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제 2과 : 주격 복수, 대격, 타동사와 자동사, 어휘

담마마-마까 2016. 7. 26. 18:28




제 2 과

 

주격 복수(Nominative Plural)

 

-a 로 끝나는 남성명사․주격․복수는 ā 활용을 한다. 예) gāmā, 마을들.

 

불규칙 어근을 가진 제 1종 활용 동사

 

제 1종 활용에 속하는 여러 동사들은 불규칙한 현재어간을 가진다. 어떤 것들은 강화될 때 어근이 변화하지 않고, 또 다른 것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어근이 길어지거나 변화한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붙을 경우에는, 흔히 앞선 자음이 뒤따라오는 자음에 동화된다. 예) s + -ch > cch (연속 자음 -한 음으로 발음하는 둘 이상의 연속된 자음- 에서는 단지 마지막 자음만이, 이 자음이 반모음이 아니라면 대기음이 될 수 있다. 이 때 선행하는 자음이 대기음인 경우 그  대기음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일단 어간이 주어지면 활용은 완전히 규칙적이다:

 

 

 <어근>            <3인칭․단수․현재>

 

vis*18)(to enter)   pavisati       그가 들어간다 (guṇa로 되지 않음) (접두사(p)pa-)

phus*            phusati       그가 -에 이른다, 그가 도달한다, 그가 얻는다

is                icchati       그가 원한다, 그가 희망한다(어근에 ch 첨가)

gam              gacchati     그가 간다

gam              agacchati    그가 온다 (접두사 a-)

(ṭ)ṭhā             tiṭṭhati      그가 서있다, 그가 머무른다 (어근 중복)

dā          (dadāti 또는 deti)  그가 준다 (중복되어 단축된 형태, 후자가 보다 일반적으로

                               쓰인다: 2인칭 단수, desi ; 1인칭 단수, demi 등)

hā              pajahati       그가 포기한다, 그가 물러선다(어근 중복) (접두사 (p)pa-)

(v)vaj           pabbajati19)     그는 출가한다(세속생활을 버리고 유행자가 되다)

                                (접두사 (p)pa-)

(j)jhe            jhāyati        그는 명상한다(어근이 vuddhi로 됨, e > āy)

 i                 eti           그는 간다(어간 모음 a가 어근에 붙지 않음)

(동사 i는 시적이거나 고상한 의미의 gam과 동의어이다. 따라서 드물게 쓰인다; 그러나 명령법 시제20)에서 gam보다 i가 정상적이다 - 이 때문에 우리는 “고상한”이라고 하는 것이다.)

i     upeti(역시 고상한 의미)   그는 -로 간다 (접두사와 어근 모음의 접합점에

                               모음의 합체가 일어난다;  여기서는 guna와 꼭 마찬가지로,

                               -a + i- > e ) (접두사 upa-)

 

 

대격(Accusative Case, Ac.로 약칭)

 

능동 동사의 동작을 받는 수동자(직접 목적어, kamma)는 대격(dutiyā, upayoga)이다.

‘-a’로 끝나는 남성명사는 -aṃ으로 대격․단수 굴절을 한다.

 예) purisaṃ bandhati, 그가 그 남자를 묶는다.

     samaṇaṃ vadati, 그는 그 사문에게 말한다.

대격은 또 움직임의 목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 gāmaṃ pavisati, 그는 그 마을로 들어간다.

 대격은 또한 움직인 공간(의 크기21))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 maggaṃ paṭipajjati, 그는 그 길을 따라간다.

 (paṭipajjati는 제 3종 활용 동사이다-제 11과 참조)

 대격에 대한 한정사에도 대격이 쓰인다 :

 예) khattiyo brāhmaṇaṃ mahāmattaṃ passati, 그 크샤트리야는 대신인 사제를 본다.

 이러한 형태의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도 포함된다: 그는 시간이 원인이라고 단언한다. 여기서 kālo(시간)와 paccayo(조건, 원인)는 둘다 대격이다(kālaṃ paccayaṃ…). 대신에 이와 같은 격은, 옛 주석가들이 ‘이와 같은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서술로서의 대격(itthambhūtākkhyānatthe upayogavacanaṃ)’이라고 부르고 보통 ‘-에 관하여’라고 번역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예로 간주될 수 있다. 예) Gotamaṃ evaṃ … saddo = “그 말은(saddo) … 이와 같이 (다음 문장에서 계속 된다) 고타마에 관하여.” 이 관용어는 잘 쓰이지 않고, ‘-에 관하여’는 보통 처격(處格, locative case, 제 16과 참조)으로 나타난다. 대격은 ‘인사말이나 저주(詛呪)’에서 불변화사로써 인칭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연습문제 6에 있는 예).

 어떤 동사는 두 개의 수동자(dvikammaka)를 취한다. 이러한 동사에는, ‘(누구에게 무엇을) 말하다, 묻다’, ‘(무엇을 어디에) 가지고 가다, 가지고 오다’ 등의 의미를 가진 동사들이 포함된다:

 예) samaṇaṃ atthaṃ pucchāmi, 나는 사문에게 그 의미(attho)를 묻는다.

 

 대격은 시간의 순수 지속이나 우연한 때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법이 자주 나타나지는 않는다. (어떤 시간을 통하여 또는 반드시 그 시간에 무엇이 성취될 경우에는, 구격(instrumental case)이 사용된다 - 제 8과 참조):

 예) aḍḍhamāsaṃ āgacchati,  그는 2주 후에 온다.

     ekaṃ samayaṃ … , “한 때 … , 전에 한 번 … .”(말을 시작할 때)

 어떤 형용사의 대격․단수․중성형은 부사로서 사용된다(제 17과):

  rassa(“짧은”, -a로 끝나는 형용사) > rassaṃ passasāmi, 나는 짧게 숨을 내쉰다. 즉, 나는

  짧은 숨을 내쉰다. ((p)pa-(s)sas)

 -a로 끝나는 남성명사․대격․복수의 굴절은 -e이다.  

  예) upāsake passati, 그는 그 우바새들을 본다.

 

 

타동사와 자동사

 

수동자를 취할 수 있는 동사를 타동사(sakammaka)라 하고, 수동자를 취할 수 없는 동사를 자동사(akammaka)라 한다.(두 개의 수동자를 취할 수 있는 동사는 이중타동사(dvikammaka)라 한다.) 어떤 언어에 있어서 타동사가 다른 언어에 있어서도 반드시 타동사로 번역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동사를 공부함에 있어서는 이 점을 주의해야 한다.

타동성(transitivity)은 물론 동사의 특성이지 그 동사의 어근의 특성은 아니다. 따라서 동사 bhū와 hū는 자동사이지만, 동사 pari-bhū (경멸하다)와 anu-bhū(경험하다)는 타동사이며, 반면에 pātu(r)-bhū(나타나다)와 (p)pa-hū(가능하다)는 자동사이다. 그러나 어근 bhū와 hū는 자동사도 타동사도 아니다.

 

 

어휘

 

loka>loko처럼 굴절하는 명사․단수․주격:

 

aggo       꼭대기, 정상

attho       재산, 부, 복지, 목적, 의미, 주제(主題)

dhammo    法, (자연의, 참된) 이론, 자연의 요소, 자연의 실체, 자연의 현상22)

patto       그릇

pamādo    태만, 나태, 방심, 소일거리, 오락

piṇḍo      자선품

bhavo     존재, 행운

vādo      토론, 논쟁, 진술

satto     존재물, 사물

saddo     소음(noise), 보고(report)

sugato    잘-간, 선서(善逝)(부처님의 별명)

 

 

연습 문제 2

 

번역하시오.

 

sugato dhammaṃ bhāsati   선서(善逝)께서 법을 설하신다.

brāhmaṇo purise pucchati   바라문은 사람들에게 묻는다.

upāsako pattaṃ āharati     우바새가 발우를 가져온다.

devā cavanti               신(神)들이 사라진다(죽는다).

manussā bhavaṃ icchanti   인간들은 행운을 바란다.

vādam vadanti              그들은 논쟁한다(논쟁을 말한다)

gāmaṃ gacchāma           우리는 마을로 간다

puttā pabbajanti             아들들이 출가한다.

samaṇo āgacchati           사문이 온다.

satto tiṭṭhati                중생은 머무른다.(존재한다)

tathāgato sugato hoti        여래는 선서(善逝)이시다.                    

samaṇe attham pucchanti    그들은 사문들에게 의미를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