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아비담맛타상가하 빠알리 용어정리

담마마-마까 2017. 5. 18. 00:14

Sacitta pariyodapanam-etam Buddhanu sasanam

(자신의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 이것이 모든 붓다의 가르침이다).

 

Abhidhammatta-saṅgaha 아비담맛타 상가하

dhamma

abhi 우수하다. 보통보다 뛰어나다.

abhidhamma

vohara-desana 실지<實地>의 가르침- 붓다의 가르침

paramatta-desana 진실의 가르침- 아비담마

sammuti-sacca 세속제(世俗諦)

paramattha-sacca 승의제(勝義諦)

pratyaksa 직관. 직관적으로 체험하는, 직관적으로 아는 지혜이다.

anumana 추측. 여러 가지 정보로부터 추측하는 지식이다.

citta ()

cetasika 心所(심소)

rūpa ()

nibbāna 涅槃(열반)

1. 의 정의는 arammana-vijanana-lakkhanam cittam

: ‘대상을 인식하는 본성이 마음이다라는 의미다.

arammana는 대상, 환경, 밖의 세계, 자신의 신체도 포함한다.

vijanana는 아는 것, 인식하는 것

lakkhana는 특색, 본성이다.

2. 심소의 cetasika(쩨따시까)는 마음을 장소(의지 처)로서 사용하고 있다라는 의미다.

심소란 인식하면 생겨나는 감정 가운데서 찾아낸 어떤 보편적인 것이다.

인식하는 작용()과 그것에 반드시 붙어서 일어나는 감정(심소)을 합쳐서 마음

心所의 특색 4가지

ekuppada 동기同起,

eka-niroda 동멸同滅

ekalambana 동소연同所緣 alambana 所緣

eka-vatthuka 동기同期

vatthu ()는 신체에 있는 감각기관(·····)이고,

alambana所緣(소연) , 대상(對象)은 신체의 밖에 있는 것(·····)이라고 나눌 수도 있다.

3. (물질)rūppatiti rūpam , ‘변화하니까 물질이다라고 정의

4. 열반은 하나밖에 없다. 현상이 사라져 버린 상태

 

[1]. 물질의 분석

1. 물질의 분석

1) 4대색(4大色 catu-mahabhuta-rūpa)

: (땅 요소는 pathavi-dhatu, (물 요소는 apo-dhatu,

()요소 tejo-dhatau, () 요소 vayo-dhatu

2) 4대의지색(4大依止色 catu-mahabhuta-upadaya-rūpa)

淨色(정색 pasada-rūpa) 5

: 眼色(안색 cakkhu-rūpa), 耳色(이색 sota-rupa),

鼻色(비색 ghana-rūpa), 舌色(설색 jivha-rūpa), 身色(신색 kaya-rūpa)

境色(경색 gocara-rūpa) 7

: (색 색깔 rūpa), (sadda), (gandha), (rasa), (photthabba)3(地界, 火界, 風界)

주관-정색, 객관-경색

性色(성색 bhava-rūpa) 2: 여성(itthi-bhava)과 남성(purisa-bhava)

心色(심색 hadaya-rūpa) 1: 심기(心基) = 意根

命色(명색 jivita-rūpa) 1: 命根(명근)

食色(식색 ahara-rūpa) 1: 段食(단식)

* 최후의 4(分斷色, 表色, 變化色, 相色)은 물질이 아니다.(추상적 물질)

分斷色(분단색 pariccheda-rūpa) 1: 虛空界(허공계)

表色(표색 vinnatti-rūpa) 2: 身表(신표 kaya-vinnatti)語表(어표 vaci-vinnatti )

變化色(변화색 vikara-rūpa) 5

: 色輕快性(색경쾌성 (rupassa lahuta), 色柔軟性(색유연성 rupassa muduta), 色適業性(색적업성rupassa kammannata), 身表(신표)語表(어표)

相色(상색 lakkhana-rūpa) 4

: 色積集(색적집 rūpassa upacaya), 色相續(색상속 rūpassa santati), 色老性(색노성rūpassa jarata ), 色無常性(색무상성 rūpassa aniccata)

 

2. 列擧(열거 samuddesa)의 정리

: 4(), 5(), 대색과 중복되는 ··의 촉감을 제외한 4, 2개의 , , , 을 합쳐 18종의 完色이 있다.

分斷, 2개의 , 3개의 變化, 4개의 非完色 10개가 있어 전부 28종이 된다.

3. 물질의 분별(rūpa-vibhaga)

- 모든 물질은 無因 ahetuka, 有緣 sappaccaya, 有漏 sasava, 有爲 sankhata, 세간적(okiya)인 것, 욕계(kamavacara)의 것, 無所緣 anarammana, 非所斷 appahatabba 이다.

- 물질을 두 종류로 분석하면 9개의 항목이 있다.

內色(내색 ajjhattika-rūpa)外色(외색 bahira-rūpa), 基色(기색 vattu-rūpa)非基色(비기색 avattu-rūpa), 門色(문색 dvara-rūpa)非門色(비문색 advara-rūpa), 根色(근색 indriya-rūpa)非根色(비근색 anindriya-rūpa), (), (), 有對色(유대색)(), (), 無對色(무대색), 執受色(집수색 : upadinna-rūpa)非執受色(비집수색 : anupadinna-rūpa), 有見色(유견색 : sanidassana-rūpa)無見色(무견색 : anidassanna-rūpa), 取境色(취경색:gocaraggahika-rūpa)不取境色(불취경색:agocaraggahika-rūpa), 不簡別色(불간별색:gocaraggahika-rūpa)簡別色(간별색:agocaraggahika-rūpa)

1) 물질이 일어나는 방법(rūpa-samutthana-naya)

: (kamma), (citta), 時節(시절 utu), (ahara)

이라는 4개의 원인에 의한다.

業生色(업생색 kamma-samutthana-rūpa), 心生色(심생색 citta-samutthana-rūpa),

時節生色(시절생색 utu-samutthana-rūpa), 食生色(식생색 ahara-samutthana-rūpa)

5. 물질의 세트(rupa-kalapa)

: 불간별색 8개는 반드시 세트로 일어나서 존재하고, 사라진다.

 

[2] 마음의 분석

마음()4: kama-avacara-citta(욕계심), rūpa-avacara-citta(색계심),

arupa-avacara-citta(무색계심), lokuttara-citta(출세간심)이다.

1. 欲界心 54

1) 욕계不善心(akusala-citta) 12

(1) 貪根心(탐근심 lobha-mula-citta) 8.

喜俱心(희구심:기쁨이 함께 하는 마음 somanassa-sahagata-citta)

捨俱心(사구심:평온이 함께 하는 마음 upekkhasahagata-citta)

見相應(견상응) 惡見(나쁜 견해)에 상응하는(ditthi-gata-sampayutta)

見不相應(견불상응) 惡見에 상응하지 않는(ditthi-gata-vippayutta)

無行(무행.자극 받지않은 마음) (asankhara)

有行(유행.자극 받은 마음) (sa-sankharika)

(2) 瞋根心(진근심 dosa-mula-citta) 2.

憂俱(우구 domanassa-sahagata) 하며 瞋恚相應(진에상응 patigha-sampayutta)의 마음에 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3) 痴根心(치근심 moha-mula-citta) 2. 極愚心(극우심)

捨俱疑相應心(upekkha-sahagata-vicikiccha-sampayutta-citta)

捨俱掉擧相應心(upekkha-sahagata-uddhacca-sampayutta-citta)

2) 욕계淨心(sobhana-citta) 혹은 善心(kusala-citta) 21

(1)大善心(대선심 maha-kusala-citta) 8. -欲界善心

喜俱(희구 somanassa-sahagata)의 마음과

捨俱(사구 upekkha-sahagata)의 마음

智相應(지상응 nana-sampayutta)

智不相應(지불상응 nana-vippayutta)

無行(asankharika)과 유행(sasankharika)

(2)大異熟心(대이숙심 maha-vipaka-citta) 8. -有因欲界異熟心

喜俱智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喜俱智不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捨俱智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捨俱智不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3)大唯作心(대유작심 maha-kiriya-citta)8. -有因欲界唯作心

喜俱智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喜俱智不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捨俱智相應心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捨俱智不相應심은 無行이 하나, 有行이 하나

3) 無因心(ahetuka-citta) 18

(hetu)이란 (lobha), (dosa), (moha)와 그 반대인 不貪(alobha), 不瞋(adosa), 不痴(amoha)의 어느 것을 가진 마음을 의미한다.

6개에 의해서 不善을 판단하기 때문에 그 善惡 판단의 (hetu)'이라는 것이다.

, 不善도 아닌 마음이라는 의미

(1)無因不善異熟心(무인불선이숙심 akusala-vipaka-citta) 7.

사구(捨俱)의 안이비설식(眼耳鼻舌識)

사구(捨俱)眼識(안식 upekkha-sahagata-cakkhu-vinnana)

고구(苦俱)身識(신식 dukkha-sahagata-kaya- vinnana)

사구(捨俱)領受心(영수심upekkha-sahagata- sampaticchana- citta)

사구(捨俱)推度心(추도심 upekkha-sahagata-santirana-citta)

(2)無因善異熟心(무인선이숙심 ahetuka-kusala-vipaka-citta) 8.

사구(捨俱)善異熟眼識(안식), 耳識(이식), 鼻識(비식), 舌識(설식)

낙구(樂俱)身識(신식) (sukhasahagata-kayavinnana)

사구의 領受心(영수심),

희구(喜俱)推度心(추도심)

사구의 推度心(추도심)

(3)無因唯作心(무인유작심 ahetuka-kiriya-citta) 3.

사구의 오문인전심(五門引轉心, pancadvara-avajjana-citta)

사구의 意門引轉心 (의문인전심 upekkhasahagata- mano- dvara- avajjana- citta)

희구의 笑起心 (소기심 somanassa- sahagata- hasita- uppada- citta)

 

2. 色界心 (大心 mahaggata-citta)

40業處(명상대상 kammatthana) : 첫번째가 地遍(지편 pathavi-kasina), 水遍(apo-kasina), 火遍(tejo-kasina), 風遍(vayo-kasina), 靑黃赤白四遍(nila-kasina,pita-kasina, lohita-kasina, odata-kasina), 光明遍(aloka-kasina), 限定虛空遍(paricchinna-akasa-kasina) 十遍이 된다.

그리고 시체가 썩어서 뼈가 되는 모양을 관찰하는 10종류의 不淨觀(dasa asubha),

佛法僧 등을 하는 10종류의 隨念(수념 dasa anussatiyo),

慈悲喜捨(자비희사)四梵住(4범주 cattaro brahma-vihara),

4가지의 無色界處(무색계처)하는 cattaro aruppa,

輪廻轉生(윤회전생)을 가져오는 양분이 되는 ()을 싫어하는 食厭想(식염상)一想(eka sanna), 모든 것을 地水火風四界의 수준으로까지 분석분별해서 관찰하는 一差別(일차별 ekam vavatthanam) 등이다.

1)色界善心(색계선심) 5.

色界善心 5가지. 善心(kusalacitta)

-(vitakka 위딱까), (vicāra 위짜라), (pīti 삐띠),

(sukha 수카), ekaggatā 에깍가따)

1. (), (), (), (), 一境性(일경성)이 함께 하는 初禪善心

2. ,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二禪善心

3.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三禪善心

4.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四禪善心

5.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五禪善心

-色界初禪(색계초선)善心

Vitakka-vicāra-pīti-sukha-ekaggatā-sahitam(sahagatam) pathamajjana-kusala-cittam.

*五蓋(오개 panca-nivaranani)

欲愛蓋(욕애개 kamacchanda-nivarana), 瞋恚蓋(진에개 vyapada-nivarana),

昏沈睡眠蓋(혼침수면개 thīnamiddha-nivarana)

掉擧後悔蓋(도거후회개 uddhaccakukkucca-nivarana)

疑蓋(의개 vicikiccha-nivarana)

2)色界 異熟心(색계 이숙심) 5. 異熟心(vipakacitta)

(), (), (), (), 一境性(일경성)이 함께하는 초선異熟心

,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二禪 異熟心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三禪 異熟心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四禪 異熟心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五禪 異熟心

3)色界 唯作心(색계 유작심) 5. 唯作心(kiriyacitta)

(), (), (), (), 一境性(일경성)이 함께 하는 初禪 唯作心

,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二禪 唯作心

,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三禪 唯作心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四禪 唯作心

(), 一境性이 함께 하는 第五禪 唯作心

* 五自在(오자재 panca-vasita 빤짜-와시타)- 선정이 능숙해지는 5가지의 훈련

a. 引轉自在(인전자재 avajjana-vasita 아왓자나-와시타)

b. 入定自在(입정자재 sampajjana-vasita 삼빳자나-와시타)

c. 在定自在(재정자재 adhitthana-vasita 아딧타나-와시타)

d. 出定自在(출정자재 vutthana-vasita 웃타나-와시타)

e. 觀察自在(관찰자재 paccavekkhana-vasita 빳짜웩카나-와시타)

 

3. 무색계심(大心)

1) 무색계 선심 4. 善心(kusalacitta)

1 : 空無邊處定(공무변처 akasanancayatana)

akasana는 공간, anaca(ananta)는 무변(無邊), 끝이 없는 것, ayatana() 그곳에 도달한, 들어간 상태. 진공상태가 akasa

2 : 識無邊處定(식무변처 vinnanancayatana)

vinnana(), ananta(ananca 無邊무제한), ayatana(상태)

3 : 無所有處定(무소유처 akincannayatana)

akincanakinci(kincana : some 무엇)의 부정형으로 ‘nothing 아무것도 없다라는 의미

nothingness(아무것도 없음)를 관찰하여 이 제3번째인 無所有處定에 든다.

4 : 非想非非想處定(비상비비상처 nevasannanasannayatana)

(sanna)이 없는 것 같음(非想 비상),

이 없는 것도 아닌 것 같음(非非想 비비상)

2) 無色界 異熟心(무색계 이숙심) 4. 異熟心(vipakacitta)

空無邊處異熟心(공무변처 이숙심), 識無邊處異熟心(식무변처 이숙심), 無所有處異熟心(무소유처 이숙심), 非想非非想處異熟心(비상비비상처 이숙심)

3) 無色界 唯作心(무색계 유작심) 4. 唯作心(kiriyacitta)

空無邊處唯作心(공무변처 유작심), 識無邊處唯作心(식무변처 유작심), 無所有處唯作心(무소유처 유작심), 非想非非想處唯作心(비상비비상처 유작심)

 

4. 出世間心(출세간심 lokuttara-citta) 8.

1) 道心(도심, magga-citta) 4.

預流道心(예류도심sotapatti-magga-cittam), 一來道心(일래도심 sakadagami- ), 不還道心(불환도심 anagami- ), 阿羅漢道心(아라한도심 arahatta- )

2) 果心(과심, phala-citta) 4.

預流果心(예류과심 sotapatti-phala-cittam), 一來果心(일래과심), 不還果心(불환과심), 阿羅漢果心(아라한과심)

* 첫 번째를 깨달은 사람(sotapatti), 두 번째를 깨달은 사람(sakadagamin 一來者), 세 번째를 깨달은 사람(anagamin), 네 번째를 깨달은 사람(arahatta)

* 예류과에서 세 개의 번뇌가 사라진다.

有身見(sakkayadiṭṭhi), (vicikiccha), 戒禁取(silabbataparamasa)

* 一來果(일래과)에서 두 개의 번뇌가 감소한다.

kamaraga 欲愛(욕애), vyapada(야파다) 강렬한 성냄

* 不還果(불환과)에서 탐욕과 성냄은 완전히 소멸된다. 오만(高慢)掉擧(도거 : 들뜸)無明은 아직 남아있다.

* 아라한이 되어서 비로써 사라지는 번뇌는 rūpa-raga(色貪), arupa-raga(무색계에 대한 욕구), māna(오만), uddhacca(도거), avijja無明(무명) 이라는 다섯 가지이다. 모든 번뇌를 소멸.

 

[3] 심소의 분석

cetasika(쩨따시까 心所)‘citta 속에 있는 것’, ‘마음에 소속하는 것’, ‘마음()의 내용이다.

 

同他心所(동타심소 añña- samāna-cetasika) : 13가지

1. 共一切心心所(공일체심심소 sabba-citta-sādhāraṇa-cetasika) : 7

phassa (), vedanā (), saññā (), cetanā (意志), ekaggatā 一境性(일경성), jīvitindriya 命根(명근), manasikāra 作意(작의)라는 이들 7개의 心所共一切心心所라 한다.

2. 雜心所(잡심소 pakiṇṇaka-cetasika) : 6

vitakka(), vicāra(), adhimokkha(勝結), virya(精進), pīti(), chanda(意慾)이다.

 

不善心所(불선심소 akusala-cetasika) : 14

* 10善道(선도)10惡道(악도)

죽이는 행위(살생), 훔치는 행위(투도), 사악한 행위(사음)를 하는 것은 pāpa로서 이 3가지는 몸으로 행하는 이다.

거짓말(기어), 惡口(악구), 이간질(양설), 쓸데없는 말(망어), 4가지는 입으로 행하는 이고,

비정상적인 욕망(탐애), 성냄(진에), 邪見(사견 : 치암) 3가지는 마음으로 만드는 이다. 모두 10종류이다.

3. 공일체불선심소 4 : moha(모하 )4가지

moha(), ahirika(無慚 무참), anottappa(無愧 무괴), uddhacca(掉擧 도거)

4. 불선심소 10

탐심 3- lobha(), diṭṭhi(), māna()

성냄 4- dosa(, ), issā(嫉妬 질투), macchariya(吝嗇 인색), kukkucca(後悔 후회)

무지 3- thīna(昏沈 혼침) middha(睡眠 수면), vicikicchā(의심)

 

淨心所(정심소 sobhana-cetasika) 25

5. 共淨心所(공정심소 sobhana-sādhāraa-cetasika) 19

saddhā(확신), sati(알아차림), hiri(부끄러움), ottappa(두려움), alobha(不貪 불탐), adosa(不瞋 불진), tatramajjhattatā(中捨 중사. 중립)

kāyappassaddhicittappassaddhi(身輕安心輕安 신경안.심경안)

kāyalahutā cittalahutā(身輕快性 心輕快性 신경쾌성.심경쾌성)

kāyamudutā cittamudutā(身柔軟性 心柔軟性 신유연성.심유연성)

kāyakammantā cittakammantā(身適業性 心適業性 신적업성.심적업성)

kāyapāguññatā cittapāguññatā(身練達性 心練達性 신연달성.심연달성)

kāyaujjukatā cittaujjukatā(身端直性 心端直性 신단직성.심단직성)

* 오온(五蘊): rpakkhandha(色蘊 색온), vedanākkhandha(受蘊 수온), saññākkhandha(想蘊 상온), saṅkhārakkhandha(行蘊 행온), viññākkhandha(識薀 식온).

6. 離心所(이심소 virati-cetasika) 3

sammā-vācā(正語 정어), sammā-kammanta(正業 정업), sammā-ājīva(正命 정명)

 

*팔정도: sammādiṭṭhi(正見 정견)paññā(지혜), sammāsaṅkappa(正思惟 정사유), sammāvāyāma(正精進 정정진), sammā-sati(正念 알아차림), sammāsamādhi(正定 정정)

7. 無量心所(무량심소 appamañña-cetasika) 2

karunā()muditā()

8. 慧根心所(혜근심소) amoha 1 - paññā()

 

         

         Sādhu!  Sādhu!  Sād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