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82

복습 및 시험, 참회서원의 게송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 1교시_130405-1

https://youtu.be/IDBrlpa5W0Y?si=I7f6P_PT1VIoB0n4  담마스쿨 개강한 지도 인제 1달이 넘었습니다. 경전을 공부한다는 거는 참 좋은 일입니다. 그런데 꼭 경전은 공부에서만 그쳐버리면 안 됩니다. 경전은 반드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도구로써 쓰여져야 됩니다. 배운 것을 그대로 수행이면 수행, 아니면 공덕 쌓는 거면 공덕 쌓는 거, 또 마음을 쓰는 거면 마음을 쓰는 것으로 이용할 줄 알아야 됩니다. 그래야만이 이 담마스쿨을 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테라와다 불교의범과 신행생활에서 지금 한 달 하면서 겨우 한 게 뭐 했는지 알아요?'나모따사' 그 다음에 '붓당 사라낭 담망 사라낭 상강 사라낭 갓차-미' 요거 딱 2가지 했습니다. 근데 벌써 한달이 지났어요. 한 달이 지났으니까..

Q. 호흡관찰을 할 때 ‘일어남, 사라짐’으로 명칭하는 이유(20241123)

https://youtu.be/HVWxyb1uzSo?si=JEHCdAGRriTX0ETN  Q. 호흡관찰을 할 때 ‘일어남, 사라짐’으로 명칭하는 이유호흡관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스님께서는 배가 부풀 때 ‘일어남’, 배가 꺼질 때 ‘사라짐’하고 명칭 하도록 지도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관찰대상이 명칭과 일치해야 한다는 내용도 말씀하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쑤시면 쑤신다고 명칭하는 등으로 말입니다. 그러나 두 내용이 약간은 혼란스러워서 질문드립니다. 무엇이 ‘일어남’이고 무엇이 ‘사라짐’인지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부푸는 것을 ‘일어남’으로 꺼지는 것을 ‘사라짐’으로 관찰하면 관찰대상과 명칭이 일치하지 않는데, 이렇게 관찰하는 이유를 스님께 여쭙고 궁금해하는 분들께 말씀드리려고 합..

「삼귀의 삼창」, 절 수행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9-1)

https://youtu.be/PFwaOvQjHDQ?si=GA7P_O_CC0ePzAv6 * 「삼귀의 삼창」, 절 수행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9-1) 오늘은 스님이 서울 나들이를 할 때 KTX를 안 타고 승용차를 몰고 왔어요. 얼마 전에 승용차를 바꿨거든요. 한 십칠년 너머 다니다가 차가 인제 퍼져가지고 폐차를 했어. 폐차를 하고 우리 선원 식구들한테는 아무 말도 안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물어보더라고요. “스님, 차 어쨌습니까?”수명이 다 돼서 보내드렸다, 그러니까 자기들끼리 수군수근수근 하더니 또 차를 한 대 이번에 새로, 저번보다도 훨씬 등급이 높은 거 SM5. SM5 새 거 살 형편은 못 되고 중고 깨끗한 걸로 해가지고 하나 장만해 주더라구. 그래서 당분간 또 한 15년 넘어는 별..

2024 담마와나 선원 빵수꿀라(paṁsukūla) 가사공양 법회_계율과 수행에 대한 이야기_빤냐와로스님 법문(241117)

https://youtu.be/xX9-Egf8nm4?si=n5LDGo7eALq9kQAU * 2024 담마와나 선원 빵수꿀라(paṁsukūla, 분소의) 가사공양 법회_계율과 수행에 대한 이야기_빤냐와로스님 법문(241117) 올해 마지막 법문인 것 같은데, '법이 막 나를 부르는 거' 경험해 본 사람 있어요? ‘빨리 와. 이리 와가지고 빨리 확인해 봐’ 이러는 거. 산딧티꼬 에히빳시꼬 그러죠? 직접 확인해봐라! 이런 얘기를 들읍니다. 오늘은 계율과 수행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코띠카 장로하고 사리뿟따 장로 두 분이 대화한 경전이 있습니다. "계율을 잘 지키고, 대상에 대해서 마음을 잘 기울이는 요니소마나시까라가 되는 범부 수행자들이 예류과에 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 됩니까?" 하고 물어보게 됩니다. ..

갈애(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241116)

https://youtu.be/vL-Ok2xSndY?si=8neT1L3RY0tZfs2A * 갈애(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241116) 오늘은 "갈애라는 딴하(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 하는 얘기를 하겠습니다.  얼마 전 교단법회에서 '욕망은 좋은 것도 싫은 것도 아니다.' 뭐 이런 얘기가 나왔다고 그럽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한 걸 조금 짚고 넘어가야 될 거 같애서. 빨리어 용어로 그때 욕망을 뭐 어떤 빨리어 용어를 썼는지는 스님도 몰라요. 그땐 법문을 스님은 아예 안 들었어요. 그냥 앉아서 좌선해갖고 있어가지고 뭔 얘기했는지를 하나도 기억을 못 해요. 근데 아마 거기서 말한 욕망은 이런 딴하-(taṇhā) 같은 것들이나 까-마(kāma) 같은 거나 로-바(lobha) 같은 거나 이런 ..

빨리어 발음법. 테라와다 불교신자가 되는 조건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2_1)

https://youtu.be/hWtKcJ4Ito8 * 빨리어 발음법. 테라와다 불교신자가 되는 조건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2_1)  그런데 빨리어를 독송하는 데는 각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하고 서양 사람들하고 입의 구조가 틀리듯이 각 나라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발음할 때 차이가 있습니다. 근데 문자로 기록을 해놔 놓으면, 예를 들어봅시다. 'Buddhaṁ 붓당'이라고 돼있습니다. 버마 스님들이 읽어도 '붓당'이라고 이렇게 읽습니다. 태국 스님이 읽어도 '붓당'이라고 있습니다. 근데 어떤 데서는 '붓당'이라고 안하고 '붓담'이라고 읽습니다. 그런 데가 있죠? (예)그리고 만약에 'Buddhaṁ 붓당' 여기 뒤에 'dha다'가 붙었다, 그러면 '..

빨리어 독송법(법회의식 포함)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2_1)

https://youtu.be/hWtKcJ4Ito8 * 빨리어 독송법(법회의식 포함)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22_1) 아직 점심 시간이 안 됐어. 조금 이따 해도 되는데. 그런데 그냥 그렇게 외우는 데도 효과들을 가지더라고. 스님의 경험을 봐서 조금 부탁을 하고 싶어요. 적어도 기본적인 것은 외워라. 삼보예찬 붓다·담마·상가에 대한 예찬이죠. 그다음에 삼귀의 오계. 아주 기본적인 것, 그것에다가 자기 자신이 좋아하는 경전 하나! 우리나라 같으면 반야심경이나 이런 것들인데, 보통 많이 외우는 게 망갈라 숫따(Maṅgala Sutta) 같은 거 라따나 숫따(Ratana Sutta) 뭐 그 다음에 까라니야 멧따 숫따(Karaṇīya Metta Sutta). 이런 것들인데, 최고 많이 외우는 게 인..

빠릿따(paritta, 보호경 혹은 보호게송)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15_2)

https://youtu.be/4lnJzsvHqPg?si=9KENyTOdGfsT2tTD * 빠릿따(paritta, 보호경 혹은 보호게송)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130315_2) 이번 주에는 뭐 한다고 그랬죠? (수행자 : 빠릿따)빠릿따(paritta) 한다고 그랬죠. 빠릿따 좀 공부해 오신 분 손 한번 들어봐. 안 했어? (뜻만 알았어요) 뜻만 알았어요? (예) 빠릿따 뜻이 뭔데요? (보호하는 경, 주문) 아, 보호하는 주문?  보통 한국에서는 그래서 '보호주, 호주' 이렇게 얘기하는데 그건 잘못된 겁니다. 어떤 경우든지 부처님은 주문 외운 적이 없습니다. 삐리리리리리 하면서 이렇게 주문 외워가지고 막 착 바뀌고 하는 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거는 번역어를 쓰더라도 보호주 이런 식으로 쓰면 안 됩니..

2013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담마스쿨 개강법회_「테라와다 불교의 신행 생활」_빤냐와로 스님법문(130308_1)

https://youtu.be/RfWJ3VKwa10?si=5TYscBy4bdNh65i7 * 2013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담마스쿨 개강법회_「테라와다 불교의 신행 생활」_빤냐와로 스님법문(130308_1) 이제 오늘부터 매주 금요일 날이 담마스쿨이 열리는 날입니다. 2년간 진행이 되죠. 2년간 다닐 수 있겠어요? (예)  「테라와다 불교의 신행 생활」이라고 돼있는 게 제가 맡은 과목입니다. 재미없는 과목입니다. 재미없는 과목인데 꼭 필요하다 해서 이 부분을 스님이 맡았습니다. 테라와다 방식하고 대승불교의 방식은 많이 좀 틀립니다. 그런데 아직은 테라와다 상가라고 구성이 돼서 교단이 있지만 널리 대중적으로 알려지질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잘 모릅니다. 법회에서 어떻게 진행을 해야 되는지, 또 ..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_빤냐와로 스님법문_한국테라와다 하계집중수행법문_120810

https://youtu.be/GQz3IQ_zLsg?si=i9yKlpUrVl80slQ_ *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_빤냐와로 스님법문_한국테라와다 하계집중수행법문_120810 어쨌든 여기까지 오느라고 다들 고생했습니다. 음 오늘부터 2박 3일이죠. 2박 3일 동안 수행하고 가야 되는데 많이 불편할 겁니다. 특히 이제 여기 마하보디 선원 같은 경우에는 방사도 넉넉하지 않고 또 우리 마하보디 선원장 스님께서 워낙 자애로워가지고 이 더위에 선풍기 하나 없이 지내라고, 자연주의가 돼 가지고. 그런데 여러 가지 불편해도 수행하러 왔으니까 수행은 하고 가야죠! 편하게 좀 앉으십시요. 스님은 이제 자주 그런 얘기를 합니다.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