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소 (心所 cetasika 쩨따시까)
Ⅰ. 마음에는 무엇이 녹아있는가?
Ⅱ. 심소의 특색 (心所相 cetasika-lakkhaṇa)
- 同起(동기), 同滅(동멸), 同所緣(동소연), 同基(동기)
Ⅲ. 심소 52가지
? 同他心所(동타심소 aññasamāna-cetasika 안냐사마나 쩨따시까) 13가지
同他心所 자신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함께 생겨난 다른 善惡(선악)의 心所와 한 가지로 되기 때문에 ‘同他心所’라 한다.
어떤 마음에 생겨나더라도 그 마음의 특색을 지니게 된다는 의미.
1. 共一切心心所(공일체심심소 sabba-citta-sādhāraṇa-cetasika 삽바 찟따 사다라나 쩨따시까) 7
: 일체의 마음(一切心)과 반드시 함께(共) 생겨나는 心所
1) 촉(觸 phassa 팟사)- 의(意)와 법(法)의 촉(觸)
眼耳鼻舌身意(안이비설신의)가 그 대상이 되는 色聲香味觸法(색성향미촉법)과
각각 접촉. 意(마음)에 접촉하는 대상은 일체의 현상(법. 담마)
2) 수(受 vedanā 웨다나)- 접촉한 것을 느끼는 것. feeling
3) 상(想․印 saññā 산냐)- 접촉한 순간의 인식.
4) 사(思 cetanā 쩨따나 意志)- 무언가 하고 싶어 하는 것 .意志. 오온의 行
5) 일경성(一境性 ekaggatā 에깍가따)- 마음이 보는 것(대상)과 하나가 되는 것, 집중
6) 명근(命根 jīvitindriya 지위띤드리야)- 생명기능, 계속하게 하는 기능(활동)
7) 작의(作意 manasikāra 마나시까라)- 인식하고자 하는 기능. 행동으로 옮기는 지점
대상에 접촉하면 그것을 느끼기 때문에 느낀 것을 ‘느꼈다’라고 안다. 느꼈다면(vedanā),
무엇을 느꼈는가를 구별하고 나서(saññā), 무엇을 해야하는가 라고 의지(意志 cetanā)를 내고,
그러고 나서 집중(ekaggatā)하고, 자, 하자(manasikāra)라는 심소(心所)의 활동으로 모두 행하게 된다.
2. 雜心所(잡심소 pakiṇṇaka-cetasika 빠낀나까 쩨따시까) 6
1) 심(尋 vitakka 위딱까)- 마음에 대상을 태우는 것.
2) 사(伺 vicāra 위짜라)- 마음에 대상을 태우는 방식
vitakka-vicāra(위딱까-위짜라)의 둘을 합해서 일반적으로 머릿속에서 무언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vitakka는 말로서 생각하는 것이고, vicāra는 말에 의지하지 않고 대상을 판단하는 것.
3) 승결(勝結 adhimokkha 아디목카)- 마음이 대상에 달라붙는 기능.
4) 정진(精進 viriya 위리야)- 마음이 향하는 대상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5) 희(喜 pīti 삐띠)- 명상의 기쁨은 대상으로부터 떨어지는 것.
6) 의욕(意慾 chanda 찬다)- ‘할 마음’이라는 에너지를 점점 성장시키는 것, 활발..
* 10善道(선도)와 10惡道(악도) : -몸으로 행하는 惡 3 : 살생, 투도(도둑질), 사음.
-입으로 행하는 惡 4 : 거짓말(기어), 험담(악구), 이간질(양설), 쓸데없는 말(망어).
-마음으로 만드는 惡 3 : 비정상적인 욕망(탐애), 성냄(진에), 邪見(사견, 치암).
* puñña(뿐냐 德 덕)와 pāpa(빠빠 罪 죄) * kusala(꾸살라. 능숙. 뛰어남)와 akusala(아꾸살라. 서투름)
? 不善心所(불선심소 akusala-cetasika 아꾸살라 쩨따시까) 14가지
3. 共一切不善心所(공일체불선심소) 4 : 마음이 不善인가의 여부는 이 4가지로 결정된다.
* 모하 (moha 痴 치)의 4가지
1) moha(모하 痴 치) 2) ahirika(아히리까 無慚 무참)
3) anottappa(아놋땁빠 無愧 무괴) 4) uddhacca(웃닷짜 掉擧 도거)
4. 不善心所(불선심소 akusala-cetasika 아꾸살라 쩨따시까) 10
: 마음이 어떻게 오염되어 있는가를 결정.
* 로바 (lobha 貪 탐)의 세트 3가지
5) 로바 (lobha 貪 탐) 6) 딧티 (diṭṭhi 見 견) 7) 마나(māna 慢 만)
* 도사 (dosa 瞋 진)의 세트 4가지
8) dosa(도사 瞋<진>,怒<노>) 9) issā(잇사 嫉妬 질투)
10) macchariya(맛차리야 吝嗇 인색) 11) kukkucca(꾹꿋짜 後悔 후회)
* 모하 (moha 無知 무지)의 세트 3가지
12) thīna(티나 昏沈 혼침) 13) middha(밋다 睡眠 수면) 14) vicikicchā(위찌낏차 疑 의)
? 정심소(淨心所 sobhana-cetasika 소바나 쩨따시까) 25가지
5. 共淨心所(공정심소 sobhana-sādhāraṇa-cetasika 소바나 사다라나 쩨따시까) 19
1) Saddhā 삿다 信신 믿음 2) sati 사띠 念념 알아차림 3) hiri 히리 慚참 부끄러움
4) ottappa 옷땁빠 愧괴 두려움 5) alobha 아로바 不貪 불탐 6) adosa 아도사 不瞋 불진
7) tatramajjhattatā 따뜨라맛잣따따 中捨 중사
8) kāyappassaddhi 身輕安 신경안 9) cittappassaddhi 心輕安 심경안- 평온함 안정
10) kāyalahutā 身輕快性 신경쾌성 11) cittalahutā 심경쾌성- 가볍다
12) kāyamudutā 身柔軟性 신유연성 13) cittamudutā 심유연성- 부드럽다, 굳어있지 않다.
14) kāyakammaññtā 身適業性 신적업성 15)cittakammaññtā 심적업성- 능동
16) kāyapāguññtā 身練達性 신연달성 17) cittapāguññtā 심연달성- 숙련되어 있다.
18) kāyaujjukatā 身端直性 신단직성 19) cittaujjukatā 심단직성- 심기가 꿋꿋하다.
6. 離心所(이심소 virati-cetasika 위라띠 쩨따시까) 3 : 자기 컨트롤 스위치.
1) 정어(正語) Sammā-vācā 삼마 2) 정업(正業) sammā-kammanta 3) 정명(正命)sammā-ājīva
7. 無量心所(무량심소 appamaññā-cetasika 압빠만냐 쩨따시까) 2
1) karunā(悲 비) 2) muditā(喜 희)
8. 慧根心所(혜근심소amoha) 1 : 1) paññā(慧 지혜)
: 지혜가 생겨나지 않음은 無常(무상)을 알지 못하기 때문
*사무량 慈(자 mettā 멧따), 悲(비 karunā 까루나), 喜(희 muditā 무디따), 捨(사 upekkhā 우뻭카)
※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는 아비담마가 어렵기 때문에 그것을 공부하기 전에 ‘아비담마에서는 이런 말을 사용한다’라고 용어와 항목만을 열거하여 놓은 교재입니다.
이 예비단계의 교재를 만드신 분은 11C경의 아누룻다스님 입니다.
붓다의 실천 심리학(알프레드 수마나사라와 藤本晃 공저, 주식회사 상가, 2005)의 아비담마 강의 시리즈(1권~8권) 일본어 책을 붓다의 길따라 선원의 신도회장님이신 선등님께서 번역하시여 붓다의 길따라 선원(선원장 아짠 진용 빤냐와로 스님)의 홈페이지에 올려놓으셨습니다.
지금 이 글은 붓다의 길 따라 선원의 홈페이지(www.buddhayana.kr)에 올려져있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글의 내용이나 오타 등의 문제가 있다면 전적으로 저(꾸살라)의 잘못입니다.
이 가르침이 실천수행의 바탕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모든 이들이 행복하길 기원합니다.
고통에서 벗어나 닙바나를 성취하기를 기원합니다.
사-두! 사-두! 사-두!
'수행. 정진 > 아비담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비담마 - [심소(心所 cetasika)의 분석] 다시 읽으며.. (0) | 2019.07.06 |
---|---|
아비담마 - [마음(心 citta)의 분석] 다시 읽으며.. (0) | 2019.07.04 |
명상과 깨달음의 분석- 정리 (0) | 2017.05.15 |
연기의 분석- 정리 (0) | 2017.05.15 |
업과 윤회의 분석- 정리 (0) | 2017.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