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대명사. 대명사별 격변화

담마마-마까 2016. 7. 26. 19:25

[ 빠알리 문법 5회 - 대명사 ]

대명사에서 눈 여겨 보실 내용은 다음의 2가지입니다.

문장을 읽다가 아주 간단하고 새로운 단어(?)를 발견하여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하여 원형을 찾으려 애를 써보고, 아울러 이리저리 변형시켜 사전에서 찾아보려고 해도 도무지 어떤 단어인지 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괴상한 단어결국에는 그 단어는 대명사이고, 괴상한 모습은 아주 다른 형태로 격변화된 것임을 알았을 때는 이미 한참을 헤맨 후라는 경험을 하셨던 분이 적잖게 계실 것입니다. 그런 착오를 하지 않으시려면 한 차례 쯤은 문법책 속에 있는 대명사표에서 격변화된 모든 모습들을 눈 여겨 봐두시기 바랍니다.* 특히 빠알리의 경우는 불규칙적인 대명사의 격변화 형태가 많은 까닭에 그 전체를 외우기엔 벅찰 것이므로 문장을 보실 때는 표모음집 등을 항상 옆에 두고 자주 펼쳐보시기를 권합니다. 몇 번만 눈 여겨 보시면 형태가 비슷비슷하므로 얼마 지나지 않아 대명사임을 바로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대명사의 격변화된 형태나 특정 조사가 첨부되어 부사(adv.) 또는 불변화사(?.)로 쓰이거나 대명사적인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62쪽부터 65쪽에 걸쳐 실려있습니다. 특히 특정 조사가 첨부되어 부사 등으로 쓰이는 단어들의 경우는 모든 단어들을 다 외우려고 하실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대명사와 그에 첨부되는 특정조사의 기본형태를 기억하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그리고 빠알리의 경우엔 기본적인 대명사에 특정조사가 첨부되면서 대명사가 완전히 축소되어버리는 경우(예를 들면 'idaṁ''i­'의 형태로만 남고, 거기에 조사 '­dha'가 첨부되어 'idha'가 형성되는 등)를 눈여겨봐두시기 바랍니다.

 

단어를 자꾸만 나누고 나누어 분석해보려는 버릇은 빠알리 공부에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사실 빠알리의 경우는 그렇게 세밀하게 나누려고 하다보면 어차피 산스끄리뜨에 해당하는 부분을 알아야 한다는 부담감이 없잖아 있습니다만, 그러한 것을 극복하여 어느 정도 분석이 가능해지면, 심지어 사전에도 실려있지 않지만 특정 문장에서 그 글을 쓴 이가 말하고자 하는 정확한 내용을 유추해낼 수 있는 힘이 다름 아닌 단어의 '분석'에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힘 든 만큼 보람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1. 대명사의 일반적인 내용

* 인칭대명사에는 'me''nau' 등과 같은 대체형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대체형 인칭대명사는 문장의 첫머리에 놓일 수 없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te''mā' 등의 경우 워낙 간단한 형태인 까닭에 두 단어 사이에 있으면 인칭대명사인지 아닌지 분간해내기 어렵기도 함을 유의해야 합니다. - 요 내용은 산스끄리뜨와 빠알리 공통입니다. 담마빠다의 경우 42번 게송에 관련내용이 있습니다.

 

* 일부 대명사의 경우 이미 언급했다가 재차 언급할 때는 대명사 어두의 음소 't''n'으로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 taṁ(그를) ~, naṁ([앞서 언급했던] 그를) ~.- diso() taṁ(그에게) pāpaḥ(악독하게) kayira(할 수 있다면), cittaṁ(認識) naṁ(그에게) pāpiyo(더욱 악독하게) kare(할 수 있다.)적이 그에게 어느 정도 악독하게 할 수 있다면 인식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앞서 언급했던 바로) 그에게 더욱 악독하게 할 수 있다.’라는 의미이므로, 'naṁ'은 앞서 언급된 'taṁ'을 재차 언급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장 중에 'naṁ'처럼 대명사로서 'n­'으로 시작되는 것이 있으면 동일한 문장의 앞부분에 반드시 동일한 사람을 가리키는 또 다른 대명사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대명사적 형용사

* 대명사적 형용사, 형용사이면서 격변화는 대명사 방식을 적용하는 일부 형용사들을 말합니다. 비교적 흔히 쓰이는 남성주격복수(?.nom.pl.)의 경우 격변화의 형태가 많이 차이나는 까닭에 일반적인 형용사로 오해하여 다른 격변화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 대명사처럼 격변화하는 형용사는 숫자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65쪽에 나열된 해당 형용사들을 기억하셨다가 표모음집을 보시면…… ~이라고 말씀드려야 되는데 표모음집에나 문법책에나 어디에도 대명사적 형용사를 격변화표로 정리해놓은 것이 없군요. 쉬운 내용이라 생각하고 빠트린 것 같습니다. 다음번 빠알리문법책 정리할 때 보충하도록 하겠으며, 그 전이라도 해당표가 정리되면 자료게시판에 올려놓고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산스끄리뜨 문법  제5회 - 대명사 ]

대명사에서 눈 여겨 보실 내용은 다음의 2가지입니다.

① 문장을 읽다가 아주 간단하고 새로운 단어(?)를 발견하여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하여 원형을 찾으려 애를 써보고, 아울러 이리저리 변형시켜 사전에서 찾아보려고 해도 도무지 어떤 단어인지 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괴상한 단어… 결국에는 그 단어는 대명사이고, 괴상한 모습은 아주 다른 형태로 격변화된 것임을 알았을 때는 이미 한참을 헤맨 후라는 경험을 하셨던 분이 적잖게 계실 것입니다. 그런 착오를 하지 않으시려면 한 차례 쯤은 문법책 속에 있는 대명사표에서 격변화된 모든 모습들을 눈 여겨 봐두시기 바랍니다.

 

② 대명사의 격변화된 형태가 부사(adv.) 또는 불변화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련내용이 문법책 68쪽~69쪽에 수록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 대명사가 지니는 내용에 조사의 내용이 첨가되어 새로운 내용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자면 'kutas'의 경우 대명사 'kim(무엇?)'과 조사 '­tas(~로부터)'가 결합되어 '어디로부터…'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비롯하여 다양한 의미를 갖추게 되는 것 등을 말합니다. 'kutas'와 'kutra' 등을 따로 외울 것이 아니라 단어를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면 설령 'kutra'를 처음 보았다 하더라도 'ku­'는 'kim'에서 온 것임을 알고, 더하여 '­tra'는 장소를 나타내는 조사임을 알고 있을 경우 'kutra'가 '어디로부터…'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갖추고 있음을 유추해낼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 '­tra'처럼 대명사에 첨부되어 부사를 형성하는 조사들에 대한 설명은 68쪽에 있습니다.

※ 단어를 자꾸만 나누고 나누어 분석해보려는 버릇은 산스끄리뜨 공부에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단어의 원형을 찾아내는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심지어 사전에도 실려있지 않지만 특정 문장에서 그 글을 쓴 이가 말하고자 하는 정확한 내용을 유추해낼 수 있는 힘이 다름 아닌 단어의 '분석'에서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대명사의 일반적인 내용

* 인칭대명사에는 'me'나 'nau' 등과 같은 대체형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대체형 인칭대명사는 문장의 첫머리에 놓일 수 없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te'나 'mā' 등의 경우 워낙 간단한 형태인 까닭에 두 단어 사이에 있으면 인칭대명사인지 아닌지 분간해내기 어렵기도 함을 유의해야 합니다.

* 일부 대명사의 경우 이미 언급했다가 재차 언급할 때는 대명사 어두의 음소 't'를 'n'으로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 taṁ(그를) ~, naṁ([앞서 언급했던] 그를) ~.

- diso(敵이) taṁ(그에게) pāpaḥ(악독하게) kayira(할 수 있다면), cittaṁ(認識이) naṁ(그에게) pāpiyo(더욱 악독하게) kare(할 수 있다.)

‘적이 그에게 어느 정도 악독하게 할 수 있다면 인식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앞서 언급했던 바로) 그에게 더욱 악독하게 할 수 있다.’라는 의미이므로, 'naṁ'은 앞서 언급된 'taṁ'을 재차 언급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장 중에 'naṁ'처럼 대명사로서 'n­'으로 시작되는 것이 있으면 동일한 문장의 앞부분에 반드시 동일한 사람을 가리키는 또 다른 대명사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대명사적 형용사

* 대명사적 형용사란, 형용사면서 격변화는 대명사 방식을 적용하는 일부 형용사들을 말합니다. 비교적 흔히 쓰이는 남성・주격・복수(?.nom.pl.)의 경우 격변화의 형태가 많이 차이나는 까닭에 일반적인 형용사로 오해하여 남성・처소격・단수(?.loc.sg.)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 대명사처럼 격변화하는 형용사는 숫자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해당 형용사의 격변화표를 표모음집 등을 통해 필요할 때마다 자주 펼쳐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 다음 주에 말씀드릴 동사편은 내용이 제법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몇 번에 걸쳐 안내강좌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출처 : 봉선사 산스크리트 편집실 http://cafe.daum.net/sanskritsil/LT5D/9

 


제 4 장 대 명 사
5. ・
(1) 대명사의 종류
가)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
Ÿ 1인칭 대명사 : ahaṁ(I) mayaṁ(we)
Ÿ 2인칭 대명사 : tvaṁ(you) tumhe(you)
Ÿ 3인칭 대명사 : so、sā、taṁ(he、she、it) te、tā、tāni(they)
나)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
Ÿ 요것(this) : eso( .) esā( .) etaṁ( .)
Ÿ 이것(this) : ayaṁ( .) ayaṁ( .) idam( .)
Ÿ 저것(that) : asu( .) asu( .) aduṁ( .)
Ÿ 그것(that) : so( .) sā( .) taṁ( .)
다)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
Ÿ 어떤 누구・그것 : yo( .) yā( .) yaṁ( .)
라) 의문대명사(interrogative pronoun)
Ÿ 누구? ・ 무엇? : ko( .) kā( .) kiṁ( .)
마) 不定대명사(indefinite pronoun)
① 의문대명사에 조사 'ci'
를 첨부하여 부정대명사를 조성한다.
Ÿ 어떤 이 ・ 어떤 것 : koci( .) kāci( .) kiñci( .)
② 지시대명사나 관계대명사를 중복하여 부정대명사를 조성한다.
Ÿ so so → [anyone] : 그는 + 그는 → 누구든지
Ÿ yo yo → [anyone] : 어떤 그는 + 어떤 그는 → 누구든지
③ 관계대명사 또는 의문대명사와 지시대명사를 결합하여 부정대명사를 조성한다.
Ÿ yo so → [whoever] : 어떤 그는 + 그는 → 누구든지, 누구라도
④ 관계대명사와 부정대명사를 결합하여 또 다른 부정대명사를 조성한다.
Ÿ yaṁ kiñci → [whatever] : 어떤 그것은 + 그것은 → 무엇이든

(2) 대명사별 격변화
1) 인칭대명사 '나(asmad)'와 '너(yusmad)'의 격변화
* asmad(pn. I) <1인칭(어간: ma(d))>

    sg단수. / pl복수.

주격 nom. - ahaṁ / mayaṁ, amhe

목적 acc. - maṁ, mamaṁ / amhākaṁ, amhe, no

구격 ins. - mayā, me / amhehi, amhebhi, no

여격 dat. - mama, mayhaṁ, amhaṁ, mamaṁ. me / amhākaṁ, asmākaṁ, no

탈격 abl. - mayā, me / amhehi, amhebhi, no

소유 gen. - mama, mayhaṁ, amhaṁ, mamaṁ. me / amhākaṁ, asmākaṁ, no

처소 loc. - mayi / amhesu

호격 voc. --

* yusmad(pn. you) <2인칭(어간: ta(d))>

    sg. / pl.

nom. - tvaṁ, tuvaṁ / tumhe

acc. - tvaṁ, tuvaṁ, taṁ, tavaṁ / tumhe, vo

ins. - tayā, tvayā, te / tumhehi, tumhebhi

dat. - tava, tuyhaṁ, tumhaṁ, te / tumhākaṁ, vo

abl. - tayā, tvayā, te / tumhehi, tumhebhi

gen. - tava, tuyhaṁ, tumhaṁ, te / tumhākaṁ, vo

loc. - tvayi, tayi / tumhesu

voc. --

① 'asmad'의 경우 단수형의 기본(base)은 'mad、mam、ma(mā)'이며, 복수형의 기본은 'amha'이다.
Ÿ 기본 가운데 'mad'은 'asmad'에서 간략화된 것이다.
Ÿ 기본 가운데 'mam'과 'ma'는 복합어에 주로 사용된다.
Ÿ 'ma'는 간혹 'mā'로 장음화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② 'asmad'의 추가형인 'me'、'no' 및 'yusmad'의 추가형인 'te'、'vo'는 문장 첫머리에 사용되지 못한다.
③ 'yusmad'의 경우 단수형 기본(base)은 'tad、ta(tā)'이며, 복수형의 기본은 'tumha'이다.
④ 주어격(nom.) 복수의 추가형으로 'vo'가 사용되기도 한다.
⑤ 호칭격(voc.)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인칭・지시대명사 Ⅰ : 'tad(그・그것)'의 격변화

* tad(pn. he, she, this, that) <3인칭 (어간: ta(d))>
  <m.>
sg. / pl.

nom. - so, sa / te

acc. - taṁ / te

ins. - tena / tehi, tebhi

dat. - tassa / tesaṁ, tesānaṁ

abl. - tasmā, tamhā / tehi, tebhi

gen. - tassa / tesaṁ, tesānaṁ

loc. - tasmiṁ, tamhi / tesu

voc. --

    <n.> sg. / pl.

nom. - taṁ, tad / tāni

acc. - taṁ, tad / tāni

ins. - tena / tehi, tebhi

dat. - tassa / tesaṁ, tesānaṁ

abl. - tasmā, tamhā / tehi, tebhi

gen. - tassa / tesaṁ, tesānaṁ

loc. - tasmiṁ, tamhi / tesu

voc. --

      <f.> sg. / pl.

nom. - / tā, tāyo

acc. - taṁ / tā, tāyo

ins. - tāya / tāhi, tābhi

dat. - tassā, tassāya, tissā, tissāya, tāya / tāsaṁ, tāsānaṁ

abl. - tāya / tāhi, tābhi

gen. - tassā, tassāya, tissā, tissāya, tāya / tāsaṁ, tāsānaṁ

loc. - tassaṁ, tissaṁ, tāyaṁ / tāsu

voc. --

① 'tad'은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ta'가 기본(base) 및 어간(stem)에 해당한다.
② 남성과 중성 시여격(dat.)、분리격(abl.)、소유격(gen.)、처소격(loc.) 단수의 경우 적용되는
기본(base)이 'a'로 대체되기도 한다.
Ÿ assa( .dat.sg.), asmā( .abl.sg.), assa( .gen.sg.), asmiṁ( .loc.sg.)
v 여성도 시여격、소유격、처소격 단수의 경우 적용되는 기본(base)이 'a'로 대체되기도 한다.
Ÿ assā( .dat.sg.), assā( .gen.sg.), assaṁ( .loc.sg.)
③ 중성의 기본형(basic form)인 'tad'은 복합어의 요소로 사용된다.
Ÿ tad(pn. .) + kara( .) > takkara( . one who doing this)
④ 1인칭 대명사 'ahaṁ'이나 2인칭 대명사 'tvaṁ' 등과 함께 중복사용될 경우 지시하는 내용을 특히
서술적으로 강조하는 의미를 지닌다.
Ÿ so'haṁ > so(pn. .nom.) ahaṁ(pn.Ⅰ.nom.) → [this I. = I.]
Ÿ tassa me > tassa(pn. .dat.) me(pn.Ⅰ.dat.) → [to this me. = to me]
Ÿ sā'yaṁ taṇhā > sā(pn. .nom.) ayaṁ(pn. .nom.) taṇhā( .nom.) → [This longing.]
⑤ 'tad'의 모든 남성、중성、여성형에 걸쳐 음소 't'를 'n'으로 대체시킨 것이 선택적인 지시대명사로
사용되는데, 'n'으로 대체된 지시대명사의 경우 이미 언급한 것을 재차 언급할 때도 사용된다.37)
Ÿ [ .] : naṁ(←taṁ), nena(←tena), nassa(←tassa), nasmā(←tasmā)…
37) (0279) dvitīyāṭaussvenaḥ |2.4.034| → [目的格助詞들과 도구격 단수조사 '「ṭ」ā'와 소유격 및 처소격 양수조사
'os'가 뒤따를 때 'ena'로 대체된다.]
Ÿ [ .] : nehi(←tehi), nesaṁ(←tesaṁ), nasmiṁ(←tasmiṁ), ne(←te)…
Ÿ [ .] : nāya(←tāya), nassā(←tassā), nā(←tā), nāhi(←tāhi)…
Ÿ tesaṁ kulaṁ pabbhāraṁ, nesaṁ dhanaṁ pamathitaṁ. → [그들의 가문은 기울었으며,
(그러한) 그들의 재산은 산산조각이 났다.]
⑥ 인칭대명사 'so、saṁ、sā'는 문장의 내용에 따라 지시대명사 및 관사로도 사용된다.
Ÿ so puriso : [人] 사람., [指] 그 사람., [冠] 한 사람.
⑦ 'tasmā(abl.→adv.)'는 부사로도 사용되어 '그러므로, 그래서' 등의 의미를 지닌다.
Ÿ □
v 강조부사 'hi( .)'가 첨부되어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tasmā hi paññā ca dhanena seyyo. : 그리고 그래서 지혜가 재물보다 더 낳다.
Ÿ tasmā hi ha, bhikkhave! … : 실로 그래서, 스님! …
⑧ 'tena(ins.→adv.)' 또한 부사로서 'tasmā(abl.→adv.)'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Ÿ tena taṁ madhuraṁ. : 그래서 그것은 달다.
v 부사 'tena'에 'hi'가 뒤따를 때 전체가 '좋아!' 또는 '좋아! 그러면…'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Ÿ tena hi khādāpessāmi nan ti. : 좋아! 그러면 (내가) 너로 하여금 그를 먹이도록 해야겠다.


3) 지시대명사 Ⅱ : 'etad(요것)' 격변화 <(어간 eta(d))>
① 'etad'의 모든 격변화 형태는 'tad'이 격변화된 것의 어두에 음소 'e'를 첨부시킨 것과 동일하다.

.nom.   eso, esa / esā / etaṃ 또는 etad // ete / etā / etāni

.acc.    etaṃ / etaṃ / etaṃ 또는 etad // ete / etā / etāni

Ÿ .loc.sg. 'tad' : tasmiṁ, tamhi → 'etad' : etasmiṁ, etamhi
Ÿ .abl.sg. 'tad' : tasmā, tamhā → 'etad' : etasmā, etamhā
Ÿ .gen.pl. 'tad' : tāsaṁ, tāsānam → 'etad' : etāsaṁ, etāsānaṁ
② 'etad'은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eta'가 기본(base) 및 어간(stem)에 해당한다.
③ 'et-'에서 음소 't'를 'n'으로 대체시켜 선택적인 지시대명사를 만드는데, 'n'으로 대체된 것은 이미
언급한 것에 대해 또 다른 사항으로 다시 언급하고자 할 때의 지시대명사로서도 사용된다.
Ÿ etaṁ pacāmi, enaṁ paca. → [내가 그것을 요리하니, (내가 요리한) 그것을 네가 먹어라!]
④ 중성의 기본형(basic form)인 'etad'은 복합어의 요소로 사용된다.
Ÿ etad + disa > etad+disa > etādisa( . like this)
⑤ 'eso'와 'so'는 빈번하게 'esa'와 'sa'로 사용되기도 한다.38)
⑥ 중성의 'etad'이 동사 'hoti' 및 소유격을 띤 인칭대명사와 함께 사용될 때 '생각하다'를 의미한다.
Ÿ tassa etad ahosi. : 그는 생각했다(←그의 경우 이것이 있었다).
38) 산스끄리뜨의 '위사르가 연성의 예외' 가운데 하나로서 'saḥ'나 'esaḥ'에서 위사르가가 탈락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4) 지시대명사 Ⅲ : 'idaṁ(이것)' 격변화

* idaṁ(pn. this, this here) <(어간 idaṃ)>
    <m.> sg. / pl.

nom. - ayaṁ / ime

acc. - imaṁ / ime

ins. - anena, iminā / imehi, imebhi, ehi, ebhi

dat. - assa, imassa / imesānaṁ, imesaṁ, esānaṁ, esaṁ

abl. - asmā, imasmā, imamhā / imehi, imebhi, ehi, ebhi

gen. - assa, imassa / imesānaṁ, imesaṁ, esānaṁ, esaṁ

loc. - asmiṁ, imasmiṁ, imamhi / imesu, esu

voc. --

      <n.> sg. / pl.

nom. - idaṁ, imaṁ / imāni

acc. - idaṁ, imaṁ / imāni

ins. - iminā, anena / imehi, imebhi, ehi, ebhi

dat. - imassa, assa / imesaṁ, imesānaṁ, esānaṁ, esaṁ

abl. - imasmā, amhā, asmā / imehi, imebhi, ehi, ebhi

gen. - imassa, assa / imesaṁ, imesānaṁ, esānaṁ, esaṁ

loc. - imasmiṁ, asmiṁ, imamhi / ehi, ebhi, imesu, esu

voc. --

     <f.> sg. / pl.

nom. - ayaṁ / imā, imāyo

acc. - imaṁ / imā, imāyo

ins. - imāya, assā, imissā / imāhi, imābhi

dat. - assāya, assā, imissāya, imissā, imāya / imāsānaṁ, imāsaṁ

abl. - imāya, assā, imissā / imāhi, imābhi

gen. - assāya, assā, imissāya, imissā, imāya / imāsānaṁ, imāsaṁ

loc. - assaṁ, imissaṁ, assā, imissā, imāyaṁ, imāya / imāsu

voc. --


① 'idaṁ'은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격변화의 토대가 되는 기본(base) 또는 어간(stem)은
'a'와 'i' 두 가지가 존재한다.
② 'ayaṁ'은 대명사로는 물론 명사적으로도 사용된다.
v '지시대명사의 遠近'
Ÿ 話者를 기준으로 네 가지 지시대명사의 원근을 구분할 때 'etad(요것)'이 가장 話者에 가까운
무엇을 지칭하는 대명사이며, 그 다음은 'idam(이것)', 그 다음은 'adas(저것)', 그리고 가장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는 'tad(그것)'이다.
Ÿ 話者와 聽者를 함께 기준할 때 화자의 입장에서 청자에게 가장 가까운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로는 'tad(그것)'이 사용된다.
Ÿ 話者와 聽者를 함께 기준할 때 화자와 청자 모두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로는 'adas(저것)'가 사용된다.
Ÿ 네 가지 대명사가 문장에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엄격한 원근의 기준은 무시되기도 한다.


5) 지시대명사 Ⅳ : 'adas(저것)' 격변화
* adas(pn. that)
    sg. / pl.

nom. - asu / amū, amuyo

acc. - amuṁ / amū, amuyo

ins. - amunā / amūhi, amūbhi

dat. - amussa, adussa, amuno / amūsaṁ, amūsānaṁ

abl. - amusmā, amumhā, amunā / amūhi, amūbhi

gen. - amussa, adussa, amuno / amūsaṁ, amūsānaṁ

loc. - amusmiṁ, amumhi / amūsu

voc. --

    sg. / pl.

nom. - aduṁ, amuṁ / amūni, amū

acc. - aduṁ, amuṁ / amūni, amū

ins. - amunā / amūhi, amūbhi

dat. - amussa, adussa / amūsaṁ, amūsānaṁ

abl. - amusmā, amumhā, amunā / amūhi, amūbhi

gen. - amussa, adussa / amūsaṁ, amūsānaṁ

loc. - amusmiṁ, amumhi / amūsu

voc. --

    sg. / pl.

nom. - asu / amū, amuyo

acc. - amuṁ / amū, amuyo

ins. - amuyā / amūhi, amūbhi

dat. - amussā, amuyā / amūsaṁ, amūsānaṁ

abl. - amuyā / amūhi, amūbhi

gen. - amussā, amuyā / amūsaṁ, amūsānaṁ

loc. - amussaṁ, amuyaṁ / amūsu

voc. --

① 'adas'는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격변화의 토대가 되는 기본(base) 또는 어간(stem)은
'amu'이다. 중성의 경우 일부에 있어서 'adu'를 어간으로 하여 격변화한다.
② 남성과 여성의 주어격(nom.) 단수형으로 'amu'가 추가되기도 한다.
③ 어간 'amu'에 'ka'가 첨부되어 '저런 것'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amuka'와 'asuka'가 형성된다.
'amuka'와 'asuka'는 주로 경멸이나 무시하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Ÿ amuka(pn. . a certain person or thing, so an so) → amuke( .acc.pl.)
Ÿ asuka(pn. . such a one, this or that, a certain) → asuke( .acc.pl.)


6) 관계대명사 : 'yad(어떤)' 격변화
* yad(pn. who, he who, whoever, what)
    sg. / pl.

nom. - yo / ye

acc. - yaṁ / ye

ins. - yena / yehi, yebhi

dat. - yassa / yesaṁ

abl. - yasmā, yamhā / yehi, yebhi

gen. - yassa / yesaṁ

loc. - yasmiṁ, yamhi / yesu

voc. --

    sg. / pl.

nom. - yaṁ, yad / yāni

acc. - yaṁ, yad / yāni

ins. - yena / yehi, yebhi

dat. - yassa / yesaṁ

abl. - yasmā, yamhā / yehi, yebhi

gen. - yassa / yesaṁ

loc. - yasmiṁ, yamhi / yesu

voc. --

    sg. / pl.

nom. - / yā, yāyo

acc. - yaṁ / yā, yāyo

ins. - yāya / yāhi, yābhi

dat. - yāya, yassā / yāsaṁ

abl. - yāya / yāhi, yābhi

gen. - yāya, yassā / yāsaṁ

loc. - yāyaṁ, yassaṁ /  yāsu

voc. --

① 'yad'은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격변화의 토대가 되는 기본(base) 또는 어간(stem)은
'ya'이다.
② 관계대명사 'yad'은 인칭대명사 'ahaṁ'、'tvaṁ' 및 지시대명사 'tad、etad、idam、adas' 등과 함께
사용되어 대명사의 지시를 부연하여 강조하는 의미를 갖는다.
③ 'yad'은 'kiṁcit'과 함께 'yo koci'、 'yena kenaci'、 'yaṁ kiñci' 등을 형성하여 '그가 어떤
누구라도'、 '그 어떤 누구에 의해서'、 '그 어떤 누구에게' 등의 의미를 갖는다.
④ 중성의 기본형(basic form)인 'yad'은 모음 앞이나 복합어의 요소로 사용된다.
Ÿ yad + disa > yad+disa > yādisa( . which like, what like, whichever, how much)
⑤ 중성단수 'yaṁ'은 부사로 사용되어 '왜냐하면、말하자면'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Ÿ taṁ bahuṁ yaṁ pi jīvasi. : 말하자면 네가 살아간다는 것, 그게 최고야!
⑥ 도구격 'yena'는 부사로 사용되어 '왜냐하면、어떻게든'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Ÿ yena naṁ gaṇhissāmi. : 어떻게든 (내가) 그를 잡을 것이다.
⑦ 어떤 행위가 확정된 장소로 향하는 것을 표현할 때 'yena'는 'tena'와 호응을 이뤄 사용된다.
Ÿ yena bhagavā, ten'upasaṅkati. : 그는 부처님께(←부처님이 계신 어디인 그곳으로) 갔다.
⑧ 'yasmā'는 '왜냐하면'의 의미를 지니고 '그러므로'란 의미의 'tasmā'와 호응을 이뤄 사용된다.
Ÿ yasmā tvaṁ na jānāsi tasmā bālo'si. : 왜냐하면 네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너는 바보다.


7) 의문대명사 : 'kiṁ(무엇?)' 격변화
* kiṁ(pn. who, what)
    sg. / pl.

nom. - ko / ke

acc. - kaṁ / ke

ins. - kena / kehi, kebhi

dat. - kassa, kissa / kesaṁ, kesānaṁ

abl. - kasmā, kamhā / kehi, kebhi

gen. - kassa, kissa / kesaṁ, kesānaṁ

loc. - kasmiṁ, kamhi, kismiṁ, kimhi / kesu

voc. --

    sg. / pl.

nom. - kiṁ / kāni

acc. - kiṁ / kāni

ins. - kena / kehi, kebhi

dat. - kissa, kassa / kesaṁ, kesānaṁ

abl. - kasmā, kamhā / kehi, kebhi

gen. - kissa, kassa / kesaṁ, kesānaṁ

loc. - kasmiṁ, kamhi, kismiṁ, kimhi / kesu

voc. --

    sg. / pl.

nom. - / kā, kāyo

acc. - kaṁ / kā, kāyo

ins. - kāya / kāhi, kābhi

dat. - kāya, kassā / kāsaṁ, kasānaṁ

abl. - kāya / kāhi, kābhi

gen. - kāya, kassā / kāsaṁ, kasānaṁ

loc. - kāya, kassā, kāyaṁ, kassaṁ / kāsu

voc. --

① 'kiṁ'은 기본형(basic form)에 해당하고, 격변화의 토대가 되는 기본(base) 또는 어간(stem)은
'ka、ku(kud)、ki(kid)' 등 몇 가지로 사용된다.
② 어간 가운데 'kud'와 'kid'는 모음 앞이나 복합어의 요소로 사용된다.
③ 'kena(ins.)'와 'kasmā(abl.)' 및 'kissa(gen.)'는 부사로 사용되어 '왜?' '무엇 때문에?'를 의미한다.
④ 'kiṁ'은 도구격을 취한 단어와 사용되어 '무슨 소용이야!'라는 의미를 지닌다.
Ÿ kiṁ me jīvitena. : 내게 삶이 무슨 소용이야! (←나의 경우 삶으로 무엇을 하겠는가!)


8) 不定대명사 : 'kiṁcid(아무런)' 격변화

* kiṁcid(pn. any, some, anything)
    sg. / pl.

nom. - koci / keci

acc. - kañci, kiñci / keci

ins. - kenaci / kehici

dat. - kassaci / kesañci

abl. - kasmāci / kehici

gen. - kassaci / kesañci

loc. - kasmiñci, kamhici, kismiñci, kimhici / kesuci

voc. --

    sg. / pl.

nom. - kiñci / kānici

acc. - kiñci / kānici

ins. - kenaci / kehici

dat. - kassaci / kesañci

abl. - kasmāci / kehici

gen. - kassaci / kesañci

loc. - kasmiñci, kamhici, kismiñci, kimhici / kesuci

voc. --

    sg. / pl.

nom. - kāci / kāci, kāyoci

acc. - kañci / kāci, kāyoci

ins. - kāyaci / kāhici

dat. - kāyaci, kassāci / kāsañci

abl. - kāyaci / kāhici

gen. - kāyaci, kassāci / kāsañci

loc. - kāyaci, kāyañci, kassañci / kāsuci

voc. --


① 不定대명사는 의문대명사 'kiṁ'에 'ci(cid)、api、cana' 등이 첨부되어 형성된다.
② 부정대명사 가운데 'ci(cid)'이 첨부된 'kiñci(kiñcid)'이 가장 빈번하게 용례에 보이며,
'kiñcana(kiñcanaṁ)'의 경우 'kiñca(kiñcaṁ)'로 축약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③ 'ci'와 'cana'는 부사에 첨부되어 부사에 不定의 의미를 부여한다.
Ÿ kuhiṁ(adv. where?) → kuhiñci |or| kuhiñcanaṁ(adv. anywhere)
Ÿ kudā(adv. when?) → kudācanaṁ(adv. ever, sometimes)
Ÿ kadā(adv. when?) → kadāci(adv. sometimes)

 

(3) 기타 대명사
1) 'attā' : attan( . the soul; self, oneself) < Ⓢ.ātman( . the soul; self)
① 재귀대명사(reflexive pronoun)39)로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② 'attā'의 異形으로 동일한 의미를 지닌 'ātumā'가 불교서적에 드물게 사용된다.
③ 비록 매우 드물게 사용되지만 'tuma' 또한 'attā'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 異形이다.
39) 'attā'와 'ātumā' 및 'tuma'는 엄밀한 의미에서 '대명사처럼 사용되는 명사'이다.

2) sayaṁ( . self, by oneself) & sāmaṁ( . self, of oneself)
① 'sayaṁ'과 'sāmaṁ'은 불변화사지만 강조의 의미가 부가된 재귀대명사로 빈번하게 사용된다.

3) 'bhavaṁ' : bhavaṁ(pn. . lord, sir) < Ⓢ.bhavat(pn. . your honour, your lordship)
① 존경의 의미를 지니고 2인칭에 사용되는 대명사이다.
② 존경의 의미를 지닌 대명사인 까닭에 동사는 3인칭과 연결된다.
③ 'bhante( .voc.)'는 주로 스님에 대한 호칭으로 사용된다.

4) 'ayya' : ayya(pn. . gentleman, sire, lord) < Ⓢ.ārya( . Āryan; respectable)
① 'ayya( .voc.)'는40) 주로 스님에 대한 호칭으로서 'bhante( .voc.)'와 함께 사용된다.
② 남성 주어격(nom.) 단수형인 'ayyo'는 性에 관계없이 호칭의 의미를 지닌 대명사로 사용된다.
③ 남성 주어격 복수형인 'ayyā'는 호칭의 의미를 지닌 대명사로 다수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5) 'āvuso' : āvusa( . friend, brother) < Ⓢ.āyuṣa( .) < āyus( . life; vital power)
① 남성 주어격(nom.) 단수형인 'āvuso'는 호칭의 의미를 지닌 대명사로 사용되는데, 특히 비구들
사이에서 자신의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사용되는 정중한 표현이다.41)

 

4) 대명사의 전용轉用 - 1) 소유대명사 2) 대명사적 형용사 3) 대명사적 부사

(1) 소유대명사

* 일부 소유대명사는 1인칭2인칭 및 일반대명사의 기본(base)특정 조사를 첨부하여 형성된다.

* 轉用을 통해 형성된 소유대명사는 일종의 명사로 취급되는 까닭에 각각 'deva( .)''rūpa( .)''kaññā( .)'에 준하여 격변화를 갖는다.

1인칭2인칭 대명사 + īyaaka

Ÿ ahaṁ(pn..) : mad(sg.base) + īya > madīya(gen.pn.sg. mine, my, my own)

Ÿ ahaṁ(pn..) : mam(sg.base) + aka > mamaka(gen.pn.sg. mine, my, my own)

Ÿ ahaṁ(pn..) : amhad(pl.base) + iya > amhadiya(gen.pn.pl. ours, our own)

Ÿ tvaṁ(pn..) : tad(sg.base) + iya > tadiya(gen.pn. your, your own)

1인칭2인칭 대명사의 소유격 + ka

Ÿ ahaṁ(pn..) : mama(gen.sg.) + ka > mamaka(gen.pn. mine, my, my own)

Ÿ tvaṁ(pn..) : tava(gen.sg.) + ka > tāvaka(gen.pn. your, your own)

대명사어간 + ka

Ÿ adas(pn.) : ama(base) + ka > āmaka(gen.pn. of that)

Ÿ tvaṁ(pn..) : tava(gen.sg.) + ka > tāvaka(gen.pn. of this)

 

(2) 대명사적 형용사

상당수의 형용사는 대명사의 어간에 특정 조사가 첨부되어 형성된다.

) 대명사에 첨부되어 형용사를 형성하는 조사들

* 'ayya'는 영어의 'Sir'과 유사한 개념으로, 'Ayya, Bhante!'라 하면 'Sir, Master!'를 의미하며 '스님!'에 해당한다.

* 'āvoso'의 산스끄리뜨에 해당하는 'āyuṣman'은 부모가 자식들을 호칭할 때 사용되는 대명사이다.

di(dī), disa, disaka, risa, tara, tama, ka.

) 조사 유형별 관련예문

di(dī), disa, disaka, risa

: '~같은' 또는 '유사한' 등의 의미를 형성하며, 조사 앞에 놓인 어간의 모음은 장음화된다.

[Base] [형용사]

Ÿ ahaṁ : ma mādī |or| mādisa |or| mārisa( . like me, such as I)

Ÿ tad : ta tādi |or| tādisa |or| tādisaka( . like him, like that, such)

Ÿ ahaṁ : amha amhādisa( . like us)

Ÿ tvaṁ : tumha tumhādisa( . like you)

Ÿ idaṁ : i īdī |or| īdisa |or| īrisa |or| īdisako( . like this, such as this)

Ÿ etad : e edī |or| edisa |or| erisa( . like this, such as this)

Ÿ etad : eta etādisa |or| etārisa( . such as this or that, such)

Ÿ kiṁ : ki kīdī |or| dīdisa |or| dīrisa( . like what? of what kind?)

tara, tama

: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을 두 조사가 의문대명사 'kiṁ'에 첨부되어 대명사적인

형용사를 형성한다.

[Base] [형용사]

Ÿ kim : ka katara( . who or which of two)

katama( . who or which of many)

ka

: 대명사에 조사 'ka'가 첨부되어 대명사적인 형용사가 형성될 때는 주로 불규칙적인 형식의 결과를 갖는다.

[Base] [형용사]

Ÿ kim : ki kittaka( . how much? how many? how great?)

Ÿ etad : eta ettaka( . so great, so much, so many)

Ÿ yad : ya yattaka( . however much, however big or large)43)

Ÿ tad : ta tattaka( . as many, as great, as big or large)

산스끄리뜨 'dṛkṣa'에서 유래된 조사 'dikkha''disa' 유형의 조사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Ÿ tādisa( . like that) = tādikkha( .) ← Ⓢ. tādṛśa( . like that) = tādṛkṣa( .)

Ÿ kīdisa( . like what?) = kīdikkha( .) ← Ⓢ. kīdṛśa( . like what?) = kīdṛkṣa( .)

Ÿ īdisa( . like this) = īdikkha( .) ← Ⓢ. īdṛśa( . like what?) = īdṛkṣa( .)

 

3) 대명사적 부사

상당수의 부사는 대명사에 특정 조사가 첨부되어 형성된다.

) 대명사에 첨부되어 부사를 형성하는 조사들

dā, dāni, rahi, to, tra, tha, dha, ha, haṁ, hiṁ, thā, va, vaṁ, thaṁ, ti, di.

) 조사 유형별 관련예문

dā, dāni, rahi

: 대명사에 첨부되어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Base] [부사]

Ÿ kim : ka karahi |or| kadā(adv. when)

* 빠알리의 조사 'disa' 유형은 산스끄리뜨 'dṛśa'에서 유래된 것이다. : mādī / mādisa = .mādṛśa( . like me)

* .yad(pn.) > yāvat(adv.) > yāvatā(ins.form) > yāvatāka( .) 'yāvatāka' > .yātāka > yāttaka > yattaka( .)

* 산스끄리뜨에서의 'rhi'와 동일하다. : .tarhi(adv. at that time), etarhi(adv. at this time)

Ÿ idaṁ : i idāni(adv. now, at this time)

Ÿ tad : ta tarahi |or| tadā |or| tadāni(adv. then, at that time)

Ÿ etad : eta etarahi(adv. now, at this time)

to, tra, tha, dha, ha, haṁ, hiṁ

: 대명사에 첨부되어 '장소'를 의미하는 부사를 형성한다.

[Base] [형용사]

Ÿ kim : ka, ku kattha |or| kahaṁ |or| kutra |or| kuhiṁ(adv. where? whither?)

Ÿ yad : ya yatra |or| yattha(adv. where, wherein, whither)

yato(adv. from what)

Ÿ etad : e ettha(adv. here, herein)

Ÿ idaṁ : a atra |or| attha(adv. here)

Ÿ tad : ta tattha |or| tatra |or| tahaṁ |or| tahiṁ(adv. there, thither)

tato(adv. thence, from that place)

Ÿ idaṁ : i iha |or| idha(adv. here in this place)

ito(adv. hence, from this place)

Ÿ etad : eta etto(adv. through), etato(adv. hence)

thā, va, vaṁ, thaṁ, ti

: 대명사에 첨부되어 '방식'을 의미하는 부사를 형성한다.

[Base] [형용사]

Ÿ tad : ta tathā(adv. thus, so, like that)

Ÿ kiṁ : ka kathaṁ(adv. how?)

Ÿ idaṁ : i itthaṁ(adv. thus), iva(adv. like), iti(adv. thus, in this manner)

Ÿ etad : e eva |or| evaṁ(adv. so, just so)

Ÿ yad : ya yathā(adv. as, like)

va(vat)

: 대명사에 첨부되어 '시간' 또는 '이유' 등을 의미하는 부사를 형성한다.

'va'는 산스끄리뜨의 'vat'에서 자음인 말음이 탈락된 것인데, 'tāvad eva'처럼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뒤따를 때는 'vad'으로 원래의 말음이 회복되기도 한다.

첨부되는 'va' 바로 앞에 오는 모음은 항상 장음화된다.

[Base] [부사]

Ÿ yad : ya yāva(adv. until, as long as, in order that)

Ÿ tad : ta tāva(adv. so long, still, yet)

v 'va'가 첨부되어 형성된 부사에 분리격(abl.) 단수조사 'tā'가 다시 첨부되면 '이유' 등을 나타내는 불변화사가 형성된다.

Ÿ yāva(adv.) + tā > yāvatā( . as far as, because)

Ÿ tāva(adv.) + tā > tāvatā( . so far as, to that extent, on that account)

Ÿ ettāva(adv.) + tā > ettāvatā( . to that extent, so far, thus)

Ÿ kittāva(adv.) + tā > kittāvatā( . to what extent? how far?)

ti

: 일부 대명사에 첨부되어 '多數' 등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Base] [부사]

Ÿ tad : ta tati(adv. so many)

Ÿ yad : ya yati(adv. as many)

Ÿ kiṁ : ka kati(adv. how many?)

di

: 특정 대명사에 첨부되어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Ÿ yad : ya yadi(adv. if)

 

5) 대명사처럼 격변화하는 형용사들

형용사 가운데 격변화를 할 때 그 전부 혹은 일부가 대명사 특유의 격어미를 취하는 형용사를 일컬어 '대명사적 형용사'라 한다.

Ÿ adhara( . lower, tending downwards, under; low, mean, vile; silenced, worsted)

Ÿ amuka( . so and so, such)

Ÿ añña( . another, different; other than, different from)

Ÿ antara( . being in the inside, interior; near, similar; different from, other than)

Ÿ anyatara( . one of the two, either of the two; the one or the other)

Ÿ apara( . having nothing higher or superior; hinder, posterior, latter; western)

Ÿ asuka( . so and so, such)

Ÿ avara( . younger; following, succeeding; below, under, lower, inferior)

Ÿ dakkhiṇa( . able, skilful; right; situated on the right side; south, southern; sincere)

Ÿ ekatama( . one of many; one [used as an indefinite article])

Ÿ ekatara( . one of two, either)

Ÿ itara( . another, the other; the rest or others; other than)

Ÿ katama( . out of many)

Ÿ katara( . out of two)

Ÿ para( . other; far, more than, highest; only)

Ÿ pubba( . being before or in front, fore, first; eastern, to the east of)

Ÿ ubhaya( . both) < ubha( . both)

Ÿ uttara( . upper, higher, superior; northern; left; later, following, subsequent)

Ÿ vissa( . all, whole; every one; omnipresent: . the universe: . the soul)

 

6) 대명사의 중복

대명사는 문장에서 중복 사용되어 '複數性종합성다양성다중성' 등을 표현한다.

Ÿ tesu tesu ṭhānesu: 이곳 이곳 장소들에서… → 다양한 장소에서

Ÿ taṁ taṁ kathayamānā. : (그들은) 이것을 이것을 말하였다. 그들은 이것저것을 말하였다.

Ÿ yaṁ yaṁ gāmaṁ : 어떤 어떤 마을 어떤 마을이든

Ÿ ubbahīyati so so. : 그는 그는 싸웠다. 모든 이들이 (제각기) 싸웠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의 활용  (0) 2016.07.26
동사의 개요  (0) 2016.07.26
형용사  (0) 2016.07.26
명사의 격변화  (0) 2016.07.26
연성법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