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 7

5. 경행하며 알아차릴 때의 분명한 이해3 (20071025)

https://youtu.be/uNl-Y5FIu_w 5. 경행하며 알아차릴 때의 분명한 이해3 (20071025) 『위빳사나 수행입문』교재 _ 제 3장 분명한 알아차림을 위한 수행방법 3. 경행하며 알아차릴 때의 분명한 이해 자! 교재 펴보십시오. 오늘은 경행하며 알아차릴 때의 분명한 이해 부분이죠? 프린트물이 거기까지 나갔죠? 뒤에 연결되는 부분은 아직 안 내보내 준 거 같습니다. 다음 주에 내보내 줄게요. 걱정하지 말아요. 교재 없는 분들은 옆에서 같이 봐봐요. 뭘, 프린트물을 어떤 걸 잡고 있는데요? 그거는 프린트물이 얼마 안됩니다. 한 장 반 정도밖에 안 되죠? 한장반인데 한장반이라도 스님 설명을 잘 들어야 됩니다. 분명한 이해, 분명한 앎이라고 하는 것은 일상생활의 모든 행위에 대해서 알아차리는..

기초수행19. 위빳사나 수행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20080118)

https://youtu.be/a9k1o30apsU * 기초수행19. 위빳사나 수행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20080118) 오늘은 초보자들이 좀 많이 왔는데, 이때까지 몸에 대한 관찰, 느낌에 대한 관찰, 마음에 대한 관찰 이 세 가지를 해왔습니다. 벌써 기간이 한 삼사 개월 흘렀죠? 이제 법에 대한 관찰만 지금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오늘은 앞에 세 가지를 아울러 가지고, 처음 들어온 분들도 있으니까 전체적으로 한번 설명을 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아-뚜라-낭히 까- 닛다-(Āturānañhi kā niddā)」 라고 하는 빨리어 경전이 있습니다. 내가 지금 당장 병이 들어있는 환자인데, 이 병을 고치지 않고 뭘 하고 있느냐 하는 겁니다. 병이 들어있는 환자라는 거라. 여러분들 병 안 든 사람 있습..

기초수행16. 마음관찰2 (20080104)

https://youtu.be/1bcas-YqYZ4* 기초수행16. 마음관찰2 (20080104) ··· 뭐 어쨌든 그걸 알아야 세 가지 방법으로 수행을 경험해 볼 거 아니라.마음을 밖의 대상, 여섯 가지 대상에 알아차림을 하는 경우.또 한 가지 경우는 뭐라 그랬습니까? 밖의 대상에 마음을 알아차리지 말고 내 몸, 눈이나 코나 귀나 여섯 가지 감각기관에 알아차림을 두는 방법.또 한 방법은? 그 대상을 알아차리는 마음을 아는 방법. 어쨌든 밖에 대상이 있을 거 같으면 그 대상을 갖다가 알아차리는 방법이 있고, 그 대상은 눈을 통해서 들어오니까 눈에 알아차림을 두는 방법이 있고, 대상이 눈을 통해서 들어와서 아는데 아는 그 마음을 알아차리는 방법이 있고, 세 가지 방법으로 얘기를 해줬습니다! 그 차이점을 알..

기초수행04. 경행방법1 (20071019)

https://youtu.be/Qk2OfTqVTfY * 기초수행04. 행선- 경행 방법1 (20071019) 오늘은 경행하는 부분에 대해서 얘기하겠습니다. 수행하는 사람들이 행복을 얻는 게 보통 두 가지가 있다고 그럽니다. 일부러 알아차림을 노력하면서 얻어지는 행복이 있습니다. 아까도 얘기했지만 몸의 아픈 통증이 있다든지 아니면 호흡을 관찰하든지 이렇게 했을 때 아! 내가 모르는 사실을 알아나가게 되고 또 그러한 통증이나 이런 것들을 사라지게 하는 것들을 보고 이러면서 얻어지는 행복이 있습니다. 그에 못지않게 또 큰 행복이 어떤 거냐 하면 일상적으로 살아가면서 얻어지는 행복입니다. 걸어가면서도 부처님 말씀을 명확하게 이해를 할 수 있게 되고, 또 일상생활을 할 때도 그걸 이해하게 되면서 얻어지는 행복이 ..

18. 마음의 의지(cetanā)-사리뿟따 존자의 네 가지 서원(쩨따나) (20090920)

https://youtu.be/fjhYQwKA17c * 마음의 의지(cetanā)-사리뿟따 존자의 네 가지 서원 (20090920) ··· 거기서 한참 부처님 법에 대해서 얘기를 했거든. 대부분 한국 사찰이라는 게 스님들 법문 많이 하는 거 별로 안 좋아합니다. 안 들을라고 그래. 그러니까 아무리 '이게 부처님 진리다'하고 얘기를 하고, '이게 수행법이다'하고 얘기를 해도 그중에 듣는 사람은 100명 모였으면 겨우 한 다섯 명이나 열 명이나 될까 몰라. 그것도 완전하게 듣는 것도 아니고 어렴풋이라도. 나머지 사람들은 자기들 하고 싶은 거 다해. 그래서 한참 하다가 중단을 하고 물어봤어. “절에 와서 할 수 있는 게 뭡니까?” 여러분들은 절에 와서 할 수 있는 게 뭡니까? 여기는 선원이니까, 선원이든 절이..

8. 경행방법 3 (20090705)

https://youtu.be/7x542zFUi2k  * 경행방법 3 (20090705) 저번 시간까지 경행의 3단계에 대한 얘기를 쭉 했습니다. 어디까지 했죠? 경행의 3단계 할 때? 움직임을 알고, 그 움직임을 명확하게 파악을 하고, 그래서 구분할 수 있게끔 하고, 그래서 멈추는 걸 알면 구분할 수 있게끔 된다고 했죠! 그러고 나서 경행하면서 일어나는 느낌, 4대 요소에 대한 것들을 갖다가 실재적으로 관찰을 하라. 그리고 그 사대요소도 변화된다는 사실을 알도록 하라는 그 부분까지 얘기를 했습니다.  왜 그게 기본이 돼야 되느냐 하면, 서로 손 한번 잡아봐요. 자기 왼손하고 오른손을 한번 잡아 봐요. 탁 잡으면서 느낀 것들이 뭐라? 알아차린 것이? 따뜻함, 또 다른 사람은? 또 다른 사람은 없어요? 그..

4. 수행과 업 (20090623)

https://youtu.be/33Sqbb6wJWo * 수행과 업(業) (20090623) 부처님의 경전 중 중부경전 중의 한 경에 나온 얘기인데 그런 신앙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개의 흉내를 내고 개의 습관을 닮으면 죽고 나서 천상에 태어난다' 하는 그런 것들을 믿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꼭 그 구절을 얘기하지 않더라도 여러분들도 꼭 마찬가지입니다. '아미타불을 믿고 아미타불을 지극정성으로 염불을 하면 극락왕생한다. 천상에 태어난다.' 뭐 별반 다른 건 없습니다. 그런 걸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었거든. 부처님이 그걸 보고 뭐라고 답을 했겠습니까? '개의 습관을 가지고 개가 하는 것들을 실천을 할 거 같으면 개밖에 더 되겠느냐? 그러고 나서 만약에 그것도 실천을 못하면 죽고 나서 지옥에 떨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