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위빳사나 수행과 알아차림

사성제. 팔정도

담마마-마까 2013. 5. 13. 22:40



1. 사성제에 대한 고찰

부처님의 최초 설법인초전법륜경은 여래가 감각적 쾌락과 극단적 고행이라는 양극단을 버리고 중도를 실천하여,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 완전하고 청정해졌을 때, 비로소 부처님께서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고 세상에 선포를 하시는 경입니다.

바로 사성제를 세상에 드러내십니다.

 

네 가지 성스런 진리는 1) 고성제 :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 2) 집성제 :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 3) 멸성제 :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런 진리, 4) 도성제 :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도 닦음의 성스런 진리

초전법륜경은 괴로움의 진리는 바르게 이해하고, 괴로움의 원인의 진리는 마땅히 버리고,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는 반드시 증득하고, 괴로움을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는 마땅히 닦아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1) 고성제

괴로움의 성스런 진리는 생, , , ,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취온고五取蘊苦로 모두 여덟 가지입니다.

괴로움은 그것 자체가 괴로움인 고고苦苦

무상으로 인한 변화에서 경험하는 괴로움인 괴고壞苦,

조건에 묶여있어 어쩔 수 없이 겪어야하는 괴로움인 행고行苦가 있습니다.

중생이 오온을 얻는다는 것은 바로 이 세 가지 괴로움을 얻는 것입니다.

 

이런 괴로움의 진리는 원인과 결과로 일어날 수밖에 없는 법이며,

이것은 알아차릴 대상이라고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사실 괴로움은 와서 보라고 나타난 법이며, 일어나면 사라지는 것으로 실체가 없습니다.

괴로움은 빨리어로 둑카Dukkha입니다.

둑카Dukkha의 두Du하찮은이란 뜻이며 카Kha비어있음이란 뜻입니다.

사실 우리가 경험하는 괴로움은 하찮고 비어있는 것으로, 살면서 항상 경험하는 흔한 것이며,

우리가 문제라고 여기는 괴로움은 일어났다 사라지는 것으로서 실체가 없는 것입니다.

 

2) 집성제

붓다는대념처경에서 집성제를 다시 비구들이여,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런 진리란 무엇인가?

것은 새롭게 태어남을 일으키는 갈애이다.

쾌락과 탐욕을 동반하고, 항상 새로운 기쁨을 지금 여기저기서 찾으니,

이른바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慾愛],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

그리고 비존재에 대한 갈애[無有愛]이다.

다시 비구들이여, 이런 갈애는 어디서 일어나서 어디서 자리 잡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여기서 이 갈애가 일어나서 여기서 자리 잡는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가 일어나서 여기서 자리 잡는다. ‧ ‧ ‧

 

3) 멸성제

붓다는대념처경에서 멸성제를

다시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인가?

그것은 갈애가 남김없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라고 한다.

다시 비구들이여, 그럼 이 갈애는 어디서 없어지고 어디서 소멸하는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 있으면 여기서 이 갈애가 없어지고 여기서 소멸한다.

그러면 세상에서 어떤 것이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인가? 눈은 세상에서 즐겁고 기분 좋은 것이다.

여기서 이 갈애가 없어지고 여기서 소멸한다. ‧ ‧ ‧

 

4) 도성제

붓다는 대념처경에서는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의 성스러운 진리인가?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이니,

즉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라고 설하셨습니다.

초전법륜경에서 비구들이여, 나에게 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의 성스러운 진리를 마땅히 닦아야 한다라고 설하셨습니다.

 

 

2. 팔정도에 대한 고찰 - , , 혜를 완성하며 여덟 겹으로 구성됩니다.


(1) 바른 견해[正見. Sammā diṭṭhi. ] :

세간의 바른 견해는 업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철저한 앎이고,

출세간의 바른 견해는 고집멸도 사성제에 대한 철저한 앎입니다.

정견은 치심을 제거합니다.


(2) 바른 사유[正思惟. Sammā saṅkappa. ] :

정사유는 감각적 욕망을 극복한 출리사유, 분노를 극복한 무에사유,

해치려는 마음을 극복한 무해사유입니다.

정사유는 탐심과 성냄을 제거합니다.


(3) 바른 말[正語. Sammā vaca. ] :

정어는 거짓말, 이간질, 거친 말, 쓸모없는 말을 삼가고

진실한 말, 화해시키는 말, 부드러운 말, 유용한 말을 하는 것입니다.

즉 정어는 구업口業을 청정하게 합니다.


(4) 바른 행동[正業. Sammā kammanta. ] :

정업은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않고, 삿된 성행위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업은 계율을 지키므로 신업身業을 청정하게 합니다.


(5) 바른 생계[正命. Sammā ajīva. ] :

정명은 잘못된 생계를 버리고 바른 생계로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바른 직업이란 정어와 정업에 어긋나지 않는 직업입니다.


(6) 바른 노력[正精進. Sammā Vāyāma. ] :

정정진은 아직 생겨나지 않은 불선법은 막고, 이미 생긴 불선법은 끊고,

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 법은 일으키고, 이미 생겨난 선한 법은 더 증장시키려는 노력을 하는 것입니다.


(7) 바른 알아차림[正念. Sammā sati. ] :

정념은 신, , , 법에 대한 알아차림을 확립하는 것입니다.

정념을 통해서 성스러운 도의 예비단계를 성숙시키고, 그 결과로 열반을 경험합니다.


(8) 바른 집중[正定. Sammā samādhi. ] :

정정은 초선부터 4선까지 네 가지 선정을 얻는 것입니다.

이 선정은 우선 감각적 욕망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 고찰이 있고, 떨쳐버림으로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첫 번째 선정을 얻습니다. ‧ ‧ ‧

다시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도 없앴기 때문에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한 알아차림이 청정한 네 번째 선정을 얻습니다.



                                      한국명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