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9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팔정도) (20140701)

https://youtu.be/zytpDHModZ4 *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팔정도) (20140701) ··· 선원 자리를 보러 갔는데, 두군데 다 안되면 더 좋고. 서울에서도 지금 보러 다닌다는데, 말을 안 들어 서울도. (수행자 대답 : 두군데 다하면 되겠죠) 내가 손오공도 아니고 뭐 왔다 갔다 못하는 거고. 저번에는 괴로움의 소멸의 특징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보통 그걸 팔정도라고 그렇게 얘기하죠. 팔정도의 특징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살아있는 것에 대해서 감사하고 있습니까? 어떻게 감사해? 대부분 보면 “아이고, 고맙다” 이러고 있어요? 적어도 부처님 가르침을 배우고 수행하는 사람들이면 "살아있는 것 자체가 수행이다" 하는..

해탈에 이르는 3가지 순서(조건) (20110222)

https://youtu.be/PSjH3btytt4 * 해탈에 이르는 3가지 순서(조건) (20110222) ··· 빵을 만들어보라 할 것 같으면 아마 만드는 사람에 따라서 각각 다른 맛들이 날 겁니다. 그렇죠? 그런데 불교에서는 다른 길이 없죠? 하나의 방법밖에 없고 그 방법에 의해서 이르는 것도 해탈이라는 것밖에 없습니다. 그게 사회적인 것과 불교와의 차이점입니다. 오늘 이시간에는 해탈에 이르는 순서에 대한 것을 간추려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법을 들을 때는 기본적인 조건이 세 가지가 있죠! 뭡니까? 첫 번째는, 소리를 듣는 것은 귀로 듣기 때문에 귀로 들을 것, 귀만으로 들을 것. 보지도 말고 냄새맡지도 말고 모든 것들은 정지하고 귀로만 듣도록 해야 된다 하는 겁니다. 그게 첫 번째 조건..

네 부류의 성인들 3. 일래과와 불환과_수행에서 칠각지와 팔정도의 체험(20061013)

♠ 네 부류의 성인들 3. 일래과와 불환과_수행에서 칠각지와 팔정도의 체험 (20061013) https://youtu.be/x4YA7hfBhOE   저번 목요일날 법회 잘했습니까? 스님이 그날은 다른 일이 있어가지고 대구 좀 갔다가 내려왔어요. 대구에 갔더니 다른 스님들이 모여가지고 왜 그 앞날에 왜 안 왔느녜. 그래서 앞날에 내가 가야될 이유가 있느냐고 하니까, 다같이 그래도 모여서 놀고 하는데 그 앞날 와서 좀 같이 놀고 그다음날 공양하고 그렇게 하지, 스님 때문에 이틀간 기다렸다고 그래쌌는 거라. 그야 뭐 그러든 말든 내가 뭐 놀기 좋아하는 스님도 아니고 거기 갈 이유가 없어가지고 그다음날 올라왔는데, 그런 얘기를 합디다.  “우리 절에 일주일에 법회가 그래도 한 세 번 있습니다.” 하니까 뭐 하..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 사념처, 아수바(부정관), 사대요소...(20080909)

https://youtu.be/6bKiFxrP5Bs*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 사념처, 아수바(부정관), 사대요소...(20080909)  생로병사의 끝- 진리는 몸에서 찾아진다. 「몸을 의지해서 수행하라」 하는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부처님 당시 때 천인이 있었는데, 로이땃사 라고 하는 천인입니다.부처님한테 와서 물어봅니다. "부처님! 태어남도 없고 늙음도 없고 병듦도 없고 죽음도 없는 우주의 끝까지 인간이 걸어서 갈 수 있느냐" 하고 물어봅니다. 과거 생에도 여러 가지 훈련들을 해서 신통이 열려서 한걸음을 뛰면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한걸음에 달려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인데, 그리해도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고 하는 그 끝을 알 수가 없는 거라. 그럼 이 우주의 끝까지 걸어가다 보면 그걸 알 수 ..

1.팔정도(八正道, Ariya aṭṭhaṅgika magga)에 대해서 (20080522)

https://youtu.be/quvR4Et--5I◈ 팔정도(八正道, Ariya aṭṭhaṅgika magga)에 대해 (20080522) 저번 시간까지 7각지에 대한 얘기가 다 끝났고, 이 시간부터는 '아리야 앗탕기까 막가(Ariya aṭṭhaṅgika magga)' 해가지고 팔성도 · 팔지성도 · 팔정도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팔정도가 뭔지 아는 사람 누가 한번 얘기해봐요. (수행자 대답)저번 시간에 나눠준 프린트물은 안 가져왔어요? 8정도는 우리가 현실을 깨달음에 이르도록 해나가는데 여덟 가지 으뜸가는 진리입니다. 그래서 성스러운 생활이 되도록 해나가는 길입니다. 어차피 이생에서 목숨을 받아 태어났으면 살아야 됩니다. 이 세상을 떠나지 않고 성스러운 길에 이르는 여덟 가지 방법이라고 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