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요소 6

6. 사대요소, 세 가지 특성(락카나)에 대한 분명한 이해 (20071115)

https://youtu.be/wC_Ajk_onEA 6. 사대요소, 세 가지 특성에 대한 분명한 이해 (20071115) 『위빳사나 수행입문』교재_제 3장 분명한 알아차림을 위한 수행방법 4. 세 가지 특성(lakkhaṇa)에 대한 분명한 이해 사대요소에 대한 것들을 할 차례죠? 맞습니까? 아마 이 부분은 특별히 스님이 설명하지 않아도 아는 부분들일 겁니다. 세 가지 특성. 수행을 하다 보면 수행 어떻게 하라고 그랬습니까? 처음에 수행할 때. 모양이나 형태를 보지 말고 움직임을 관찰하라 그랬죠! 움직임이 관찰되고 나면 뭐 하라고 그랬습니까? 느낌을 보라고 그랬죠! 느낌을 보는 거는 어떤 느낌을 보는 겁니까? 몸이나 정신에서 일어나는 느낌들이죠! 사대요소는 우리가 어떻게 압니까? 느낌으로 압니다! 느낌이 ..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 사념처, 아수바(부정관), 사대요소...(20080909)

https://youtu.be/6bKiFxrP5Bs*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 사념처, 아수바(부정관), 사대요소...(20080909)  생로병사의 끝- 진리는 몸에서 찾아진다.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하는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부처님 당시 때 천인이 있었는데, 로이땃사 라고 하는 천인입니다.부처님한테 와서 물어봅니다. "부처님! 태어남도 없고 늙음도 없고 병듦도 없고 죽음도 없는 우주의 끝까지 인간이 걸어서 갈 수 있느냐" 하고 물어봅니다. 과거 생에도 여러 가지 훈련들을 해서 신통이 열려서 한걸음을 뛰면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한걸음에 달려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인데, 그리해도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고 하는 그 끝을 알 수가 없는 거라. 그럼 이 우주의 끝까지 걸어가다 보면 그걸 알 수 ..

22. 까시나 수행2. 사대요소에 대한 것

https://youtu.be/esP2oROTAY4 * 까시나 수행(사대요소에 대한 것) 2 (2009년 12월) (사대요소로 선정수행하는 법을 사마타와 위빳사나수행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 오늘은 까시나 수행에 대한 걸 두 번째 시간으로 하겠습니다. 저번에 까시나 수행은 색깔에 대한 네 가지 부분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까시나는 열 가지라 그랬죠? 나머지 네 가지는 뭐냐 하면 지·수·화·풍 요소에 대한 것, 그다음에 빛에 관한 것, 한정된 공간에 대한 것, 그렇게 해가지고 열 가지입니다. 오늘은 두 번째 네 가지 요소에 대한 것들입니다. 먼저 사마디라고 하는 요소들을 조금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런 수행대상, 까시나에 대해서 좀 친숙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대상을 보든지 자기가 하고 있는 까시..

19.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 (20091013)

https://youtu.be/0EZNq0Nq-WY *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 (20091013) 오늘은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에 대한 얘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2처(十二處)는 여러분들이 잘 알죠? 또 18계(十八界)가 뭔지는 알죠? 여섯 가지 감각기관(六根), 그리고 여섯 가지 대상(六境), 그것을 인식하는 것(六識) 그렇게 해가지고 18계, 그렇게 나누어집니다. 4대 요소는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듯이 지수화풍 사대요소이고, 그것에 대해서 아울러서 한번 얘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왜 이게 필요한가 하면 이 부분을 모르면 집착하는 마음들이 굉장히 강해집니다. '나'라고 하는 것들. 부처님 당시 때도 그런 것들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부처님 전생 이야기 자타카에 보면, 부처님이 코끼리의 왕으로 있..

7. 경행방법 2 (20090628)

https://youtu.be/7QGYALqs7Wk * 경행방법 2 (20090628) 테라와다 불교권에서는 애기를 가질 때부터 불교하고 인연을 맺습니다. 애기가 뱃속에 있을 거 같으면 대부분 경전들을 어머니들이 외웁니다. 『앙굴리말라 경』 같은 거, '내가 고통받지 않고 순조롭게 출산하길 바랍니다.' 하는 그런 게송들을 합니다. '누구든지 행복하길 바라고 고통받길 바라지 않듯이 나도 고통받지 않고 행복하고, 또 뱃속에 있는 아기도 괴롭지 않게 출산하길 바랍니다.' 하면서 출산을 하죠! 그러니까 뱃속에 있을 때부터 애기들은 그 경전을 접해옵니다. 그리고 태어나면 각각의 행사들이 항상 불교하고 연관이 돼있는데, 아이들이 태어나서 맨 처음 배우는 말이 뭔 줄 아세요? 말을 '아빠' '엄마' 이렇게 우리말로 ..

아짠 빤냐와로 스님의 대념처경 법문 12강. 신념처- 네 가지 요소에 대한 관찰

https://youtu.be/1tOus_qjODM12강. 신념처- 다뚜마나시까라빱방(Dhātumanasikārapabbaṁ)- 네 가지 요소(四大)에 대한 관찰 (20110709) [ 'Atthi imasmiṁ kāye pathavīdhātu āpodhātu tejodhātu vāyodhātū' ti. '앗티 이마스밍 까-예- 빠타위-다-뚜 아-뽀-다-뚜 떼-조-다-뚜 와-요-다-뚜-'띠.  즉 '이 몸에는, 땅의 요소(빠타위-다-뚜), 물의 요소(아-뽀-다-뚜), 불의 요소(떼-조-다-뚜), 바람의 요소(와-요-다-뚜)가 있다' 라고.] 이번 시간은 요소에 대한 것들입니다. '다뚜 마나시까-라 빱방'이라 해서 몸의 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는 부분입니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地界], 물의 요소[水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