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44

C. 논장(論藏 Abhidhamma Piṭaka)

C. 논장(論藏 Abhidhamma Piṭaka) -- 경장에 설해진 법의 철학적 논의 -- 논장은 삼장의 세 번째 부분이다. 논장은 일곱 가지 논서[七論]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경장에서 발견되는 전체 경전의 체계적인 해석이다. 논서는 특히 자연 현상의 존재에 대한 심리학적인 분석을 다르고 있다. 1. 법집론(法集論 Dhammasaŋgaṇī). 담마(dhamma) 혹은 존재의 요소들의 목록이다. 2. 분별론(分別論 Vibhaŋga). '구별 혹은 판단'이다. 앞서 말한 것의 계속적인 분석이다. 3. 계설론(界說論 Dhātukathā). '요소의 논의'이다. 정신적인 요소와 다른 부문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4. 인시설론(人施設論 Puggalapaññatti). 증지부로부터 편집된 것으로서 개체에 ..

[5] 소부(小部 Khuddaka Nikāya)

[5] 소부(小部 Khuddaka Nikāya) 이것은 경장의 보다 짧은 경들의 부분이다. 붓다고사는 소부를 '짧은 경전들의 부분'이라고 불렀다. 이 니까야(Nikaya)는 오래된 니까야가 완료된 뒤 점차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아마 후대에 정전(正典)에 편입되었을 것이다. 소부는 15개의 경전으로 나뉘어진다. 1]. 소송경(小誦經 Khuddakapatha).(254) '작은 사건의 텍스트'이다. 다음의 경전들을 담고 있다. 1. 삼귀문(三歸文 Saraṇattayaṃ).(255) 불교신자와 비구들을 위한 '삼귀문'이 세 번 반복되었다. 2. 십계문(十戒文 Dasasikkhāpadaṃ).(256) 사마네라(samanera 沙彌)에게 의무적인 열 가지 계율에 관한 것이다. 3. 삼십이신분(三十二身分 Dv..

[4] 증지부(增支部 Anguttara Nikāya)

[4] 증지부(增支部 Anguttara Nikāya) 증지부에서의 구분은 순수하게 숫자상 하나이다. 증지부는 열 한 개로 분류된 그룹(部集 nipata)이 있는데, 단 하나의 항목인 첫 번째 주제에 이어 두 번째 그룹 등이 뒤따르고, 열 한 개의 마지막 그룹까지 있다. 각 부집은 품(品 vagga)으로 나누어지고, 각 품은 10개 또는 그 이상의 경전들을 담고 있다. 총 2,308經이다. 1. 일집(一集 Ekaka-Nipāta).(243) 집중된 마음/집중되지 않은 마음, 훈련된/훈련되지 않은, 수양된/수양되지 않은; 노력, 근면, 붓다, 사리뿟따, 목갈라나, 마하깟싸빠; 견해들-올바른/잘못된; 집중-올바른/잘못된. 2. 이집(二集 Duka-Nipāta).(244) 두 가지 종류의 업보(業報 kamma-..

[3] 상응부(相應部 Saṃyutta Nikāya)

[3] 상응부(相應部 Saṃyutta Nikāya) 특정한 교리를 다루거나 특별한 성격이 주어진 경전들의 '묶음' 혹은 '일관된' 시리즈이다. 56상응은 5품으로 나누어지며 총 2,889經을 담고 있다. 1. 유게품(有偈品 Sagāthā-Vagga) (11개의 相應을 담고 있다.) 1. 제천상응(諸天相應 Devatā-saṃyutta).(187) 신들[諸天]의 질문이다. 2. 천자상응(天子相應 Devaputta-saṃyutta).(188) 신의 아들들의 질문이다. 3. 구살라상응(拘薩羅相應 Kosala-saṃyutta).(189) 꼬살라(Kosala) 국왕 빠세나디(Pasenadi)의 일화들이다. 4. 악마상응(惡魔相應 Māra-saṃyutta).(190) 붓다와 제자들에 대한 악마의 적대적인 행동이다. ..

[2] 중부(中部 Majjhima Nikāya)

[2] 중부(中部 Majjhima Nikāya)  이 부분은 15품으로 배열한 중간 길이의 152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략적으로 주제에 따라서 분류된 것이다. 1. 근본법문품(根本法門品 Mūlapariyāya-Vagga)1. 근본법문경(根本法門經 Mūlapariyāya Suttaṃ).(35) 의식의 상태가 어떻게 시작되는가를 다루고 있다. 2. 일체루경(一切漏經 Sabbāsava Sutta).(36) 번뇌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3. 법사경(法嗣經 Dhamma-Dayada Sutta).(37) 법의 중요성과 자신의 육체적 바램의 비중요성을 실현하도록 비구들을 훈계한 것이다. 4. 포해경(怖駭經 Bhaya-Bherava Sutta).(38) 숲속의 두려움과 공포에 용감히 맞서는 것에..

B. 경장(經藏 Sutta Pitaka) [1] 장부(長部 Dīgha Nikāya)

[1] 장부(長部 Dīgha Nikāya)                     ※ 팔리 삼장(三藏 Tipitaka) - 李摩聖 編譯 인용                 http://blog.daum.net/gikoship/15780696  긴 법문의 묶음은 세 가지 부분 혹은 품(品 vagga)정리되고, 34경으로 구성 되어 있다. 1. 계온품(戒蘊品 Sīlakkhandha-vagga): 13경(經). 2. 대품(大品 Mahā-vagga): 10경(經) 3. 당학품(當學品 Pāthika-vagga): 11경(經)  1. 계온품(戒蘊品 Sīlakkhandha-Vagga)1. 범망경(梵網經 Brahmajāla Sutta).(1) '범천의 그물' 혹은 당시 다른 스승들에 의해 가르쳐진..

A. 율장(律藏 Vinaya Piṭaka)

빠알리 삼장(三藏 Tipiṭaka) - 李摩聖 編譯                         http://blog.daum.net/gikoship/15780696빠알리 정전(巴利正典) 혹은 삼장(三藏)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삼장(Tipiṭaka, Sk. tripiṭaka)이란 세 가지(ti) 광주리(piṭaka)라는 의미이다.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A) 율장(律藏 Vinaya Piṭaka) : 승단(Saṅgha)을 위한 계율 규정. (B) 경장(經藏 Sutta Piṭaka) : 교법(法 Dhamma). (C) 논장(論藏 Abhidhamma Piṭaka) : 경장에 설해진 법의 철학적 논의. A. 율장(律藏 Vinaya Piṭaka)-- 승단(Sangha)을 위한 계..

빠알리 삼장(三藏 Tipitāka)의 구성 내용

빠알리 삼장(三藏 Tipitāka) - 李摩聖 編譯                          http://blog.daum.net/gikoship/15780696  빠알리 정전(巴利正典) 혹은 삼장(三藏)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삼장(Tipitāka, Sk. tripitāka)이란 세 가지(ti) 광주리(pitāka)라는 의미이다.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A) 율장(律藏 Vinaya Pitāka) : 승단(Sangha)을 위한 계율 규정. (B) 경장(經藏 Sutta Pitāka) : 교법(法 Dhamma). (C) 논장(論藏 Abhidhamma Pitāka) : 경장에 설해진 법의 철학적 논의. A. 율장(律藏 Vinaya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