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57

고엔카(S.N.Goenka)의 위빠사나 수행방법 - 10일코스 수행법

고엔카의 위빠사나 수행법 고엔카는 위빠사나 수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위빠사나 수행이라는 것은 자기자신의 실재를 직접 경험하는 자기관찰 방법이다. 붓다 시대의 말로 빠싸나 ‘passanā’는 보통 뜬눈으로 보고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위빠사나 vipassanā는 사물을 단지 보이는 대로가 아니라, 본성으로서의 있는 그대로를 관찰하는 것이다. 관습상으로 분명한 진리는 정신적 육체적 전 구조의 궁극적인 진리에 도달할 때까지 통찰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진리를 경험할 때, 맹목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멈출 수 있고, 번뇌를 일으키는 것을 멈출 수 있으며, 그래서 자연적으로 묵은 번뇌들이 점점 소멸될 것이다. 그러면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경험한다.” 고엔카의 이 말은 위빠사나 수행이 무엇이며, ..

심념처는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우 떼자니야 사야도의 가르침 (도경 스님) Book

* 심념처는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도경스님 나는 여러 해 동안 남방에서 수행했습니다. 이런 저런 수행들을 전전하면서 언제나 무엇이 바른 수행인가를 고민했습니다. 이렇게 찾고 고민한 끝에 내가 마침내 진심으로 귀의한 수행법은 미얀마 쉐우민 수행센터의 수행법입니다. 흔히들 ..

단지 바라보기만 하라. 고엔카의 가르침(인경스님) Book

깨어있음의 시작 1 단지 바라보기만 하라 그대는 그대 자신의 주인 그대 자신의 미래를 만든다. 고엔카의 가르침/인경 옮김 길 이 책은 “지혜의 계발”이라 불리우는 비파사나 수행법을 소개하고 있다. 인류의 스승 고오마타 붓다의 가르침의 본질인 비파사나는 시간과 공간, 문화적 배..

위빠사나 붓다선원의 기초호흡, 순룬호흡 수행법

# 호흡 수행법  * 호흡의 3 단계・ 강한단계 - 매우 강하고, 매우 힘차고, 매우 신속한 호흡 ・ 중간단계 - 강하고, 힘차고, 신속한 호흡・ 낮은 단계 - 미세하고, 부드럽고 완만한 보통의 호흡. * 호흡방법・ 복식호흡(아랫배(또는 하단전)까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이 기본이다.・ 초보자가 호흡을 할 때는 하단전에 약하게 힘을 주면서 하면 잘된다. ・ 또는 들숨에서 항문을 살짝 잠그고(약간의 긴장감으로 묶는 듯),   날숨에서 아랫배를 배 안쪽으로 밀어넣는 느낌으로 자연스럽게 한다. ・ 익숙한 수행자는 하단전에 집중을 고정시켜서 관찰을 이어간다. ・ 코로 들이쉬고 코로 내쉬는 것이 기본이다.   순룬호흡에서 코로 들숨과 날숨이 잘되지 않으면,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쉬어도 된다.  * 호흡수련시 관..

알아차림 하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알아차림 하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 알아차림의 성품을 알아야 하며, 지혜가 있는지 없는지도 보아야 합니다. 귀를 기울이지 않아도 들을 수 있고, 어떤 것을 보려고 애쓰지 않아도 보이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마음은 이미 대상들을 알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 본적이 있습..

위빠사나를 처음 시작하는 불자들에게.. 우 떼자니야 사야도

위빠사나를 처음 시작하는 불자들에게 ** 사띠(sati: 알아차림) ** 수행한다는 것은 마음이 일하는 것. 즉, 마음의 작용 입니다. 마음이 무슨 일을 해야 하는가 하면 사띠를 두는 일을 해야 합니다. 사띠를 둔다는 것은 지금 여기에 일어나는 대상을 알아차린다는 뜻입니다. 좌선을 할 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