징(lakkhaṇa) 역할(rasa) 나타남(paccupaṭṭhāna) 가까운 원인(padaṭṭhāna)

 

4. 의심극복의 청정 (깡카위따라나 위숫디, kaṅkhāvitaraṇa visuddhi)

조건을 식별하는 지혜 (빳짜야 빠릭가하 냐나, paccaya pariggaha ñāṇa) : 연기 및 상호의존

 

5. 도와 도아님의 지견청정 (막가아막가 냐나 닷사나 위숫디)(maggāmagga ñāṇa dassana visuddhi)

이해의 지혜, 생멸의 지혜()

 

6. 수행의 지견청정 (빠띠빠다 냐나 닷사나 위숫디) (paṭipadā ñāṇa dassana visuddhi)

생멸의 지혜() ~ ⑩ 수순하는 지혜

 

7. 지견청정 (냐나 닷사나 위숫디, ñāṇadassana visuddhi)

종성의 지혜(고뜨라부 냐나, gotrabhu-ñāṇa)

도의 지혜(막가 냐나, magga-ñāṇa)

과의 지혜(팔라 냐나, phala-ñāṇa)

반조의 지혜(빳짜웩카나 냐나, paccavekkhaṇa-ñāṇa)

 

 

[21] 해 탈 (위목카, vimokkha)

 

1. 해탈 (위목카, vimokkha) 3가지

공한 해탈(sunnato vimokkha, 공해탈)

표상 없는 해탈(animitto vimokkha, 무상해탈)

원함 없는 해탈(appanihito vimokkha, 무원해탈)

 

2. 해탈의 관문 (위목카 묵카, vimokkha-mukkha) 3가지

공의 수관(sunnatanupassana)

표상 없음의 수관(animittanupassana)

원함 없음의 수관(appanihitanupassana)

 

3. 개인 (뿍갈라, puggala)에 따른 해탈

예류자(소따빤나, sotāpanna)

일래자(사까다가미, sakadāgāmi)

불환자(아나가미, anāgāmi)

아라한(아라한, arahan)

 

 

*< [출처] 법요집371-380|작성자 참살이 >에서 인용하여 일부 내용을 추가하며 수정하였습니다.

 

 

    


???? ??.hwp
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