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명사의 격변화

담마마-마까 2016. 7. 26. 19:01

[ 빨리어 명사격변화 ]

오늘은 제3장 명사와 형용사 가운데 명사의 격변화에 대한 안내강좌입니다.

[23~24] - 명사 격변화 개괄

* 빠알리어는 명사에 남성여성중성의 성(gender)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강인함은 남성을, 부드러움은 여성을, 그리고 사물은 중성을 나타내는 등 자연적인 성과 일치하지만 일부의 경우 일치하지 않기도 합니다.

* 명사의 수()는 그 명사와 연결된 동사의 수와 일치합니다. 산스끄리뜨가 단수(하나)와 양수() 및 복수(셋 이상) 등의 세 부류로 나눠지는 반면, 빠알리는 단수(하나)와 복수(둘 이상)로 나눠집니다.

* 명사의 격은 제10장에서 상세하게 언급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다만,

주어격을 제1격이라 일컫고, 목적격을 제2격이라 일컫는 등, 빠알리어에 있어서 격의 정식명칭은 제1격부터 제7격까지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격변화 형태가 주어격과 유사한 제8격 호칭격(voc.)은 본래 정식적인 격의 하나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빠알리어에는 제1격 주어격부터 제7격 처소격까지 모두 7개의 격이 존재할 뿐입니다.

* 10장에서 격별용법을 설명드릴 때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만, 빠알리어의 격별용법은 한글의 격별용법과 유사한 것이 대부분인 반면에 완전히 차이가 나는 격별용법 또한 존재하는 까닭에 그러한 차이점을 잘 인지하지 못하면 문장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주안점을 두고 익히시기 바랍니다.

* 문장을 읽으며 분석할 때는 늘~ 표모음집을 곁에 두고 언제라도 펼쳐보도록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각 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예외적인 사항이 있다고 여겨지실 때는 문법책의 해당 부분 도표 아래에 설명된 내용을 참조하시면 예외나 추가적인 내용 등에 대해 아실 수 있습니다

. 표모음집의 모든 표는 문법책에도 동일하게 실려 있으며, 아울러 각 표마다 필요한 설명이 부가되어 있습니다.

* 초기(적어도 1-2년 동안)에는 어떤 형태의 명사에 어떤 형태의 격조사가 붙어서 어떻게 변화하여 어떤 유형의 명사형을 갖추게 되었다고 분석하여 알려하지 마시고, 그냥 명사변화표 전체를 순서대로 자꾸 보고

읽고 그 형틀 그대로 외우시는 것이 정석입니다.

 

[25~37] - 명사의 격변화

* 산스끄리뜨가 문법적인 면에서 비교적 예외가 적은 반면 빠알리어는 심지어 예외가 정상적인 것보다 오히려 많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명사의 격변화 조사 또한 산스끄리뜨는 대부분 1개인 반면 빠알리어는 2-3개는 물론 그 이상인 경우도 있는데, 산스끄리뜨 격변화 조사를 참조하시어 산스끄리뜨 격조사와 동일한 것을 빠알리의 정상적인 격조사로 간주하시고 그 이외의 격조사는 불규칙(=예외)적인 격조사로 간주하시면 됩니다.

* 그러므로 주요 격변화표 전체를 외우고자 하시는 분의 경우엔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격변화형태를 중심으로 외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산스끄리뜨와 빠알리어간의 명사형태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점은,

빠알리어는 명사의 기본형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가 없습니다.

참고로, '­ṁ'은 자음이 아닌 단순한 부호인 까닭에 'bhavaṁ'이나 'arahaṁ' 같은 경우는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그러므로,

산스끄리뜨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빠알리어에서는 그 마지막 자음이 탈락되고 자음 앞에 있던 모음이 장음화된 형태가 '기본형(basic­form)'이란 이름으로 격변화의 기준형이 되는데, 주로 주어격단수(nom.sg.)형태와 동일합니다.

* 34쪽에서 37쪽 사이의 격변화표 위에 표시된 산스끄리뜨에서의 단어 형태, 그 단어가 빠알리어에서 'stem'으로 간주될 때의 형태, 그리고 실제 격변화의 기준이 되는 'basic form'의 변화 과정을 유심히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이처럼 빠알리어 내용만 보았을 때는 모조리 예외(?)라 간주되어 혼동만 주는 경우도 없잖아 있습니다만, 그럴 경우엔 동일 부분의 산스끄리뜨 문법내용을 참조하시면 조금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 산스끄리뜨 - 명사 개괄 ]

[33쪽~35쪽] - 명사 개괄

* 산스끄리뜨는 명사에 남성・여성・중성의 성(gender)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강인함은 남성을, 부드러움은 여성을, 그리고 사물은 중성을 나타내는 등 자연적인 성과 일치하지만 일부의 경우 일치하지 않기도 합니다

* 명사의 수(數)는 그 명사와 연결된 동사의 수와 일치합니다.

* 명사의 격은 제10장에서 상세하게 언급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다만, 주어격을 제1격이라 일컫고, 목적격을 제2격이라 일컫는 등, 산스끄리뜨에 있어서 격의 정식명칭은 제1격부터 제7격까지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격변화 형태가 주어격과 유사한 제8격 호칭격(voc.)은 본래 정식적인 격의 하나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산스끄리뜨에는 제1격 주어격부터 제7격 처소격까지 모두 7개의 격이 존재할 뿐입니다.

* 34쪽의 '까라까격'과 '우빠빠다격'은 일종의 문법을 위한 문법인 까닭에 내용을 이해하려고 하지마시고 그저 내용만 한 번 훑어보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 제10장에서 격별용법을 설명드릴 때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만, 산스끄리뜨의 격별용법은 한글의 격별용법과 유사한 것이 대부분인 반면에 완전히 차이가 나는 격별용법 또한 존재하는 까닭에 그러한 차이점을 잘 인지하지 못하면 문장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주안점을 두고 익히시기 바랍니다.

 

 [36쪽~37쪽] - 명사의 격어미

* 산스끄리뜨를 처음 배우시는 분들의 경우엔 36쪽과 37쪽의 내용은 그저 소설 읽듯이 ‘아~ 그런 말이 있구나…’ 정도로만 익히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外的인 빠다'라느니 '쁘라띠빠디까'라는 등의 말이 나왔을 때 이곳에서 그러한 말을 본 적이 있다는 정도만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주어격 단수조사 '­s「u」'의 경우 명사의 마지막 음소가 모음인 명사에 붙어 그 명사로 하여금 주어격 단수형 명사를 형성하게 하는 격조사인데, 괄호에 든 「u」는 표시자로서 격조사의 성격을 규정하거나 일종의 명령만 전하고 탈락될 뿐 실제로 명사에 첨부되는 것은 아니며, 음소 's'가 실제 명사의 격조사로서 첨부되는 것인데, 그것도 단순히 첨부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소 복잡한 경로를 거쳐 결국에는 실제로 첨부되는 격조사는 대부분 전혀 다른 음소입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그러한 과정을 추적하여 원래의 격조사와 실제 적용되는 격조사를 분류하는 등의 작업은 일종의 문법을 위한 문법의 성격이 짙으므로 최소한 초기 1-2년 동안은 명사의 주요 격변화표를 지속적으로 펼쳐보시거나, 조금 아쉬우시면 주요 격변화표는 몽땅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반드시 암기하셔야 할 주요 격변화표는 편집실에서 편찬한 <표모음집> 기준으로 제3쪽('­a' 격변화)에서 제8쪽('­ū' 격변화)까지의 내용이며, 그 나머지 또한 완전히 외우지는 못하더라도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표모음집을 펼쳐보아 눈에 익혀놓도록 하셔야 합니다.

* 문장을 읽으며 분석할 때는 늘~ 표모음집을 곁에 두고 언제라도 펼쳐보도록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각 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예외적인 사항이 있다고 여겨지실 때는 문법책의 해당 부분 도표 아래에 설명된 내용을 참조하시면 예외나 추가적인 내용 등에 대해 아실 수 있습니다. 표모음집의 모든 표는 문법책에도 동일하게 실려 있으며, 아울러 각 표마다 필요한 설명이 부가되어 있습니다.

* 초기(적어도 1-2년 동안)에는 어떤 형태의 명사에 어떤 형태의 격조사가 붙어서 어떻게 변화하여 어떤 유형의 명사형을 갖추게 되었다고 분석하여 알려하지 마시고, 그냥 명사변화표 전체를 순서대로 자꾸 보고 → 읽고 → 그 형틀 그대로 외우시는 것이 정석입니다.

 

 [38쪽~44쪽] -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 명사 가운데 장음으로 끝나는 중성명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장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주로 여성명사에 해당됩니다.

* 음소 '­ṛ'로 끝나는 남성명사는 격변화된 주어격 단수의 경우 '­ā'형을 취하므로 간혹 문장에서 여성형으로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제42쪽 아래쪽에 관련내용이 있습니다.

 

 [45쪽~59쪽]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 동일하게 '­c' 또는 '­j' 등으로 끝나는 명사라 하더라도 격변화의 형태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제45쪽의 A형과 제47쪽의 B형이 그것인데, 자음 '­c'와 '­j'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A형의 적용이 정상이며 B형의 적용이 일부 명사에 국한된 예외인 반면, 자음 '­ś'와 '­ṣ'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B형의 적용이 정상이며 A형의 적용이 일부 명사에 국한된 예외에 해당합니다. <표모음집>에는 예외의 경우 그 내용이 불규칙변화표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동일하게 '­n'으로 끝난 명사라 하더라도 '­an'이냐 '­in'이냐에 따라 격변화 형태가 달라집니다. '­s'의 경우는 '­as'인지 '­is'인지는 물론 심지어 '­yas'인지 '­vas'인지에 따라서도 달라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문법책에서는 그 가운데 한 가지를 정상적인 격변화형태로 간주하고 나머지는 불규칙적인 격변화형태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60쪽] - 특별한 성격을 지니는 명사군

* 산스끄리뜨에는 명사를 비롯한 모든 부분에서 예외적인 형태를 지니는 단어의 군집(群集)들이 별도로 명기되어 있습니다. 단어 하나하나를 모두 외우실 필요까지는 없지만 정상적인 문법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한(?) 단어들을 만났을 때는 이렇게 별도로 명기된 부분에 와서 내가 찾는 단어가 이러한 단어군집에 속하는지 확인해보는 버릇을 들이시면 좋습니다.

---------------------------------------

* 명사편은 별도의 설명보다는 <표모음집>을 중심으로 자주 들추어보시고 표의 순서대로 자주 읽어보아 주요 변화형을 중심으로 그 형태를 기억해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음주에는 형용사편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표모음집은 봉선사 산스크리트 카페에 신청을 하시면 무료로 법보시 받을 수 있습니다.>

 .........................................................................


제 3 장 명사와 형용사
3.
1. 명 사

(1) 명사의 성
명사는 남성( .)과 중성( .) 또는 여성( .) 가운데 어느 하나의 性을 취한다.
生物의 경우 남성 또는 여성의 자연적인 性이 존재하지만 문법적인 性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Ÿ dārā( .pl. a wife) : 아내를 의미하는 명사 '다라'는 항상 남성・복수로 취급된다.
無生物이나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의 경우에도 모두 어느 하나의 性을 취한다.
Ÿ sani( . worship; a gift) : 숭배나 선물을 나타내는 명사 '싸니'는 남성으로 취급된다.
Ÿ ābhā( . light, splendour) : 빛을 뜻하는 명사 '아바'는 여성으로 취급된다.
Ÿ abala( . weakness) : 나약함을 나타내는 명사 '어발라'는 중성으로 취급된다.
동일한 '길'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임에도 남성과 중성 및 여성으로 나눠지기도 한다.
Ÿ magga( . a road, way, footpath) < Ⓢ.mārga( . seeking; a way, passage)
Ÿ vattani( . a track, a road) < Ⓢ.vartani( . a way, road)
Ÿ vaṭuma( . a road, path) < Ⓢ.vartman( . a way, road, path)

(2) 명사의 수
명사의 數는 單數(sg.)와 複數(pl.)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단수는 한 개의 사물, 그리고 복수는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나타낸다.

(3) 명사의 격
1) 격의 명칭 및 격별 의미
Ÿ 빠알리에서 格의 정식명칭으로 序數의 여성형이 사용된다.
paṭhamā(제1격) Nominative('nom') 주어격(主語格)
dutiyā(제2격) Accusative('acc') 목적격(目的格)
tatiyā(제3격) Instrumental('ins') 도구격(道具格)
catutthī(제4격) Dative('dat') 시여격(施輿格)
pañcamī(제5격) Ablative('abl') 분리격(分離格)
chaṭṭhī(제6격) Genetive('gen') 소유격(所有格)
sattī(제7격) Locative('loc') 처소격(處所格)
ālapanaṁ Vocative('voc') 호칭격(呼稱格)
Ÿ 호칭격은 주어격에 속하는 일종의 별칭일 뿐, 별도의 격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Ÿ 격명칭은 서수 대신 격의 성격을 나타내는 'kattar(주어격)'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Ÿ 상세한 격별용법 및 예문은 제9장 '명사의 격별 용법' 참조.

① 주어격(主語格) - kattar(nominative) - 'nom.'
Ÿ 異稱 : 주격(主格)
Ÿ 토씨 : ~가, ~는, ~이 等.
Ÿ 의미 : 문장 중의 주어나 述語 및 제목 또는 표제어 따위에 사용된다.
Ÿ 예문 : dukkham( .nom.) naṁ(pn. .acc.) cakkaṁ( .nom.) iva( .) anveti(pres.Ⅲ.sg.) →
[괴로움이 그를 수레바퀴처럼 뒤따른다.]
② 목적격(目的格) - kamma(accusative) - 'acc.'
Ÿ 異稱 : 대격(對格), 업격(業格)
Ÿ 토씨 : ~에게, ~을 等.
Ÿ 의미 : 동사의 목적어나 시간의 지속 또는 방향 등에 사용된다.
Ÿ 예문 : na( .) so(pn. .nom.) kāsāvam( .acc.) arahati(pres.Ⅲ.sg.) → [그는 袈裟를
(입을) 자격이 되지 않는다.]
③ 도구격(道具格) - karaṇa(instrumental) - 'ins.'
Ÿ 異稱 : 구격(具格)
Ÿ 토씨 : ~을 가지고, ~에 의해, ~로 인해 等.
Ÿ 의미 : 도구나 수단을 나타내는 단어에 쓰이거나, 동작자나 원인 이유 등에 사용된다.
Ÿ 예문 : paṇḍito( .nom.) pamādaṁ( .acc.) appamādena( .ins.) nudati(pres.Ⅲ.sg.) →
[지혜로운 이는 경솔함을 사려깊음으로 떨쳐버린다.]
④ 시여격(施輿格) - saṁpadāna(dative) - 'dat.'
Ÿ 異稱 : 위격(爲格), 여격(與格)
Ÿ 토씨 : ~을 위해, ~에게 等
Ÿ 의미 : 동사의 간접목적어에 사용되어 이해와 목적 및 방향 등을 나타낸다.
Ÿ 예문 : te(pn. .nom.pl.) jhāyino( .dat.) niccaṁ( .) daḷhaparakkamā( p.→ .nom.pl.) →
[그들은 명상을 위해 꾸준히 의욕적으로 노력한다.]
⑤ 분리격(分離格) - apādāna(ablative) - 'abl.'
Ÿ 異稱 : 종격(從格), 탈격(脫格)
Ÿ 토씨 : ~로부터, ~때문에, ~보다 等.
Ÿ 의미 : 어떤 위치에서 분리되는 상태나, 원인、이유 등을 나타내거나 비교하는 등에 사용된다.
Ÿ 예문 : paṇḍito( .nom.) cittaklesehi( .abl.pl.) attānaṁ( .acc.) pariyodapeyya(pot.Ⅲ.sg.)
→ [현명한 자는 意識의 더러움들로부터 자신을 정화해야 한다.]
⑥ 소유격(所有格) - saṁbandhasāmānya(genitive) - 'gen.'
Ÿ 異稱 : 속격(屬格)
Ÿ 토씨 : ~의, ~의 경우, ~가운데 等.
Ÿ 의미 : 소속이나 소유를 주로 나타내며, 아울러 주어격、목적격、시여격의 대용으로도 사용된다.
Ÿ 예문 : piyānaṁ( .gen.pl.) adassanaṁ( .nom.) dukkhaṁ( .nom.) → [사랑하는 이들의
경우 보지 못하는 것이 괴로움이다.]
⑦ 처소격(處所格) - adhikaraṇa(locative) - 'loc.'
Ÿ 異稱 : 처격(處格), 의격(依格)
Ÿ 토씨 : ~에 있어서, ~가운데 等.
Ÿ 의미 : 시간적인 또는 공간적인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Ÿ 예문 : verinesu( .loc.pl.) averino( p.→ .nom.pl.) susukhaṁ(adv.) jīvāma(pot.Ⅰ.pl.) →
[미움을 품은 이들 가운데에서 미움을 품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가야 한다.]
⑧ 호칭격(呼稱格) - sambodhana(vocativa) - 'voc.'
Ÿ 異稱 : 호격(呼格)
Ÿ 의미 : 누구를 부를 때 사용되며, 주로 'bho( .)'나 'aho( .)' 등의 간투사와 함께 사용된다.
Ÿ 예문 : etaṁ(pn. .nom.) porāṇam( .nom.) atula( .voc.) → [이 말은 오래된 것이다.
'아툴라'여!]

(4) 명사의 격변화
명사의 격변화 내용은 대부분이 형용사 격변화와 동일하다.
(가) 공통내용
① '격변화'란 명사가 문장에서 사용되기 위해 性과 數 및 格에 따른 관련조사가 첨부됨으로써
語形의 변화를 갖는 것을 말한다.
② 빠알리 명사의 性에는 남성( .)과 중성( .) 및 여성( .) 등 세 가지가 존재한다.
Ÿ 문법적인 性은 자연적인 性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③ 빠알리 명사의 數에는 단수(sg.)와 복수(pl.) 두 가지가 존재한다.
④ 빠알리 명사의 格에는 주어격(nom.)부터 처소격(loc.)까지 7가지가 존재하며, 또는
호칭격(voc.)을 포함할 경우 모두 8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⑤ 명사의 격변화는 크게 두 부류로 구분된다.
모음말음 격변화 :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격변화
Ÿ 말음이 'a' 또는 'ā'로 끝나는 어간
Ÿ 말음이 'i' 또는 'ī'로 끝나는 어간
Ÿ 말음이 'u' 또는 'ū'로 끝나는 어간
Ÿ 말음이 'e'로 끝나는 어간 : 빠알리에 말음이 'e'로 끝나는 어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Ÿ 말음이 'o'로 끝나는 어간 : 빠알리에 유일하게 'go( . a bull, a cow)'가 존재한다.
v 모음말음 격변화를 남성・중성 및 여성으로 구분할 경우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Ÿ 남성과 중성의 경우
§ 말음이 'a'로 끝나는 어간 → 즉, 남성과 중성에는 'ā'로 끝나는 어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 말음이 'i'로 끝나는 어간 → 즉, 남성과 중성에는 'ī'로 끝나는 어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 말음이 'u' 또는 'ū'로 끝나는 어간
§ 말음이 'o'로 끝나는 어간 → 즉, 남성과 중성에는 'e'로 끝나는 어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Ÿ 여성의 경우
§ 말음이 'ā'로 끝나는 어간 → 즉, 여성에는 'a'로 끝나는 어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 말음이 'i' 또는 'ī'로 끝나는 어간
§ 말음이 'u' 또는 'ū'로 끝나는 어간
§ 말음이 'o'로 끝나는 어간 → 즉, 여성에는 'e'로 끝나는 어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음말음 격변화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격변화
Ÿ 빠알리에는 원칙적으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단어는 그
원형인 산스끄리뜨의 명사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것인 까닭에 격변화의 적용시 산스끄리뜨
원형으로 일시 회복되므로 별도로 분리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⑥ 명사의 기본 격조사
모든 유형의 명사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격조사는 다음과 같다.
기본격조사를 바탕으로 각 性 및 어간의 말음 형태에 따라 실제 적용되는 격조사는 다양하다.
     sg. / pl.

nom. s / yo

acc. aṁ / yo

ins. ā / hi

dat. ssa / naṁ

abl. smā / hi

gen. ssa / naṁ

loc. smiṁ / su

voc. ---

(=stem) (=nom.pl.)

 

(나) 모음 격변화 -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어간의 격변화

1) 모음 'a'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deva( . a god)  sg. pl.
    sg.

nom. o / devo ( a'는 탈락

acc. ṁ, ena / devaṁ, devena

ins. ā, smā, mhā, to / devā, devasmā, devamhā, devato

dat. ssa, āya / devassa

abl. ā, smā, mhā, to / devā, devasmā, devamhā, devato

gen. ssa / devassa

loc. i, smiṁ, mhi / deve, devasmiṁ, devamhi

voc. -, ā / deva, devā

    pl. ....................

nom. ā, āse / devā

acc. e / deve ( a'는 탈락

ins. ehi, ebhi / devehi, devebhi ( a'는 탈락

dat. naṁ / devānaṁ ( 말음은 장음화

abl. ehi, ebhi / devehi, devebhi

gen. naṁ / devānaṁ

loc. esu / devesu ( a''e'로 대체

voc. a / devā


① 명사에서 말음이 'a'로 끝나는 단어가 다수인 까닭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격조사 유형이다.
② 시여격(dat.)조사의 경우 원래의 조사인 'āya'에 소유격(gen.)조사 'ssa'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③ 시여격조사 'āya'는 어떠한 '意圖'를 의미하는 부정사(inf.)와 용례가 유사하다.
④ 분리격(abl.)의 'smā'、'mhā' 및 처소격(loc.)의 'smiṁ'의 경우 대명사의 격조사에서 차용된 것이다.
⑤ 주어격(nom.) 복수조사 'āse'는 아주 드물게 사용되는데, 베딕산스끄리뜨에서 주로 보일 뿐이다.
Ÿ paṇḍita( . a scholar; an expert) > paṇḍitāse( .nom.pl.)
Ÿ upāsaka( . a devout or faithful layman) > upāsakāse( .nom.pl.)
Ÿ gata( . going; gait) > gatāse([ .→] .nom.pl.)
Ÿ rukkha( . a tree) > rukkhāse( .nom.pl.)
⑥ 도구격과 분리격 복수조사 'ebhi'는 주로 시(poetry)에 사용되는데, 베딕산스끄리뜨의 해당
격조사 'ebhis'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
⑦ 주어격단수조사 'o'、 도구격과 분리격 복수조사 'ehi'・'ebhi'、 목적격복수조사 'e'가 올 경우 그
앞에 놓인 어간의 말음 'a'는 탈락된다.
Ÿ deva( .) + o(nom.sg.) > dev + o > devo( .nom.sg.)
Ÿ deva( .) + ehi(ins.pl.) > dev + ehi > devehi( .ins.pl.)
⑧ 처소격(loc.) 복수조사 'su' 앞에 놓인 어간의 말음 'a'는 'e'로 대체된다.
⑨ 시여격、도구격、분리격、처소격 단수조사 및 주어격과 호칭격 복수조사의 경우 어간의 말음과
연성될 때 일반적인 연성법이 적용된다.
Ÿ deva( .) + āya(dat.sg.) > deva+āya > devāya( .dat.sg.) ← 사와르나디르가 산디
Ÿ deva( .) + ina(ins.sg.) > deva+ina > devena( .ins.sg.) ← 구나 산디
Ÿ deva( .) + ā(abl.sg.) > deva+ā > devā( .abl.sg.) ← 사와르나디르가 산디
Ÿ deva( .) + i(loc.sg.) > deva+i > deve( .loc.sg.) ← 구나 산디
Ÿ deva( .) + ā(nom.pl.) > deva+ā > devā( .nom.pl.) ← 사와르나디르가 산디
Ÿ deva( .) + a(voc.pl.) > deva+a > devā( .voc.pl.) ← 사와르나디르가 산디
⑩ 소유격과 시여격 복수조사 'naṁ' 앞에 놓인 어간의 말음은 장음화된다.
Ÿ deva( .) + naṁ(gen.pl.) > deva+naṁ > devā+naṁ > devānaṁ( .gen.pl.)


나) 중성명사
* rūpa( . appearance, form)  sg. pl.

   sg.

nom. ṁ / rūpaṁ

acc. ṁ / rūpaṁ

ins. ina / rūpena

dat. ssa, āya / rūpassa, rūpāya

abl. ā, smā, mhā, to / rūpā, rūpasmā, rūpamhā, rūpato

gen. ssa / rūpassa

loc. i, smiṁ, mhi / rūpe, rūpasmiṁ, rūpamhi

voc. - / rūpa

    pl. ...................

nom. ni, a / rūpāni, rūpā

acc. ni, e / rūpāni, rūpe

ins. ehi, ebhi / rūpehi, rūpebhi

dat. naṁ / rūpānaṁ

abl. ehi, ebhi / rūpehi, rūpebhi

gen. naṁ / rūpānaṁ

loc. su / rūpesu

voc. ni, a / rūpāni, rūpā ( 말음은 장음화


① 주어격(nom.)、목적격(acc.)、호칭격(voc.) 복수조사 'ni' 앞에 오는 어간의 말음은 장음화된다.
Ÿ rūpa( .) + ni(nom.pl.) > rūpa+ni > rūpā+ni > rūpāni( .nom.pl.)
② 음소 'a'로 끝나는 중성명사의 경우 주어격단수와 주어격、목적격 복수 및 호칭격 복수를 제외한
모든 격조사가 남성명사의 격조사와 동일하다.
③ 주어격、목적격、호칭격의 복수형은 유사한 형태를 지니는데, 'ni'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④ 분리격(abl.) 단수조사 'to'는 산스끄리뜨의 분리격 형성조사 'taḥ'에서 전용된 것이다.

 

다)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공통사항
①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서 주어격의 단수조사로 'e'가 사용되기도 한다.
Ÿ purisa( . a man) > purise( .nom.sg.)
Ÿ manussa( . a human being, man) > manusse( .nom.sg.)
Ÿ putta( . a son) > putte( .nom.sg.)
Ÿ paṇḍita( . a scholar; an expert) > paṇḍite( .nom.sg.)
Ÿ bāla( . a child; a foolish man) > bāle( .nom.sg.)
Ÿ nāga( . a snake in general; an elephant) > nāge( .nom.sg.)
Ÿ sigāla( . a jackal) > sigāle( .nom.sg.)
Ÿ jīvita( . life; a living being) > jīvita( .nom.sg.)
Ÿ sukha( . wellbeing,
happiness) > sukhe( .nom.sg.)
Ÿ dukkha( . pain) > dukkhe( .nom.sg.)
Ÿ saṁyojana( . bond, fetter) > saṁyojane( .nom.sg.)
②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서 도구격의 단수조사로 'ā'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어간에 직접 첨부되거나
혹은 어간과 조사 중간에 자음 's'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sahattha( . one's own hand) + ā > sahatthā( .ins.sg.) → [자신의 손으로…]
Ÿ pāda( . the foot) + ā > pādā( .ins.sg.) → [발로…]
Ÿ uppāda( . arising) + ā > uppādā( .ins.sg.) → [기립으로…]
Ÿ vega( . speed) + ā > vegasā( .ins.sg.) → [재빠름으로…] or adv.
Ÿ bala( . power) + ā > balasā( .ins.sg.) → [힘으로…] or adv.
Ÿ tala( . surface, level) + ā > talasā( .ins.sg.) → [표면으로…] or adv.
③ 분리격조사로 'so'가 사용되기도 한다.
Ÿ bhāga( . a part, portion) > bhāgaso( .abl.sg.)
Ÿ vagga( . a company, group) > vaggaso( .abl.sg.)

2) 모음 'ā'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sā( . a dog) < Ⓢ.śvan( . a dog)  sg. pl. sg. pl.

  sā < sg. / pl.>   // śvan <sg. / pl.>

nom. sā / sā // sā / sā, sāno

acc. saṁ / sāne // sānaṁ / sāne

ins. sena / sāhi, sābhi // sānā / sānehi, sānebhi

dat. sassa, sāya / sānaṁ // sassa / sānaṁ

abl. sā, sasmā, samhā / sāhi, sābhi // sānā / sānehi, sānebhi

gen. sassa / sānaṁ // sassa / sānaṁ

loc. se, sasmiṁ, samhi / sāsu // sāne / sānesu

voc. sa / sā // sa / sā, sāno


① 어간의 말음이 'ā'인 남성명사는 예외적으로 몇 개의 단어만이 존재할 뿐이다.
② sā( . a dog)는 산스끄리뜨 śvan( .)에서 온 것이다.
Ÿ sā < (중복자음탈락+장음화) < sva < (음소대체) < śva < (마지막 자음 탈락) < śvan
③ 단어 'sā'는 용례에 따르면 두 가지 유형의 격변화를 보이는데 음소 'n'이 남아있는 B형의 경우
산스끄리뜨의 원음 'śvan'의 말음 'n'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음소 'ā'로 끝나는 남성명사
격변화는 모음격변화가 아닌 자음격변화로 취급되기도 한다.
④ 다음의 몇 단어는 'sā'와 동일하게 격변화한다.
Ÿ paccakkhadhammā( . one to whom the Doctrine is evident)
Ÿ gaṇdīvandhavā( . an epithet of Arjuna) ・ mā( . the moon)

 

나) 여성명사
* kaññā( . a virgin) < Ⓢ.kanyā( . a virgin) . sg. pl.

 kaññā < sg. > // kanyā < pl. >

nom. -, / kaññā // ā, yo / kaññā, kaññāyo

acc. ṁ / kaññaṁ // ā, yo / kaññā, kaññāyo

ins. āya / kaññāya // hi, bhi / kaññāhi, kaññābhi

dat. āya / kaññāya // naṁ / kaññānaṁ

abl. āya, to / kaññāya, kaññato // hi, bhi / kaññāhi, kaññābhi

gen. āya / kaññāya // naṁ / kaññānaṁ

loc. āyaṁ, āya / kaññāyaṁ, kaññāya // su / kaññāsu

voc. -, e / kaññā, kaññe // ā, yo / kaññā, kaññāyo


① 목적격(acc.)과 분리격(abl.) 단수조사 앞에 오는 장음의 경우 단음화된다.
Ÿ kaññā( .) + ṁ(acc.sg.) > kaññā+ṁ > kañña+ṁ > kaññaṁ( .acc.sg.)
Ÿ kaññā( .) + āya(abl.sg.) > kaññā+āya > kañña+āya > kaññāya( .abl.sg.)
② '어머니'를 의미하는 다음 4개 단어의 경우 호칭격단수에서 장・단의 두 가지 말음을 갖는다.
Ÿ ammā( . mother) > ammā( .voc.sg.) or amma( .voc.sg.)
Ÿ ambā( . mother) > ambā( .voc.sg.) or amba( .voc.sg.)
Ÿ annā( . mother) > annā( .voc.sg.) or anna( .voc.sg.)
Ÿ tātā( . mother) > tātā( .voc.sg.) or tāta( .voc.sg.)

3) 모음 'i'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kapi( . monkey)  sg. pl.
   sg.

nom. - / kapi

acc. ṁ / kapiṁ

ins. nā / kapinā

dat. ssa, no / kapissa, kapino

abl. nā, smā, mhā / kapinā, kapismā, kapimhā

gen. ssa, no / kapissa, kapino

loc. smiṁ, mhi / kapismiṁ, kapimhi

voc. - / kapi

   pl. ................

nom. ī, yo / kapī, kapayo

acc. ī, yo / kapī, kapayo

ins. hi, bhi / kapīhi, kapībhi

dat. naṁ / kapīnaṁ

abl. hi, bhi / kapīhi, kapībhi

gen. naṁ / kapīnaṁ

loc. su / kapīsu

voc. ī, yo / kapī, kapayo


① 주어격(nom.)과 호칭격(voc.) 단수는 그 형태가 명사어간과 동일하다.
② 주어격과 목적격(acc.) 및 호칭격 복수의 어간말음 'i'는 격조사 'yo' 앞에서 'a'로 대체된다.
Ÿ 드물게 'a'로 대체되지 않는 用例도 보인다. : kapayo = kapiyo
v 격조사를 'yo'가 아닌 'o'로 간주할 경우 빠알리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어여와야와 산
디(ayavāyāva sandhi)'를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그 과정이 유추될 수 있다.
Ÿ kapi + o > (guṇa) > kape + o > (ayavāyāva) > kapay + o > kapayo
③ 복수조사 'naṁ、hi、bhi、su' 등이 올 때 그에 앞선 어간말음 'i'는 장음화된다.
④ 상기의 격조사 이외에도 古語形이나 게송 등에 다음과 같은 격조사형태가 用例로 보인다.
Ÿ 주어격(nom.) 복수조사 no / saramatino( .nom.pl.)
Ÿ 목적격(acc.) 단수조사 naṁ / nidhinaṁ( .acc.sg.)
Ÿ 도구격(ins.) 단수조사 ena / raṁsena( .ins.sg.)
Ÿ 소유격(gen.) 단수조사 e / mune( .gen.sg.)
Ÿ 처소격(loc.) 단수조사 o / ādo( .loc.sg.)
Ÿ 처소격(loc.) 단수조사 e / gire( .loc.sg.)

 

나) 중성명사
* vāri( . water)   sg. pl.
   sg.

nom. - / vāri

acc. ṁ / vāriṁ

ins. nā / vārinā

dat. ssa, no / vārissa, vārino

abl. nā, smā, mhā / vārinā, vārismā, vārimhā

gen. ssa, no / vārissa, vārino

loc. smiṁ, mhi / vārismiṁ, vārimhi

voc. - / vāri

    pl. ..................

nom. ni, ī / vārīni, vārī

acc. ni, ī / vārīni, vārī

ins. hi, bhi / vārīhi, vārībhi

dat. naṁ / vārīnaṁ

abl. hi, bhi / vārīhi, vārībhi

gen. naṁ / vārīnaṁ

loc. su / vārīsu

voc. ni, ī / vārīni, vārī


① 주어격(nom.) 단수형으로 'ṁ'이 첨부된 경우도 보인다. : aṭṭhiṁ( .nom.sg.) akkhiṁ( .nom.sg.)
② 목적격(acc.) 단수형은 산스끄리뜨와 달리 'ṁ'이 첨부된다.
③ 복수조사 'ni、naṁ、hi、bhi、su' 앞에 오는 모음 'i'는 장음화된다. 다만 처소격(loc.)복수조사 'su'의
경우 그 앞에 오는 모음 'i'는 장음화되지 않기도 한다. : aṭṭhisu( .loc.pl.)

 

다) 여성명사
* ratti( . night) < Ⓢ.rātri( . night)  sg. pl.
    sg.

nom. - / ratti

acc. ṁ / rattiṁ

ins. ā / rattiyā, ratyā

dat. ā / rattiyā, ratyā

abl. ā / rattiyā, ratyā

gen. ā / rattiyā, ratyā

loc. ā, aṁ / rattiyā, ratyā, rattiyaṁ, ratyaṁ

voc. - / ratti

    pl. .....................

nom. ī, yo / rattī, rattiyo, ratyo

acc. ī, yo / rattī, rattiyo, ratyo

ins. hi, bhi / rattīhi, rattībhi

dat. naṁ / rattīnaṁ

abl. hi, bhi / rattīhi, rattībhi

gen. naṁ / rattīnaṁ

loc. su / rattīsu

voc. ī, yo / rattī, rattiyo, ratyo

① 도구격(ins.)、시여격(dat.)、분리격(abl.)、소유격(gen.)、처소격(loc.)의 경우 어간과 단수조사 'ā' 및
'aṁ'과의 사이에 발음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음소 'y'가 삽입된다.
② 도구격(ins.)、시여격(dat.)、분리격(abl.)、소유격(gen.)、처소격(loc.)의 경우 어간과 단수조사 'ā'
사이에 음소 'y'가 삽입되는 대신 어간의 말음 'i'가 'y'로 대체될 때 3개의 자음이 連接되지
못하는 빠알리의 성격상 중간의 음소 't'가 탈락된다. : ratti+ā > ratty+ā > raty+ā > ratyā
③ 분리격 단수조사로 'to'가 사용되기도 한다. : rattito( .abl.sg.)
④ 처소격 단수 가운데 古語形은 조사 'o'를 갖기도 한다. : ratto( .loc.sg.)
⑤ 복수조사 'naṁ、hi、bhi、su'의 앞에 오는 어간의 단음은 장음화된다. : ratti+naṁ > rattīnaṁ
⑥ 여성명사 'jāti'의 소유격복수형 : jāti+ā > jaty+ā > jacy+ā > jacc+ā > jaccā( .gen.sg.)

4) 모음 'ī'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daṇḍī( . mendicant) < Ⓢ.daṇḍin( . mendicant) < *[ṭi] + in
< daṇḍa( . a stick) . sg. pl.
    sg.

nom. ī / daṇḍī

acc. ṁ, naṁ / daṇḍiṁ, daṇḍinaṁ

ins. nā / daṇḍinā

dat. ssa, no / daṇḍissa, daṇḍino

abl. nā, smā, mhā / daṇḍinā, daṇḍismā

gen. ssa, no / daṇḍissa, daṇḍino

loc. smiṁ, mhi / daṇḍismiṁ, daṇḍimhi

voc. ī / daṇḍī

    pl. .............

nom. ī, no / daṇḍī, daṇḍino

acc. ī, no / daṇḍī, daṇḍino

ins. hi, bhi / daṇḍīhi, daṇḍībhi

dat. naṁ / daṇḍīnaṁ

abl. hi, bhi / daṇḍīhi, daṇḍībhi

gen. naṁ / daṇḍīnaṁ

loc. su / daṇḍīsu

voc. ī, no / daṇḍī, daṇḍino

① 주어격(nom.) 단수형의 경우 마지막 모음이 단음화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daṇḍi( .nom.sg.)
② 호칭격(voc.) 단수형의 경우 격조사로 'ni'를 취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daṇḍini( .voc.sg.)
③ 주어격과 호칭격을 제외한 모든 단수형의 경우 어간의 말음 'ī'는 단음화된다.
④ 주어격(nom.) 복수형의 경우 'yo'를 격조사로 취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daṇḍiyo( .nom.pl.)
⑤ 목적격(acc.) 복수형의 경우 'ye'를 격조사로 취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daṇḍiye( .acc.pl.)
⑥ 주어격・목적격・호칭격 복수조사 'no' 앞에서 어간의 말음 'ī'는 단음화된다.
⑦ 분리격 단수조사로 'to'가 사용되기도 한다. : daṇḍito( .abl.sg.)
⑧ 어간의 말음이 'ī'인 남성명사는 산스끄리뜨의 경우 말음 'in'인 단어에 해당한다.

 

나) 여성명사
* nadī( . river)  sg. pl.
    sg.

nom. ī / nadī

acc. ṁ / nadiṁ

ins. ā / nadiyā, nadyā, najjā

dat. ā / nadiyā, nadyā, najjā

abl. ā / nadiyā, nadyā, najjā

gen. ā / nadiyā, nadyā, najjā

loc. a, aṁ / nadiyā/aṁ, nadyā/aṁ, najjā/aṁ

voc. ī / nadī

    pl. ...........

nom. ī, yo / nadī, nadiyo, najjo

acc. ī, yo / nadī, nadiyo, najjo

ins. hi, bhi / nadīhi, nadībhi

dat. naṁ / nadīnaṁ

abl. hi, bhi / nadīhi, nadībhi

gen. naṁ / nadīnaṁ

loc. su / nadīsu

voc. ī, yo / nadī, nadiyo, najjo


① 소유격(gen.) 복수형의 경우 'ānaṁ'을 격조사로 취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nadiyānaṁ
② 주어격과 호칭격을 제외한 모든 단수형 및 복수조사 'yo' 앞의 어간말음 'ī'는 단음화된다.
③ 복수형과는 달리 단수형에 보이는 'nadya'는 'najja'와 더불어 함께 사용된다.
Ÿ [단수형] nadiyā > nadyā[sg.] & > (0062) > najyā > (正順) > najjyā[pl.]
Ÿ [복수형] nadiyo > nadyo > (0062) > najyo > (正順) > najjo[pl.]

 


5) 모음 'u'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bhikkhu( . monk) < Ⓢ.bhikṣu( . a mendicant)  sg. pl.
   sg.

nom. - / bhikkhu

acc. ṁ / bhikkhuṁ

ins. nā / bhikkhunā

dat. ssa, no / bhikkhussa, bhikkhuno

abl. nā, smā, mhā / bhikkhunā, -smā, -mhā

gen. ssa, no / bhikkhussa, bhikkhuno

loc. smiṁ, mhi / bhikkhusmim, bhikkhumhi

voc. - / bhikkhu

    pl. ............

nom. ū, o / bhikkhū, bhikkhavo

acc. ū, o / bhikkhū, bhikkhavo

ins. hi, bhi / bhikkhūhi, bhikkhūbhi

dat. naṁ / bhikkhūnaṁ

abl. hi, bhi / bhikkhūhi, bhikkhūbhi

gen. naṁ / bhikkhūnaṁ

loc. su / bhikkhūsu

voc. ū, o, e / bhikkhave

① 주어격(nom.) 복수형 가운데 격조사 'o'가 적용된 경우의 변환과정
Ÿ bhikkhu+o > (guṇa) > bhikkho+o > (ayavāyāva) > bhikkhav+o > bhikkhavo
② 일부 단어의 경우 주어격 복수조사로 'yo'가 사용된다. : jantuyo( .nom.pl.) hetuyo( .nom.pl.)

 

나) 중성명사
* cakkhu( . the eye) < Ⓢ.cakṣu( . the eye)  sg. pl.
   sg.

nom. - / cakkhu (cakkhuṁ)

acc. ṁ / cakkhuṁ

ins. nā / cakkhunā

dat. ssa, no / cakkhussa, cakkhuno

abl. nā, smā, mhā / cakkhunā, cakkhusmā, -mhā

gen. ssa, no / cakkhussa, cakkhuno

loc. smiṁ, mhi / cakkhusmiṁ, cakkhumhi

voc. - / cakkhu

   pl. .........

nom. ū, ni / cakkhūni, cakkhū

acc. ū, ni / cakkhūni, cakkhū

ins. hi, bhi / cakkhūhi, cakkhūbhi

dat. naṁ / cakkhūnaṁ

abl. hi, bhi / cakkhūhi, cakkhūbhi

gen. naṁ / cakkhūnaṁ

loc. su / cakkhūsu

voc. ū, ni / cakkhūni, cakkhū

① 주어격(nom.) 단수조사로 'ṁ'이 사용된 것도 용례에 보인다. : cakkhuṁ( .nom.sg.)

 

다) 여성명사
* dhenu( . a cow)  sg. pl..
    sg.

nom. - / dhenu

acc. m ṁ / dhenuṁ

ins. yā / dhenuyā

dat. yā / dhenuyā

abl. yā / dhenuyā

gen. yā / dhenuyā

loc. yaṁ, yā / dhenuyaṁ, dhenuyā

voc. - / dhenū

    pl. .......

nom. ū, yo / dhenū, dhenuyo

acc. ū, yo / dhenū, dhenuyo

ins. hi, bhi / dhenūhi, dhenūbhi

dat. naṁ / dhenūnaṁ

abl. hi, bhi / dhenūhi, dhenūbhi

gen. naṁ / dhenūnaṁ

loc. su / dhenūsu

voc. ū, yo / dhenū, dhenuyo

① 분리격(abl.) 단수조사로 'to'가 사용되기도 한다. : jambuto( .abl.sg.)
② 주어격(nom.) 복수조사로 'o'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경우 'v'가 중간에 삽입된다. : dhenuvo
③ 복수조사 'naṁ、hi、bhi、su' 앞에 놓이는 어간의 말음 'u'의 경우 장음화된다.

6) 모음 'ū'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sayambhū( . an epithet of the buddha) < Ⓢ.svayambhū( . selfexistent:
. N. of Brahman)  sg. pl.
    sg.

nom. - / sayambhū

acc. ṁ / sayambhuṁ

ins. nā / sayambhunā

dat. ssa, no / sayambhussa, sayambhuno

abl. nā, smā, mhā / sayambhunā, -smā, -mhā

gen. ssa, no / sayambhussa, sayambhuno

loc. smiṁ, mhi / sayambhusmiṁ, sayambhumhi

voc. - / sayambhū

    pl. ............

nom. ū, o / sayambhū, sayambhuvo

acc. ū, o / sayambhū, sayambhuvo

ins. hi, bhi / sayambhūhi, sayambhūbhi

dat. naṁ / sayambhūnaṁ

abl. hi, bhi / sayambhūhi, sayambhūbhi

gen. naṁ / sayambhūnaṁ

loc. su / sayambhūsu

voc. ū, o, e / sayambhū, sayambhuvo

① 주어격(nom.)、목적격(acc.)、호칭격(voc.)복수형의 경우 어간과 격조사 사이에 'v'가 삽입되며,
어간의 말음 'ū'는 단음화된다. : sayambhū+o > sayambhu+v+o > sayambhuvo
② 주어격과 호칭격을 제외한 모든 단수형의 경우 어간말음 'ū'는 단음화된다.
③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격조사 형태가 古語形이나 게송 등에 用例로 보인다.
Ÿ 목적격(acc.) 단수조사 naṁ   bhikkhunaṁ( .acc.sg.)

 

나) 여성명사
* vadhū( . a widow)  sg. pl.
   sg.

nom. - / vadhū

acc. m ṁ / vadhuṁ

ins. yā / vadhuyā

dat. yā / vadhuyā

abl. yā / vadhuyā

gen. yā / vadhuyā

loc. yaṁ, yā

voc. - / vadhū

   pl. ..........

nom. ū, o / vadhū, vadhuyo

acc. ū, o / vadhū, vadhuyo

ins. hi, bhi / vadhūhi, vadhūbhi

dat. naṁ / vadhūnaṁ

abl. hi, bhi / vadhūhi, vadhūbhi

gen. naṁ / vadhūnaṁ

loc. su / vadhūsu

voc. ū, o, e / vadhū, vadhuyo

① 주어격과 호칭격을 제외한 모든 단수형의 경우 어간의 말음 'ū'는 단음화된다.
② 분리격 단수조사로 'to'가 사용되기도 한다. : vadhuto( .abl.sg.)
③ 복수조사 'yo'가 올 경우 어간의 말음 'ū'는 단음화된다.

 

7) 모음 'o'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가) 남성명사
* go( . a bull; a cow)
      sg. / pl.

nom. gavaṁ, gāvaṁ, gavuṁ, gāvuṁ / gavo, gāvo

acc. gavena, gāvena / gavo, gāvo

ins. gavassa, gāvassa / gohi, gobhi, gavehi

dat. gavā, gāvā, ga/gāvasmā / gavaṁ, gonaṁ, gunnaṁ

abl. ga/gāvamhā / gohi, gobhi, gavehi

gen. gavassa, gāvassa / gavaṁ, gonaṁ, gunnaṁ

loc. gave, gāve, ga/gāvasmiṁ / gosu, gavesu, gāvesu

voc. ga/gāvamhi / gavo, gāvo

① 빠알리에서는 복모음 'ai'와 'au'가 사라지고, 어간의 말음이 'e'로 끝나는 단어는 없으며, 'o'로
끝나는 단어는 'go( . a bull; a cow)' 하나만 존재한다.

 

8) 불규칙 격변화
명사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가운데 불규칙한 격변화를 보이는 단어들
* sakhā( . a friend)27) < Ⓢ.sakhi( . a friend)

      sg. / pl.

nom. sakhā / sakhāno, sakhino, sakhā

acc. sakhānaṁ, sakhaṁ, sakhāraṁ / sakhī, sakhāyo, sakhāno, sakhino

ins. sakhinā / sakhārehi, sakhārebhi, sakhehi, sakhebhi

dat. sakhino, sakhissa / sakhārānaṁ, sakhīnaṁ, sakhānaṁ

abl. sakhinā, sakhāra, sakharasmā / sakhārehi, sakhārebhi, sakhehi, sakhebhi

gen. sakhino, sakhissa / sakhārānaṁ, sakhīnaṁ, sakhānaṁ

loc. sakhārasmiṁ, sakhārimhi / sakhāresu, skhesu

voc. sakha, sakhā, sakhi, sakhī, sakhe / sakhāyo, sakhāno, sakhino, sakhā

 


(다) 자음 격변화 -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어간의 격변화
27) 'sakhā( . a friend)'와 더불어 'sakhi( . a friend)' 또한 기본형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격변화결과는 동일하다.
① 자음 격변화에서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더불어 형용사도 함께 언급한다.
② 산스끄리뜨에서는 단어의 기본형(basicform)과 어간(stem)이 동일하지만, 빠알리의 경우엔
산스끄리뜨에서 기원된 단어가 빠알리의 문법에 맞게 간략화된 것을 어간(stem)으로 취급하고,
어간 가운데 자음으로 된 말음이 탈락된 것을 기본형(basicform)으로 달리 취급한다.
Ÿ [산] ātman( . the soul) : 단어의 기본형(basicform)과 어간(stem)이 동일하다.
Ÿ [빨] attan( . the soul) : 단어의 어간(stem)에 해당한다.
§ attan < (격자음 앞 모음의 단음화) < āttan < (正順) < Ⓢ.ātman
attā( . the soul) : 단어의 기본형(basicform)에 해당한다.
§ attā < (말음탈락의 보상으로 직전 모음이 장음화) < atta < (자음인 말음의 탈락) < attan
그러므로 빠알리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대부분 '어간'의 형태가 아닌 '기본형'의 형태에서
격변화가 진행되므로 대부분 '자음격변화'가 아닌 '모음격변화'에서 취급된다.

1) 자음인 비음('n')으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 attā( . the soul) as basic form < 'attan' as stem < Ⓢ.ātman( . the soul)
    sg. / pl.

nom. attā / attāno, attā

acc. attānaṁ, attaṁ, attanaṁ / attāno, atte

ins. attanā, attena / attanehi, attanebhi

dat. attano, attassa / attānaṁ

abl. attanā, attasmā, attamhā //attanehi, attanebhi

gen. attano, attassa / attānaṁ

loc. attani, attasmiṁ, attamhi / attanesu

voc. atta, attā / attāno, attā

 

* brahmā(Brahma) as basic form < 'brahman' as stem < .brahman(the Brahman)

    sg. / pl.

nom. brahmā / brahmāno, brahmā

acc. brahmānaṁ, brahmaṁ / brahmāno

ins. brahmanā, brahmunā / brahmehi, brahmebhi, brahmūhi, brahmūbhi

dat. brahmuno, brahmassa / brahmānam, brahmunaṁ

abl. brahmanā, brahmunā / brahmehi, brahmebhi, brahmūhi, brahmūbhi

gen. brahmuno, brahmassa / brahmānam, brahmunaṁ

loc. brahme, brahmani / brahmesu

voc. brahme / brahmāno, brahmā

 

* rājā(a king) as basic form < 'rājan' as stem < .rājan(a king)

     sg. / pl.

nom. rājā / rājāno, rājā

acc. rājānaṁ, rājaṁ / rājāno

ins. raññā, rājena, rājinā / rājūhi, rājūbhi, rājehi, rājebhi

dat. rañño, rājino, rājassa / raññam, rājūnaṁ, rājānaṁ

abl. raññā, rājasmā, rājamhā / rājūhi, rājūbhi, rājehi, rājebhi

gen. rañño, rājino, rājassa / raññam, rājūnaṁ, rājānaṁ

loc. raññe, raññi, rājini, rājimhi, rājismiṁ / rājūsu, rājesu

voc. rāja, rājā / rājāno, rājā


① 'brahmā'의 처소격(loc.)단수형은 다음의 경우도 용례에 보인다. : brahmasmiṁ, brahmamhi.
② 'rājā'를 비롯하여 어간의 말음이 'an'인 일부단어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上記의 격변화에
준하지만, 복합어의 뒷단어로 사용될 때는 그 격변화가 말음이 'a'인 남성명사 'deva'에 준한다.28)
28) 【Ⓢ】어간의 말음이 'an'인 단어로서 복합어의 뒷단어로 쓰일 때 말음이 'a'인 격변화에 준하는 단어는 다음의
3개이다. : rājan( . a king), ahan( . a day), sakhi( . a friend).
③ 어간의 말음이 'an'인 일부단어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될 때도 그 격변화가 'rājā'가 아닌 일반적인
말음 'a'로 끝나는 단어에 준하기도 한다.
Ÿ yakana29) > yakanāni( .acc.pl.) → [다수의 肝臟] < Ⓢ.yakṛt( .)
Ÿ athabbana > attabbano( .nom.sg.) → [아타르와] < Ⓢ.atharvan( .)
???
Ÿ dhamma+rājā > dhammarājo( .nom.sg.) → [法王] < Ⓢ.dharmarājan( .)
Ÿ vissa+kamma > vissakammo( .nom.sg.) → [工藝天] < Ⓢ.viśvakarman( .)
Ÿ puthu+loma > puthulomo( .nom.sg.) → [물고기] < Ⓢ.pṛthakloman( .)


2) 자음 'ar'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 satthā( . the teacher) as basic form < 'satthar' as stem < Ⓢ.śāstṛ( . the teacher)
      sg. / pl.

nom. satthā / satthāro, satthā

acc. satthāraṁ, sattharaṁ / satthāro, satthāre

ins. sattharā, satthārā, satthunā / satthārehi, satthārebhi

dat. satthu, satthussa, satthuno / satthānaṁ, satthārānaṁ, satthūnaṁ

abl. sattharā, satthārā, satthunā / satthārehi, satthārebhi

gen. satthu, satthussa, satthuno / satthānaṁ, satthārānaṁ, satthūnaṁ

loc. satthari / satthāresu, satthūsu

voc. sattha, satthā / satthāro, satthā

 

* pitā(father) as basic form < 'pitar' as stem < .pitṛ(father)

     sg. / pl.

nom. pitā / pitaro

acc. pitaraṁ, pituṁ / pitaro, pitare

ins. pitarā, pitunā, pityā, petyā / pitarehi, pitarebhi, pitūhi, pitūbhi

dat. pitu, pituno, pitussa / pitarānaṁ, pitānaṁ, pitunnaṁ, pitūnaṁ

abl. pitarā, pitu, pityā, petyā / pitarehi, pitarebhi, pitūhi, pitūbhi

gen. pitu, pituno, pitussa / pitarānaṁ, pitānaṁ, pitunnaṁ, pitūnaṁ

loc. pitari / pitaresu, pitūsu

voc. pita, pitā / pitaro

 

* mātā(mother) as basic form < 'mātar' as stem < .mātṛ(mother)

    sg. / pl.

nom. mātā / mātaro, mātā

acc. mātaraṁ / mātaro, matare

ins. mātarā, mātuyā, mātyā / mātarehi, mātārebhi, mātūhi, mātūbhi

dat. mātu, mātuyā, mātyā / mātarānaṁ, mātānaṁ, mātūnaṁ, mātunnaṁ

abl. mātarā, mātuyā, mātyā / mātarehi, mātārebhi, mātūhi, mātūbhi

gen. mātu, mātuyā, mātyā (mātussa) / mātarānaṁ, mātānaṁ, mātūnaṁ, mātunnaṁ

loc. mātari, mātuyā, mātyā, mātuyaṁ, mātyaṁ / mātaresu, mātūsu

voc. māta, mātā / mātaro, mātā

① 어간이 'ar'로 끝나는 단어는 'ar'가 'u'로 대체된 것이 복합어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v 단어 'satthā'의 경우 소유격(gen.)단수형과 동일한 'satthu'가 복합어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Ÿ satthar + vaṇṇa > satthuvaṇṇa( . gold; the colour of the Master)
Ÿ satthar + sāsana > satthuvaṇṇa( . teaching; the teach of the Master)
v 단어 'pitā'와 'mātā'의 경우 'pitu'와 'mātu'가 복합어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29) (0000) paddannomāshṛnniśasanyūṣandoṣanyakañchakannudannāsañchasprabhṛtiṣu |6.1.063| : 명사 'yakṛt' 등은
그것의 전용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 'yakan' 등으로 대체된다.
Ÿ pitā + svasā > pitucchā( . father's sister, aunt)
Ÿ mātā + kucchi > mātukucchi( . mother's womb)
② 분리격(abl.)단수조사 'to'가 첨부될 때 'pitā'와 'mātā'는 'piti'와 'māti'로 대체된다.
Ÿ pitā + to > piti+to > pitito( .abl.sg.)
Ÿ mātā + to > māti+to > mātito( .abl.sg.)
v 'piti'와 'māti'는 복합어의 기본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③ 단어 'pitā'와 'mātā'의 시여격(dat.)과 소유격(gen.) 복수형의 경우 조사 'naṁ'의 첫음소 'n'이
중복형을 취할 때 그에 대한 보상으로 바로 앞의 장음이 단음화된다.
Ÿ pitā + naṁ > pitūnaṁ |or| pitunnaṁ( .gen.pl.)
Ÿ mātā + naṁ > mātūnaṁ |or| mātunnaṁ( .gen.pl.)
④ 어간이 'ar'로 끝나는 단어 가운데 일부는 'deva'의 격변화를 따르기도 한다.
Ÿ Ⓢ.śalyakartṛ > sallakattar > sallakatta( . a physician) → sallakattaṁ( .acc.sg.) etc.
Ÿ Ⓢ.śrotṛ > sotar > sota( . a hearer) → sotā( .nom.pl.) etc.
⑤ 'satthā、pitā、mātā' 등의 유형에 속하는 단어들
Ÿ netā( . a guide) < Ⓢ.netṛ( .) nattā( . a grandson) < Ⓢ.naptṛ( .)
Ÿ jetā( . a conqueror) < Ⓢ.jetṛ( .) dātā( . a giver) < Ⓢ.dātṛ( .)
Ÿ kattā( . an agent) < Ⓢ.kartṛ( .) bhātā( . a brother) < Ⓢ.bhrātṛ( .)

3) 자음 'as/us'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 mano( . the mind) as basic form < 'manas' as stem < Ⓢ.mano( . the mind)
    sg. / pl.

nom. mano, manaṁ / manā

acc. mano, manaṁ / mane

ins. manasā, manena / manehi, manebhi

dat. manaso, manassa / maninaṁ

abl. manasā, manasmā, manamhā, manā / manehi, manebhi

gen. manaso, manassa / maninaṁ

loc. manasi, mane, manasmiṁ, manamhi / manesu

voc. mano, manaṁ, manā, mana / manā

 

* āyu(life) as basic form < 'āyus' as stem < .āyus(life)

    sg. / pl.

nom. āyu, ayuṁ / āyū, āyūni

acc. āyu, ayuṁ / āyū, āyūni

ins. āyunā, āyusā / āyūhi, āyūbhi

dat. āyussa, āyuno / āyūnaṁ, āyusaṁ

abl. āyunā, āyusā / āyūhi, āyūbhi

gen. āyussa, āyuno / āyūnaṁ, āyusaṁ

loc. āyuni, āyusi / āyūsu

voc. āyu, āyuṁ / āyū, āyūni

① 단어 'mano'의 경우 비록 복수형이 존재하지만 문장에 실제 사용되는 것은 단수형뿐이다.30)
② 다음의 단어들은 'mano'와 동일한 격변화를 갖는다.
Ÿ vaco( . discourse) < Ⓢ.vacas( .) tejo( . heat) < Ⓢ.tejas( .)
Ÿ vayo( . age) < Ⓢ.vayas( .) tapo( . heat) < Ⓢ.tapas( .)
Ÿ ceto( . thought) < Ⓢ.cetas( .) tamo( . darkness) < Ⓢ.tamas( .)
30) 【Ⓢ】단수형은 물론 복수형도 문장에 실제로 사용된다.
Ÿ yaso( . glory) < Ⓢ.yaśas( .) ayo( . iron) < Ⓢ.ayas( .)
Ÿ payo( . water) < Ⓢ.payas( .) siro( . the head) < Ⓢ.śiras( .)
Ÿ chando( . metrics) < Ⓢ.chandas( .) saro( . a lake) < Ⓢ.saras( .)
Ÿ uro( . the breast) < Ⓢ.uras( .) raho( . solitude) < Ⓢ.rahos( .)
Ÿ rajo( . dust) < Ⓢ.rajas( .) ojo( . strength) < Ⓢ.ojas( .)
Ÿ thāmo( . strength) < Ⓢ.sthāmas( .) vāso( . cloth) < Ⓢ.vāsas( .)
Ÿ aho( . day) < Ⓢ.ahas( .) & Ⓢ.ahan( .)31)
③ 단어 'aho'의 경우 처소격(loc.)단수형은 다음과 같다. : ahasmiṁ, ahamhi, ahe, ahu, ahasi, ahuni.


4) 자음 'at/ant'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
어간이 'at/ant'나 'vat/vant' 또는 'mat/mant'로 끝나는 단어는 대부분 형용사에 속하며, 명사의
경우는 형용사에서 전용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격변화만 밝히고 형용사편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 bhavaṁ( . Sir.) as basic form < 'bhavat/bhavant' as stem < Ⓢ.bhavat( . Sir.)
    sg. / pl.

nom. bhavaṁ, bhanto / bhavanto, bhavantā, bhonto

acc. bhavantaṁ, bhotaṁ / bhavante, bhonte

ins. bhavantena, bhavatā, bhotā / bhavantehi, bhavantebhi

dat. bhavantassa, bhavato, bhoto / bhavataṁ, bhavantānaṁ

abl. bhavatā, bhavantā, bhotā / bhavantehi, bhavantebhi

gen. bhavantassa, bhavato, bhoto / bhavataṁ, bhavantānaṁ

loc. bhavati, bhavante / bhavantesu

voc. bho, bhonta, bhante / bhavanto, bhonto, bhante, bhavantā

 

* arahaṁ(saint) as basic form < 'arahat/arahant' as stem < .arahat(saint)

      sg. / pl.

nom. arahaṁ, arahā / arahanto, arahā

acc. arahantaṁ / arahante

ins. arahatā, arahantena / arahantehi, arahantebhi

dat. arahato, arahantassa / arahataṁ, arahantānaṁ

abl. arahatā, arahantā, arahantasmā,arahantamhā / arahantehi, arahantebhi

gen. arahato, arahantassa / arahataṁ, arahantānaṁ

loc. arahati,arahante, arahantasmiṁ,arahantamhi / arahantesu

voc. arahanta / arahanto

① 단어 santo( . a good man)의 격변화는 'arahaṁ'과 유사하다.
Ÿ santo( .nom.sg.) < santa( .) < Ⓢ.sat(pres.p.) < √as(2. . to be, exist)
31) 'aho'의 경우 산스끄리뜨 'ahan'의 주어격 단수형 'ahaḥ'에서 온 것으로도 간주된다.

자료출처 : 봉선사 산스크리트 편집실 http://cafe.daum.net/sanskritsil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 대명사별 격변화  (0) 2016.07.26
형용사  (0) 2016.07.26
연성법  (0) 2016.07.26
빨리어의 자음과 모음  (0) 2016.07.26
※ 주석 설명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